|
전체 > Molecular Biology-Protein > Western Blot Analysis |
|
 |
|
|
 |
tissue cell의 extract prep (for WB) |
|
|
|
답변있는 질문은 수정/삭제 불가(☞문의) |
웨스턴 블랏을 위해 crude extract를 제조하는 과정에 대해 조언을 듣고자 합니다.
저는 RIPA에 cell을 lysis 시키고 가는팁을 이용해 간단하게 sonication을 합니다.
원심분리 후 상층액만을 조심스레 따서 5x SDS loading dye를 넣고 10분정도 cooking을 합니다...
전기영동을 해보면 초기에 웰에 내려가지 않고 걸리는 것들이 있으며 시간이 지나면 이들은 사라집니다.
트랜스퍼를 한 후에 폰쇼에 담궈 멤브레인을 염색해 보면 웰에 잔여물이 남아있었던 곳은 여지없이 밴드들이 위아래로 끌려 있는 현상을 볼 수 있습니다.
웨스턴을 해도 이런 밴드들에서는 정상적인 결과를 볼 수 없지요..
깨끗하게 웨스턴 결과를 낼 수 있는 prep 방법이 없을까요??
아울러 cooking후에 원심분리를 5-10여분 돌리고 상층액만을 로딩하면 깨끗하다는 사람이 있습니다.
이런 경우 heating에 의해 denaturing된 단백질의 침전은 일어나지 않나요? 결과에 영향을 미칠 것 같아서...
손이 좋으신 분들의 조언을 기다리겠습니다.... |
|
|
|
|
|
|
|
|
 | |
|
 |
본 정보는 네티즌에 의해 작성된 정보로, 내용 중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부분은 추가적인 사실 확인을 반드시 하시길 바랍니다. |
|
|
|
|
|
|
|
Buffer의 용량에 비해 cell의 수가 많거나 또는 원심분리가 충분치 않아 그런 것 같습니다. 통상적으로 위 비율이 맞다면 sonication을 하지 않고 단지 vortexing만으로도 충분히 cell을 깰 수 있습니다.
원심분리를 20-30분정도 해주세요. Well에 걸리는 것은 대부분이 gDNA나 cell organelle입니다. 원심분리로 없앨 수 있습니다. 그리고 sample buffer는 100% 단백질을 solubilize 시킵니다. 장기간 저온에 보관하면 침전이 발생할 수도 있으나 이는 SDS가 저온에서 침전되는 것이고 단백질은 왠만하면 침전되지 않습니다.
|
|
|
|
|
|
|
|
|
답변 감사합니다.
제가 궁금했던 점에 대해 명확히 해주셔서 더 고맙습니다.
아울러 sonication을 제가 꼭 하는 이유는 같은 샘플을 sonic한것과 안한것의 차이가 커서였습니다.
하지 않은 샘플의 경우 쭈욱 끌리는게 심한데 sonic을 하게 되면 gDNA나 lipid가 잘게 조각나서 그런지 끌리지 않고 예쁜 밴드를 보는 확률이 매우 높았습니다.
그리고 제가 버퍼에 비해 세포의 수가 많게 핸들링을 하긴 합니다.
고농도의 조추출물을 얻기 위함인데 6well 스케일에서 100ul RIPA면 무리한 핸들링일까요??
|
|
|
|
|
|
|
|
|
|
|
|
|
|
 |
|
 |
 강시
 SPEED
 실험조아
 enen
 나는야학부생
 Choip
 친절하게살자
 새슬
|
|
|
 스카이
 달려라~
 하늘을달려라
 Marine
 식스센스
 visavis
 처음처럼
 별숲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