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Q. |
CCK-8 assay protocl 문의드립니다! |
|
|
안녕하세요 이번에 세포 증식실험을 계획한 학생입니다.
그런데 CCK-8 assay를 많은 논문에서 하고 있어 참고할 예정인데
제가 MTT, WST-1 등 의 실험은 해보았는데
혹시 논문의 결과들에서 24, 48, 72h 의 결과들은
한 plate에 seeding후 CCK-8 kit를 처리하여 계속 본건지,
세 plate에 같은 양의 cell을 seeding 한후 하나씩 시간마다 처리하여
본건지 궁금하네요.
답변해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
|
수끼리 | 03.31 |
|
Q. |
western blot에서 transfer 하는 이유 |
|
|
western blot에서 gel에서 membrane으로 transfer 하는 이유가 뭔가요?
검색해보니까 SDS가 항체-항원 결합을 방해한다는 내용밖에 안나와서 자세한 기전이 궁금해서 가르쳐주실 분이 있을까 하여 물어봅니다.. |
|
므므므 | 03.31 |
|
Q. |
od측정값과 전기영동 결과 해석에 도움이 필요합니다. |
|
|
1번은 blank를 잡으려던 d.w라 무시하셔도 되고, 2번이 첫번째 dna sample, 3번과 4번이 두번째 dna sample입니다.
1. ng/ul의 값은 순도인가요?
2. 첫번째 샘플과 두번째 샘플중 어느게 값이 잘나온건가요? 해석이 잘 안돼서요ㅠㅠ
두번째는 전기영동 결과인데요, 마커를 제외한 다섯칸에 모두 sample을 넣었는데 그중 두개는 나오지 않았습니다.
3. 샘플 두개가 안나온 이유가 뭘까요?
4. ladder에 구멍이 뚫렸는데 이유가 뭘까요?
5. sample들은 500bp가 나온게 맞나요?
귀한 시간 내주셔서 감사합니다. 너무 실험 초보라 구글링해도 기계만 다르다 하면 값을 계산하기가 어렵네요... 수준 낮은 질문이라 보이실수도 있지만 알려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ㅠㅠ
|
|
복숭아두꺼비 | 03.31 |
|
Q. |
RNA시퀀싱,R프로그램 이게 뭔가요?ㅜㅜᆢ |
|
|
정말 이 분야에 문외한이라 질문이
부끄럽지만 늦은 나이에 직장을 그만두고
연구를 해보고싶어 대학원에 왔습니다.
선배들을 보면
우선은 어깨넘어로 배우라고는 하시는데
혼자 독학을 병행하고 싶어 질문드립니다.
1. 대학원 저년차때 R프로그램을 배워둘걸
후회한다는 선배들이 많은데
통계분석프로그램이라고만 알고있습니다.
어떤 부분에서 많이 쓰고들 계신가요?
2. RNA 시퀀싱..사실 이게 뭔지도
모릅니다.
다들 sing cell RNA 시퀀싱을 목표로
하시는것 같은데
물어봐도 bulk RNA 시퀀싱부터 갈길이
멀었다며 막연한 답변이구요ㅜㅜᆢ
RNA시퀀싱등에 대한 기초개념을
익힐수 있는 참고서등이 있을까요?
3. 선배님들 보면 쥐 brain,heart 등을
이용해서 혈관의 gene이나 protein 등을
연구하는것 같습니다.
그런데 컴퓨터에는 마치 코딩?같은 작업을 병행하고 있구요
RNA시퀀싱등은 컴퓨터가 하는것인가요?
질문이 너무 초보적이라
죄송합니다..
그냥 막연히 배우길 기다리기엔
제가 요즘 열정이 넘치는데 지식은 없어
가입했습니다..
감사합니다 |
|
댕굴댕구르 | 03.30 |
|
Q. |
세포 실험에서… 배지 이외에 1시간 이상 세포에 처리해도 괜찮은 버퍼가 있을까요? |
|
|
안녕하세요, 30분~1시간 정도 세포 (hepg2) 물질 처리를 해야하는데요… 제가 사용하려는 물질과 세포 배지 (저는 MEM을 씁니다)에 간섭 때문에 배지를 사용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ㅠㅠ
이럴경우…
1.dpbs를 30분 이상 처리해도 되나요?
2.dobs에 fbs를 첨가한다면 어떤가요?
혹시 비슷한 상황이셨던 분들의 조언을 구합니다 ㅠㅠ |
|
cheer up c.. | 03.30 |
|
Q. |
pcr 밴드가 안떠요 |
|
|
green gate cloning 중인데 cloning이 처음입니다 mod c인 cds를 만들던 중 프라이머 Forward에 atg를 안붙이는 실수를 하여 처음부터 다시 프라이머를 짜서 처음부터 다시 짜서 pcr을 시행 하였습니다. 그런데 그전까지는 pcr이 잘 되었는데 atg를 붙이고 나서부터는 pcr이 되지 않습니다. template의 bp는 2370이고 cdna 사용 중입니다.
실수한 프라이머 forward는 AACA GGTCTC A GGCT GAGTCCTGCAATTGCATT
였고 tm은 60.2도 였고
새로 짠 primer forward는 AACA GGTCTC A GGCT ATGGAGTCCTGCAATTGC
TM은 60.9도 입니다
리버스 프라이머는 AACA GGTCTC A CTGA CCCCCTCTTCTCTCTCC에
TM은 60.2도 입니다
pcr 조성
template cdna 1μl
primer(F+R 각 10pm) 1μl
5x HF Bfr 2μl
polymerase(phusion) 0.1μl
dNTP 1μl
DW 5μl
입니다
pcr condition은
98도씨 30s
98도씨 10s
60도씨 30s
72도씨 1m 15s
cycle은 34번입니다.
실수한 프라이머에서는 PCR이 바로 나왔는데 ATG를 다니까 PCR을 계속 했는데 안나오고 T.M도 57~61도까지 0.5도씩 올려가며 다양하게 하였는데도 나오지 않았습니다. EXTENSION TIME을 1분 15초로 한 이유는 실수한 프라이머를 돌렸을 당시 저 시간대로 해서 나왔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밑에 사진에서 왼쪽에서 첫번째가 LADDER이고 두번째부터 5번째 까지가 59도씨에서 PCR6번째부터 마지막까지가 60도씨에서 PCR한 것 입니다.
같은 온도에서 왜 PCR를 여러개 한 이유는 저도 잘 모르겠습니다....... 계속 실수하다보니 멘탈이 터져서 그런거 같네요....
|
|
azura | 03.30 |
|
Q. |
MOI는 어떻게 정하는건가요? |
|
|
Multiplicity of infection (M.O.I) 개념은 이해가 가는데
더 자세히 알고싶어졌습니다.
M.O.I가 0.1이면 10개의 세포 중 1개 세포만 바이러스에 감염되는거고
M.O.I 0.01이면이면 100개의 세포 중 1개 세포만 바이러스에 감염된다는 건데
이것은 세포의 대략적인 수와 바이러스의 대략적인 수를 둘 다 알아야한다는 거잖아요. (분자와 분모가 얼마인지 알아야 0.1이든 0.01이든 나오는거니까....)
Agar 위에 바이러스를 뿌릴 때 양을 알고 있어야 한다는 건데
어떻게 알 수 있는건가요?
그리고 위에 뿌려진 바이러스가 100개 세포 중 1개만 감염시켰는지, 10개를 감염시켰는지 어떻게 확인할 수 있나요? 육안으로 보는건가요?
아직 실험을 직접 해본 적이 없어서....
도움부탁드립니다 ㅠ
|
|
답답한아이 | 03.30 |
|
Q. |
PCR 후 전기영동 결과 오류 원인이 무엇일까요?  |
|
|
Taq DNA polymerase를 발현 및 정제하고 이를 이용하여 pcr과 전기영동을 진행하였습니다. 정제한 taq의 농도를 serial dilution하면서 총 5개의 샘플을 만들고 전기영동을 진행하였는데 가장 결과가 진하게 나와야할 1x에서는 아무런 결과가 나오지 않고 1/4x와 1/16x 샘플에서만 dna가 발현되었습니다. 아무리 오류의 원인을 생각해봐도 마땅한 이유를 찾지 못하여 질문을 올립니다. 혹시 원인이 무엇일까요?
사진 상에서 오른쪽 결과입니다.
참고로 왼쪽의 결과와는 taq polymerase를 제외한 나머지 화학품(primer, buffer 등)은 동일한 master mix를 사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는데 왼쪽 결과는 제대로 나오고 오른쪽만 이상하게 나온 것이 의문입니다. |
|
Jipgagoshi.. | 03.30 |
|
Q. |
realtime pcr 결과가 나오지 않아요 .. |
|
|
멜팅 커브는 뜨는데 ct값이나 amplification plot이 전혀 보이지 않아요
2x pcr master mix 10 ul
cdna sample (합성 후 10배희석) 2 ul
primer (R와 F를 1:10으로 희석한 후 master mix를 만들어서 사용) 1 ul
dw 7 ul
이렇게 했는데 결과가 몇 주째 나오지 않네요 ..
|
|
뱌뱌뱌뱌 | 03.30 |
|
Q. |
product size는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 |
|
|
mRNA 분석을 위해 realtimepcr을 하려고 합니다.
blast 를 통해 검색을 해봤는데 잘 나오지 않네요 ㅠ
IL8 이고
F->5'-GCA GAG GGT TGT GGA GAA GT-3
R->5'-CCC TAC AAC AGA CCC ACA CA -3'
product size를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
|
|
뱌뱌뱌뱌 | 03.30 |
|
Q. |
C.difficile 생균상태로 분양받았는데 활성이 되지 않아요 |
|
|
안녕하세요.
새롭게 균을 배양받았는데 C.difficile은 생균활성상태로 받았습니다.
연구실에는 혐기 챔버가 없어 현재 락앤락에 gaspack을 넣고 배양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에서 혐기성 균은 처음 시작하여 여쭤봅니다.
1일차에 분양을 받아 15mL tube에 RCB 10mL+ 균 200ul을 넣고 씰링/ RCA plate에 stracking하고 씰링한 후에 락앤락에 gaspack을 넣고 37도에서 정치배양하였습니다.
2일차에 확인했을 때 액체배지에 키운 것과 고체배지에 제대로 자라지 않은 것으로 보여 3일차까지 지금 키우고 있는 상태입니다.
3일차에 혹시 몰라 생균으로 받았던 균을 이용해 15mL tube에 RCB 10mL+ 균 600ul을 넣고 씰링/ RCA plate에 stracking 후에 락앤락에 gaspack을 넣고 37도에서 정치배양 해놓은 상태입니다.
방법에 문제가 있나 싶어 질문합니다!
참고로 동결건조상태로 온 C.perfringens는 3일정도 두었더니 균이 자랐습니다.
|
|
밍숭 | 03.30 |
|
Q. |
다른사람이 사용한 채혈침 찔림 |
|
|
실험정리중 다른사람이 사용한 채혈침에 살짝 찔렸습니다. 피는 안날정도로 살짝 찔렸고 그걸 사용한 사람과 혈액형은 다르지만 사용한 사람들이 에이즈나 유전병등 질병은 앓고있지는 않습니다. 혹시 문제가 될수있나요?
|
|
도망가는도비 | 03.30 |
|
Q. |
penicillin 넣을 용량 계산문제입니다. |
|
|
SIGMA P3032-25MU penicillin 사용하려는데 1리터기준 500,000IU가 되게 넣으라고하는데 IU 개념이 아직 어려워서요! 어떻게 계산하는지 결과값이 얼마인지 알려주세요ㅠㅠ |
|
772 | 03.30 |
|
Q. |
프라이머 OD의미? |
|
|
프라이머 주문하고 받으면 OD값 이 있던데
이게 무슨의미 인지 알수있을까요?
|
|
chocolate | 03.30 |
|
Q. |
식물 추출 후 농축 과정에서 이물질 발생  |
|
|
안녕하세요.
석사 과정을 밟고 있는 대학원생입니다.
건조된 식물을 100% 에탄올로 추출한 뒤 회전 증발 농축기를 이용해 농축을 진행 중이었습니다.
농축 과정 중 딱딱한 이물질이 발생하는데 혹시 이게 뭔지 아시는 분이 있다면
어떤 물질인지, 왜 생기는 건지, 농축액을 실험에 사용해도 되는 건지 도움을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
라이옹 | 03.30 |
|
Q. |
OCVAR3 세포주 가지고 계신 분 있으실까요???ㅠㅠ |
|
|
안녕하세요. 현재 난소암을 연구중인 대학원생입니다.
OVCAR3 세포주가 급하게 필요한데 혹시 가지고 계신 분 있으실까요??
아무리 찾아보고 메일을 드려봐도 못구해서요ㅜㅜ
제가 가지고 있는 여러 cancer cell line stock도 필요하시다면 드릴 수 있습니다!!! 간절하게 구해봅니다 ㅠㅠㅠ
|
|
ㅁㅅㅇㅇ | 03.30 |
|
Q. |
cell media 문의 |
|
|
cell stock에 문제가 있었어서 penicillin 없는 DMEM media+10% FBS 인 media를 만들어 일주일 전에 한번정도 사용했는데,
다시 새로운 cell을 분양받고 새로운 DMEM +10% media+ 1% penicillin을 사용하여 배양중에 있습니다.
이전에 썼던 penicillin이 없는 media에 추가로 penicillin을 넣어 사용해도 배양할때 cell 상태에 문제가 되진 않을까요?
|
|
망고두지 | 03.30 |
|
Q. |
EGFR wild type- primer design |
|
|
안녕하세요.
A549 cell을 이용하여 EGFR-WT을 detect을 하고 싶은데,
NCBI에서 EGFR-WT PASTA 정보를 찾기 어렵네요,,,
A549 cell로 부터 DNA extraction을 진행 후 EGFR-WT primer를 디자인해 PCR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감사합니다.
|
|
minzero | 03.30 |
|
Q. |
부유세포 |
|
|
안녕하세요. 이번에 COLO-205세포를 분양받게 되었는데 부착세포만 키워봐서 부유세포에 대한 지식이 많이 부족합니다.
1. 혹시 부유세포를 100파이, 150파이 디쉬에 키워도 괜찮은 건가요? 선배 중 한 분이 디쉬에는 코팅이 되어있어서 부유세포를 키우기에 적합하지 않다고 하는데 flask와 많이 차이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2. wash는 상층액 일부를 갈아주는 형식인가요? 배지를 일부 suction 후 새 배지를 채워주면 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3. 부착세포는 sub할 때 TE처리를 하여 세포를 모은 후 centri를 돌려 진행을 하였는데 부유세포는 TE처리를 할 필요가 없는 건가요?
|
|
jang0101 | 03.30 |
|
Q. |
HPLC base line 들뜸 현상 |
|
|
안녕하세요 hplc로 정량하고 있는 와중에
그저께부터 베이스라인이 들떠서ㅜㅜ 정량을 못 하고 있습니다,, 정량해야 할 피크가 자꾸 base line이 들떠버리는 곳에 포함되어 있어 정확하게 정량을 할 수가 없습니다.
5분까지 15% ACN
35분까지 15-50% ACN으로 올려주는데,
30% ACN쯤 되면 베이스라인이 바로 뜨더라구요
혹여 시료 농도 문제일까 싶어 농도, injection 양을 다 바꿔보았지만 그대로입니다ㅠㅠ
혹시 해결방법 아시는 분 계실까요ㅠㅠ |
|
쿼카는 | 03.30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