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BUG-WINDOW 처리영역 보기]
즐겨찾기  |  뉴스레터  |  오늘의 정보 회원가입   로그인
BRIC홈 실험
대한암학회
배너광고안내
이전
다음
스폰서배너광고 안내  배너1 배너2 배너3 배너4
BioLab 신광 교수
전체보기 안전점검 LABox
 카테고리: 전체
Mol. Biol.-DNA Mol. Biol.-RNA Mol. Biol.-Protein Immunology
Cell Biology Microbiology Plant Biology Laboratory Animals
Omics Chemical biology Bioinformatics Laboratory Equipments
Buffer/Reagent Bioethics Etc.
카테고리 전체보기펼치기
질문/투표/프로토콜 등록
Q. 호기성 균주로 API CHB kit 실험 시 미네랄 오일 첨가하면 안되나요?
안녕하세요. Bacillus subtilis로 API CHB kit 실험 진행중인데, 호기성 균주의 경우에 미네랄 오일을 넣으면 안되는지 궁금해서 질문 드립니다.
회원작성글 tiger6  |  03.27
Q. 과산화수소 없는 TMB
과산화수소가 포함 되지 않은 TMB solution을 구매하고 싶은데 powder로 밖에 팔지 않는걸까요? ㅠㅠ 혹시 그렇다면 TMB powder를 사서 DMSO에 녹여 사용하면 될까요?
회원작성글 팡이  |  03.27
Q. 계면활성제 합성
계면활성제를 합성하고 싶은데 인터넷에 자료를 찾아봐도 안 나오네요..ㅠㅠ 계면활성제 합성 어떻게 하는 건가요?
회원작성글 냐냐냐먀  |  03.27
Q. pcDNA3.1-PCDH10을 가지고 계신 분 있으신가요.. ㅠㅠ
혹시 pcDNA3.1-PCDH10을 가지고 계신 대학이나 개인 있으신가요? 이번에 pcDNA3.1-PCDH10을 이용하여 transfecton을 진행하려고 하는데, 국내에서 받고싶어.. 혹시 있으신분들 댓글 남겨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회원작성글 연성  |  03.27
Q. Wa-like, DS-1 like strain 의미
바이러스 strain 분류가 Wa-like, DS-1 like 로 나뉜다는데 Wa랑 DS-1의 의미가 뭘까요ㅠㅠㅠ
회원작성글 happylove9..  |  03.27
Q. HPLC 관련 질문 드립니다.
위 사진은 아세트아미노펜 hplc 분석 사진입니다. 아세트아미노펜 단일 분석을 진행했는데, 피크가 2개가 검출되었습니다. 시료는 MeOH에 녹이고, 크로마토 조건은 ACN:H2O=40:60, 검출 파장 260nm, 유속 1.5ml/min, 컬럼은 C18컬럼을 사용했습니다.  어떤 이유로 아세트아미노펜 피크가 2개가 검출되었는지 알 수 있을까요?   위 사진은 아세트아미노펜과 동일 조건으로 Methyl p-hydroxybenzoate 단일 분석을 진행한 사진입니다. RT 초기 2분에서 3분 사이에 알 수 없는 피크가 2개가 검출되었는데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실험 전 ACN:H2O=75:25 비율로 세척을 진행하고, ACN:H2O=40:60으로 안정화 진행 후 분석을 진행했습니다. 컬럼 세척이 제대로 안되서 고스트 피크가 발생한 걸까요? 문제 해결을 위해 필요한 정보가 있으시다면, 댓글 보는대로 정보알려드리겠습니다. 
회원작성글 연람  |  03.27
Q. 적혈구 vs 구강상피세포
학부 실험하는데 현미경으로 동물세포를 관찰하는데는 구강상피세포를 사용하고 등장, 저장, 고장액으로 삼투실험할때는 적혈구를 썼습니다. 이유가 있나요? 왜 삼투실험에서는 굳이 복잡하게 채혈해가면서 적혈구를 사용하는건가요...?
회원작성글 qwerzxcv02  |  03.27
Q. ta cloning의 이론과 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이번에 처음으로 Ta cloning 을 진행하게되면서 다양한 이론도 읽어보고 실험 방법도 보고있는데 plasmid prep 과정을 진행하게 되면 전체 염기서열도 읽을 수 있게 되는걸까요?
회원작성글 유인12  |  03.27
Q. DCFH-DA를 이용한 ROS 측정 (FACS)
안녕하세요. 4T1 cell에서 chemical 처리 후 생성되는 ROS 측정을 FACS로 실험중입니다. 데이터를 분석하는 도중 Untreat group(Control-FITC)이 Unstatin 기준 100%가 나옵니다. Control그룹에서 시그널이 너무 강하게 떠서 chemical 농도별로 분석이 안되는 상황인데, control 그룹 시그널을 약하게 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처음에는 DCFH-DA working solution의 농도가 너무 높아서 그런가해서 10uM로 사용하던 것을 1uM로 줄여서 사용했습니다. 반응은 37도에서 20분 반응했습니다.
회원작성글 매드사이언스  |  03.27
Q. 세포 주기를 억제 방법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방사선을 세포에 조사해 immunofluorescence로 gamma H2AX를 관찰하는 실험을 하고 있습니다. 이번 실험에서 세포 주기를 특정 지점에 고정시켜서 세포주기에 대한 변수를 없애고 관찰하고 싶은데 혹시 세포 생장을 특정 주기에만 머물도록 하는 방법을 아시는 분이나 관련 논문을 아시는 분이 계실까요? 사용하는 세포들은 Rat diencephalon, Rat gliosarcoma 입니다. 감사합니다.    
회원작성글 limjihoon  |  03.27
Q. pcr 조건에 문제가 있는지 한번만 봐주세요.. 첨부파일
안녕하세요, mouse genotyping을 하려는데 PCR condition에 문제가 있는것인지 band가 이상하게 떠서 여러번 시도끝에 도움을 구하고자 글을 씁니다 ... 증폭되어야 할 서열의 길이는 WT=500bp, MT=163bp 입니다. primer 길이는 20mer 이구요, PCR condition은 다음과 같습니다. (The Jackson laboratory protocol 24678 을 참고하였습니다) 94℃/3min→[ 94℃/15sec→ 65~60℃/15sec (touch down)→ 68 ℃/30sec] x10 cycles → [ 94℃/15sec→ 60℃/15sec→ 72 ℃/30sec] x28 cycles→ 72℃/10min
회원작성글 권춘배  |  03.27
Q. 약물 농도 계산 맞는지 모르겠어요..
10mM(1ul) + PBS(999ul) =10uM(1ml) 10uM(5ul)+PBS(5ul) =5uM(10ul) 10uM(1ul)+PBS(9ul) =1uM(10ul) 10mM용액을 10uM, 5uM, 1uM의 농도로 1ul씩 필요해서 만들어야 하는데 맞을까요?
회원작성글 별헤는밥  |  03.27
Q. 확산과 삼투 실험에서 포도당과 베네딕트의 반응이 예상과 다릅니다
대학교에서 일반생물학실험 수업을 듣습니다. 확산과 삼투 현상에 대해 실험을 진행하면서 셀룰로오스 튜브에 녹말용액과 포도당 용액을 넣고 물이 담긴 비커에 넣은후, 비커에 요오드 용액을 넣었습니다. 이후 녹말 용액과 요오드 용액의 반응이 일어나 튜브의 색이 청남색으로 변했고, 튜브를 비커에서 뺀 후 남은 용액에 베네딕트 용액을 넣고 가열했더니 노란색을 띄던 용액이 투명하게 변했습니다.   저는 포도당이 셀룰로오스 튜브를 통과하여 베네딕트 용액과의 반응을 일으켜 황적색이 될거라고 예상했는데 결과가 당황스럽습니다.. 베네딕트 용액과 포도당을 섞고 가열하면 포도당이 베네딕트 용액의 2가 구리이온에 전자를 주어 환원시키고 1가의 구리이온을 만들고, 이때 산화구리 침전물이 생기면서 용액의 색이 황적색으로 변한다고 알고있습니다.
회원작성글 샌애긔  |  03.27
Q. [Flow cytometry] representative data는 Ctrl과 treated가 서로 다른 개체여도 되나요?
안녕하세요~ 항상 유익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flow cytometry 데이터에서,, 흔히 n=3~5로 실험을 합니다. ctrl과 treated군 이렇게 두 개를 비교한다고 할 때, 특정 cell population의 frequency를 dot plot으로도 나타내고, flow cytometry 데이터도 1개씩만 representative 로 싣습니다. 이 때 dot plot에서 평균값에 가까운 flow cytometry data를 싣다보면 ctrl과 treated에서 서로 다른 개체의 data를 써야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서로 다른 개체의 data를 사용해도 문제 없는지 궁금합니다. 면역학 고수님들의 고견을 부탁드립니다 ㅠㅠ   미리 감사드립니다!
회원작성글 크리스12  |  03.27
Q. DNA cutting후 purification잘 아시는 분..
DNA cloning을 하기 위해서 enzyme cut이후 blunt end를 만들고 gel extraction kit의 filter tube에 넣고 washing 후 elution하였습니다. 그리고 nano-drop측정을 하였는데 loss가 너무 많이 일어나서 다시 진행하였습니다. -enzyme cut 이후에도 gel extraction kit로 DNA만 얻었습니다. -한 쪽만 blunt end를 만들기 위해 enzyme cut시 잘려나가는 부위는 없고 linear 형태가 됩니다. 이번에는 enzyme cut만 하고 이전과 같은 방법으로 DNA를 얻었는데 2ug을 사용했던 DNA의 양이 약500ng만 남게 되었습니다. 주변에 물어보니 이상이 없는 것 같은데 왜 그러냐는 소리를 듣다가 브릭에 올려봅니다. cloning에 대하여 아는 것도 많이 없고 머리 싸메다가 올립니다. 고수님들 도와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회원작성글 asdf1212  |  03.27
Q. 단백질 발현 질문! (mRNA의 translation)
안녕하세요 연구원분들   분자생물학관련 질문이 있습니다.    전사된 mRNA가 단백질로 번역될 때,   1. 번역 후 mRNA는 재활용되어지나요 또는 분해되나요?    2. mRNA 내부에 개시코돈/종결코돈 즉, ORF가 2개 이상 존재하면  그에 맞게 단백질도 2개 이상이 합성되나요?    답변 부탁드립니다. 
회원작성글 juns  |  03.27
Q. 세포분열 중에 후기 과정에서 dynein이 관여하는 게 맞나요?
아니면 cohesin에 의해 염색체가 연결이 됐다가 separase에 의해 분해가 되는게 맞는 건가요
회원작성글 dpdrmfjffl..  |  03.27
Q. E.coli protein overexpression 실험에서 soluble / insoluble protein 차이점
E.coli protein overexpression 실험에서 마지막에 cell sonication하고 원심분리 한 뒤 상층액을 soluble, pellet에 buffer 파이펫팅한 후 insoluble이라고 라벨링 하는 것까지 실험을 진행하였는데 soluble과 insoluble의 정확한 의미와 거기에 들어있는 것, 그리고 그 둘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실험 내용을 정확히 이해하지 못한 채 실험을 진행하여서 그대로 따라하긴 했는데 레포트 작성하려고 하니 어려운 점이 많네요.. 도와주세요!ㅜㅜㅜ
회원작성글 댕2볼2  |  03.27
Q. 시약 용해도 질문
안녕하세요.   100mg 시약이 있는데,  solubility H2O: 10 mg/mL, clear 라고 나와있습니다.   500mM stock으로 만들고 싶어서 시약 전체를 600ul에 완전히 녹여 사용하였는데, 문제가 될까요?? 
회원작성글 하하호호후후히히  |  03.26
Q. 단백질 induction 시간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단백질 발현 및 정제 실험을 진행하고 있는 대학원생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단백질 발현시 일반적으로 18도에서 induction 시간을 오버나잇으로 잡으시는 것 같은데 혹시 그 이상 (48시간 이상) 진행시 단백질 활성에 문제가 있을까요? 단백질 발현양이 적어 48시간으로 늘려볼까 생각 중에 있는데 구글링을 해보니 단백질 활성에 negative effect가 있다고 뜨더라구요.. 어떤 문제인지 찾아보고자 했는데 잘 안 나와서.. 혹시 어떤 영향을 주는건지 알려주실 수 있으실까요? 감사합니다.
회원작성글 기적  |  03.26
이전  1 02 03 04 05 06 07 08 09 10  다음
실험 회원 등급이란?
실험Q&A 회원등급안내
위로가기
실험 홈  |  실험FAQ
 |  BRIC소개  |  이용안내  |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이메일무단수집거부
Copyright © BRIC. All rights reserved.  |  문의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유튜브 유튜브    RSS서비스 RSS
엘앤씨바이오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