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프리온(prion) 단백질은 동물과 사람의 뇌에 증식해 신경세포를 파괴함으로써 사람에서 크로이츠펠트-야콥병(Creutzfeldt-Jakob disease, CJD)과 소에서 광우병 등을 일으킨다. 그러나 이러한 프리온 질환을 잡을 수 있는 치료제가 개발되지 않아 이에 대한 학계의 관심이 높다.
연구기관 전북대 국성호, 정병훈, 이정채 연구팀
발표저널 Leukemia 
|
|
|
|
|
 |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의생명과학교실 박인규 교수 연구팀이 한국교통대학교 이용규 교수와 공동연구를 통해 고형암을 치료하는 주사형 젤을 개발했다. 주사형 젤은 고형암 내부로 약물 전달과 치료를...
연구기관 전남대 박인규, 한국교통대 이용규 연구팀
발표저널 ACS Applied Materials & Interfaces
|
|
|
|
|
 |
유전자교정기업 툴젠(199800)은 미국 존스홉킨스대, 연세대 연구팀이 지난 10일 국제 저명 학술지인 '네이처 케미컬 바이올로지'(Nature Chemical Biology)에 'Sniper2L is a high-fidelity Cas9 variant with high activity'라는 제목의 연구성과를 게재했다고 13일 밝혔다.
연구기관 툴젠, 존스홉킨스대, 연세대 연구팀
발표저널 Nature Chemical Biology
|
|
|
|
|
 |
삼성서울병원에 따르면 백경란•허경민 감염내과 교수, 김시호 삼성창원병원 감염내과 교수 등의 연구팀은 신장이식 환자에게 이식 전 대상포진 예방접종을 하는 것이 이식 후 대상포진의 발생을 줄일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신장이식을 받은 환자에게서 이식 전 대상포진에 대한 백신 효과를 증명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연구기관 삼성서울병원 백경란, 허경민, 삼성창원병원 김시호 연구팀
발표저널 Clinical Microbiology and Infection
|
|
|
|
|
 |
아주대 연구팀이 치매 환자의 약물 복용 편의성을 대폭 개선할 수 있는 새로운 주사 제형 시스템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아주대는 김문석 교수(응용화학생명공학과·대학원 분자과학기술학과)팀이 치매 질환 치료 약물인 도네페질을 함유한 주사 주입형 하이드로겔 제형을 개발했다고 13일 밝혔다
|
|
|
|
|
|
 |
천식은 알레르기 염증에 의해 기관지가 반복적으로 좁아지는 호흡기 질환으로, 기관지 확장제나 항염증제 등으로 호흡 곤란, 기침과 같은 증상을 조절할 수 있다. 하지만 중증 천식으로 진행되면 기도 구조가 변할 수 있고, 폐 조직이 딱딱하게 굳는 섬유화도...
|
|
|
|
|
 |
항암제로 치료가 안 돼 암이 재발‧전이했을 때 치료 효과를 보이는 신약 후보 물질이 개발됐다.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정재호·박기청 교수 연구팀은 기존 항암제로 치료할 수 없던 암 줄기세포의 생존 원리를 알아내고 이...
|
|
|
|
|
 |
국내 연구진이 비료로 쓰이는 인산염의 부산물이 농작물에 함유된 중금속을 줄일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농작물에 흡수된 중금속은 음식을 통해 체내로 들어가면 각종 암이나 심장 박동 이상 등 질환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이번 연구를 발전시키면 중금속에 오염된 토지에서 농작물의 생산성과 안전성을 높이는 데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
|
|
|
|
|
 |
최근 국내외 연구팀이 손을 잡고 손쉽게 잘라서 상처에 바로 이식이 가능한 세포 스티커 개발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해당 세포 스티커는 화상 상처와 같은 넓고 복잡한 모양의 환부에도 이식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처 재생 치료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할 것으로 기...
|
|
|
|
|
 |
성균관대학교 약학과 김기현 교수 연구팀과 한국표준과학연구원 화학바이오표준본부 미생물분석표준팀 유희민 박사(팀장) 연구팀은 SARS-CoV-2 감염을 저해할 수 있는 천연물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항바이러스, 항염증 효능을 스크리닝하고 폐 오가노이드를 이용한 바이러스 감염 억제 효능을 검증하기 위한 플랫폼을 구축하는데 성공했다.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