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BUG-WINDOW 처리영역 보기]
즐겨찾기  |  뉴스레터  |  오늘의 정보 회원가입   로그인
BRIC홈 동향
한국요꼬가와전기
배너광고안내
이전
다음
스폰서배너광고 안내  배너1 배너2 배너3 배너4
시스템 점검 : 4월 6일 목요일 오후 10시
전체보기 Bio통신원 Bio통계 BRIC View BRIC이만난사람들 웹진(BioWave)
연구성과뉴스 생명과학분야 한국 과학자들의 연구성과
프리온 질환과 조혈모줄기세포 관련성 규명
프리온(prion) 단백질은 동물과 사람의 뇌에 증식해 신경세포를 파괴함으로써 사람에서 크로이츠펠트-야콥병(Creutzfeldt-Jakob disease, CJD)과 소에서 광우병 등을 일으킨다. 그러나 이러한 프리온 질환을 잡을 수 있는 치료제가 개발되지 않아 이에 대한 학계의 관심이 높다.
연구기관
전북대 국성호, 정병훈, 이정채 연구팀
발표저널
Leukemia 논문보기
고형암 치료 주사형 젤 개발
고형암 치료 주사형 젤 개발  댓글 댓글쓰기  |  Bio통신원  |  03.14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의생명과학교실 박인규 교수 연구팀이 한국교통대학교 이용규 교수와 공동연구를 통해 고형암을 치료하는 주사형 젤을 개발했다. 주사형 젤은 고형암 내부로 약물 전달과 치료를...
연구기관
전남대 박인규, 한국교통대 이용규 연구팀
발표저널
ACS Applied Materials & Interfaces
신규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 개발 연구성과 게재
유전자교정기업 툴젠(199800)은 미국 존스홉킨스대, 연세대 연구팀이 지난 10일 국제 저명 학술지인 '네이처 케미컬 바이올로지'(Nature Chemical Biology)에 'Sniper2L is a high-fidelity Cas9 variant with high activity'라는 제목의 연구성과를 게재했다고 13일 밝혔다.
연구기관
툴젠, 존스홉킨스대, 연세대 연구팀
발표저널
Nature Chemical Biology
신장이식 환자에 특히 위험...예방접종만으로도 발병 ‘뚝’
삼성서울병원에 따르면 백경란•허경민 감염내과 교수, 김시호 삼성창원병원 감염내과 교수 등의 연구팀은 신장이식 환자에게 이식 전 대상포진 예방접종을 하는 것이 이식 후 대상포진의 발생을 줄일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신장이식을 받은 환자에게서 이식 전 대상포진에 대한 백신 효과를 증명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연구기관
삼성서울병원 백경란, 허경민, 삼성창원병원 김시호 연구팀
발표저널
Clinical Microbiology and Infection
치매 환자 약물 복용 편의 증진 新기술 개발
아주대 연구팀이 치매 환자의 약물 복용 편의성을 대폭 개선할 수 있는 새로운 주사 제형 시스템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아주대는 김문석 교수(응용화학생명공학과·대학원 분자과학기술학과)팀이 치매 질환 치료 약물인 도네페질을 함유한 주사 주입형 하이드로겔 제형을 개발했다고 13일 밝혔다
연구기관
아주대 김문석 연구팀
발표저널
Journal of Controlled Release 논문보기
‘난치성 천식’ 줄기세포 치료제 개발 가능성 열려
천식은 알레르기 염증에 의해 기관지가 반복적으로 좁아지는 호흡기 질환으로, 기관지 확장제나 항염증제 등으로 호흡 곤란, 기침과 같은 증상을 조절할 수 있다. 하지만 중증 천식으로 진행되면 기도 구조가 변할 수 있고, 폐 조직이 딱딱하게 굳는 섬유화도...
연구기관
울산의대 서울아산병원 신동명, 류채민 연구팀
발표저널
Experimental & Molecular Medicine 논문보기
항암제 안 듣는 암, 치료 길 열린다
항암제 안 듣는 암, 치료 길 열린다  댓글 댓글쓰기  |  Bio통신원  |  03.13
항암제로 치료가 안 돼 암이 재발‧전이했을 때 치료 효과를 보이는 신약 후보 물질이 개발됐다.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정재호·박기청 교수 연구팀은 기존 항암제로 치료할 수 없던 암 줄기세포의 생존 원리를 알아내고 이...
연구기관
연세대 정재호, 박기청 연구팀
발표저널
BMC Medicine 논문보기
비료 부산물, 농작물 중금속 흡수율 떨어뜨린다
국내 연구진이 비료로 쓰이는 인산염의 부산물이 농작물에 함유된 중금속을 줄일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농작물에 흡수된 중금속은 음식을 통해 체내로 들어가면 각종 암이나 심장 박동 이상 등 질환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이번 연구를 발전시키면 중금속에 오염된 토지에서 농작물의 생산성과 안전성을 높이는 데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
연구기관
부산대 홍창오 연구팀
발표저널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논문보기
반창고 대신 상처에 붙이는 살아있는 세포 스티커 개발
최근 국내외 연구팀이 손을 잡고 손쉽게 잘라서 상처에 바로 이식이 가능한 세포 스티커 개발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해당 세포 스티커는 화상 상처와 같은 넓고 복잡한 모양의 환부에도 이식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처 재생 치료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할 것으로 기...
연구기관
POSTECH 정성준, 영국 케임브리지대 로이신 엠 오언스, 부산대 김재호 연구팀
발표저널
Advanced Materials 논문보기
SARS-CoV-2 억제 천연물 유래 신규 항바이러스 약물 스크리닝 플랫폼 개발
성균관대학교 약학과 김기현 교수 연구팀과 한국표준과학연구원 화학바이오표준본부 미생물분석표준팀 유희민 박사(팀장) 연구팀은 SARS-CoV-2 감염을 저해할 수 있는 천연물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항바이러스, 항염증 효능을 스크리닝하고 폐 오가노이드를 이용한 바이러스 감염 억제 효능을 검증하기 위한 플랫폼을 구축하는데 성공했다.
연구기관
​​​​​​​성균관대 김기현,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유희민 연구팀
발표저널
Biomaterials Research 논문보기
 
이전  01 02 03 04 05 06 07 08 9 10  이후 목록은 검색을 이용하세요.
 
Bio통신원 기사등록
이 기사 의견 올리기
[나의 실험실 이야기] 서당개 3년이면 풍월은 읊어야지?
이 기사에 의견 올리기 YA님, 코멘트에 감사를 드립니다. 좋은 하루되세요.
[여우원숭이가 읽어주는 오늘의 과학기술] 실적 좋은 연구자는 훌륭한 교수가 될까...
이 기사에 의견 올리기 회사에 다니는 연구자이자 회사원으로 매우 공감하는 글입니다. 좋은 글 감사합니다!
[나의 미국 포닥 도전기] 오미크론 확산과 학회 연기, 그리고 포닥 인터뷰
이 기사에 의견 올리기 Sosman님 응원 감사해요:)! 옹채님, 왠지 CY일 것 같은데 따뜻한 응원의 말 고마워!!!:D 나도 같이 논문 읽고 실험하던 때가 그립다!
연재
학교와 기업의 연구원은 뭐가 다를까
나의 미국 포닥 도전기
국립암센터 암연구코어센터 뉴스레터
여우원숭이가 읽어주는 오늘의 과학기술
미국 박사 유학 생존기
연구관련성과 뉴스
대장암 환자, 근육량 증가 통해 비만도(BMI) 높이면 치료 예후 좋아 대장암 환자, 근육량 증가 통해 비만도(BMI) 높이면 치료 예후 좋아
영화 상영하듯 뇌에 빔 프로젝터 쏴 뇌 연결지도 만든다 영화 상영하듯 뇌에 빔 프로젝터 쏴 뇌 연결지도 만든다
사회성발달 지연 아동 96%, 2살 전에 미디어 시청 사회성발달 지연 아동 96%, 2살 전에 미디어 시청
담배 하루 한 갑 피우세요? 성인병 걸릴 위험 1.75배 ‘쑥’ 담배 하루 한 갑 피우세요? 성인병 걸릴 위험 1.75배 ‘쑥’
차세대 의학연구 검색엔진 ‘이비스(EEEVis)’ 개발 차세대 의학연구 검색엔진 ‘이비스(EEEVis)’ 개발
주간 베스트 클릭 동향
  
  
  
  
  
  
  
  
  
  
위로가기
동향 홈  |  동향FAQ
 |  BRIC소개  |  이용안내  |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이메일무단수집거부
Copyright © BRIC. All rights reserved.  |  문의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유튜브 유튜브    RSS서비스 RSS
에펜도르프코리아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