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밖 과학읽기] 살아야겠다 (김탁환 저/ 북스피어)](/upload/geditor/201812/477f8ac5cd67260cd95e42a0a795b9bc_1543862595_5944.png?1543862595) |
2015년 어느 날, 옆의 부서의 팀장이 오피스 문들 두들겼다. “너 한국에서 메르스 터진 거 아니? 혹시 한국에 메르스 관련 아는 사람 있으면 연결 좀 시켜줄래?” 난 그렇게 한국의 메르스 사태를 알게 되었다. 밤낮으로 한국 뉴스를 검색하면서, 한국에 있는 내 가족과 실시간으로 연락하면서, 늘어나는 숫자와 줄어드는 숫자들 사이에 격분과 염려와 안도를 담았었다. 댓글 | 2018.12.05 | 조회 4,317 |
|
|
|
|
![[논문 밖 과학 읽기] 과학기술의 일상사 (박대인, 정한별 저/ 에디토리얼)](/upload/geditor/201811/770385139901ba017e61144935a0a4ae_1542675793_7092.png?1542675794) |
(aka과정남)이란 과학 팟캐스트를 운영하는 두 청년이 과학기술정책과 과학분야에 대한 다양한 이야기들을 담은 책이다. “과학기술”이라는 책 표지의 작은 글씨보다 “일상사”라는 큰 글씨에 방점이 찍힌 만큼 ‘과학기술서’라고 겁먹지 말고 ‘과학 대중서’라는 생각으로 가볍게 책을 들었으면 한다. 댓글 | 2018.11.21 | 조회 3,930 |
|
|
|
|
![[논문 밖 과학 읽기] 떨리는 게 정상이야 (윤태웅 저/에이도스)](/upload/geditor/201810/0.48692400_1539695805.jpg?1539695805) |
『북극을 가리키는 지남철은 항상 바늘 끝을 떨고 있다. 여윈 바늘 끝이 떨고 있는 한 우리는 그 바늘이 가리키는 방향을 믿어도 좋다. 만일 그 바늘 끝이 불안한 전율을 멈추고 어느 한쪽에 고정될 때 우리는 그것을 버려야 한다. 이미 지남철이 아니기 때문이다』 신... 댓글 | 2018.10.17 | 조회 4,165 |
|
|
|
|
![[논문 밖 과학읽기] 인류의 기원 (이상희, 윤신영 저/ 사이언스북스)](/upload/geditor/201809/0.49444500_1538083611.jpg?1538083611) |
미국에서 타액(saliva)으로 혈통분석 서비스를 제공하는 AncestryDNA라는 회사의 광고 카피이다. 인간 게놈 프로젝트 이후 기하급수적으로 쌓인 과거와 현재 인류의 게놈 데이터를 통해 이제는 $99이 있는 사람이면 누구나 자신의 뿌리를 찾아볼 수 있는 세상이 되었다. 댓글 | 2018.10.02 | 조회 8,096 |
|
|
|
|
![[논문 밖 과학읽기] 내 속엔 미생물이 너무도 많아 (에드 용(Ed Yong) 저/양병찬 역 (어크로스))](/upload/geditor/201808/0.36854900_1534727904.jpg?1534727904) |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과학 블로거이자 저널리스트인 “에드 용”의 첫 책이다. 프롤로그에서 그는 ‘모든 동물학은 생태학이다.’라고 이야기하며, 우리는 동물계 전체를 거시적으로 바라보는 한편, 모든 개체의 몸에 존재하는 ‘숨은 생태계’를 미시적으로 살펴봐야 한다고 이야기한다. 댓글 | 2018.08.21 | 조회 8,947 |
|
|
|
|
|
![[논문 밖 과학읽기] 아틱노트, 알래스카에서 그린란드까지 (이유경 편저/지오북)](/upload/geditor/201807/0.69277300_1531441432.jpg?1531441432) |
북극(Arctic). 지명은 있으나 그 경계가 애매모호한 곳.지구물리학자는 백야가 나타나는 북극권보다 북쪽 지역을 북극이라 정의하고, 생태학자들은 나무가 자랄 수 있는 수목한계선 북쪽이나 7월 평균기온이 10도 이하인 지역으로... 댓글 | 2018.07.13 | 조회 3,828 |
|
|
|
|
![[논문 밖 과학읽기] 인수공통 모든 전염병의 열쇠; Spillover: Animal Infectious and the Next Human Pandemic (데이비드 콰먼 저, 강병철 역/꿈꿀자유)](/upload/geditor/201806/0.15406000_1528926133.jpg?1528926133) |
미국 CDC에 있는 작은 스미소니언 박물관에는 원숭이 두개골을 들고, 조개껍질과 털로 장식된 나이지리아 요루바교의 “천연두의 신 (God of smallpox)”인 “소포나 (Shapona)” 목각상이 전시되어있다. 소포나는 땅을 지배하는 신으로 소포나가 노하면 사람들이 곡물을 먹고, 그 곡물이 피부로 가서 천연두를 일으키는 저주를 받는다는 이야기를 사람들은 오랫동안 믿었고, 그 저주를 받지 않기 위해 사람들은 소포나를 위해서 제사를 지냈었다. 댓글 | 2018.06.14 | 조회 7,585 |
|
|
|
|
![[논문 밖 과학읽기] 랩걸 Lab Girl 나무, 과학 그리고 사랑 (호프 자런 저, 김희정 역/알마)](/upload/geditor/201805/0.07424900_1526503004.jpg?1526503004) |
막 동이 트기 전 새벽녘의 학교 앞 버스 정류장, 실험 결과가 궁금해 밤새 실험을 하고 집으로 가던 그 시간. 현미경으로 보았던 선명한 녹색의 형광 점들은 선선한 새벽 공기를 다 들이마시고 싶을 만큼 뿌듯함을 남겨주곤 했었다. 학부, 대학원, 포닥을 거쳐 지금에 이르기까지, 내 인생의 청춘을 다 바친 실험실.
댓글 | 2018.05.17 | 조회 11,031 |
|
|
|
|
![[논문 밖 과학읽기] 아픔이 길이 되려면 (김승섭/동아시아)](/upload/geditor/201804/0.55595100_1524014362.jpg?1524014362) |
역학(Epidemiology)은 특정 집단 내 발생하는 질병의 빈도와 분포를 기술하고, 그 질병의 요인들을 밝히므로 예방법을 개발하는 학문이다. 내가 처음 역학을 직접 접한 것은 Post-doc을 시작하면서부터이다, 댓글 | 2018.04.18 | 조회 6,528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