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재 |
다양하고 특색있는 연재들을 만나보세요. |
|
 |
|
논문 밖 과학읽기 < 29회 >LabSooni Mom (필명) 바이러스 연구와 백신 개발을 하고 있습니다. 논문 보느라, 실험하느라 책장 한번 넘기지 못했던 시절을 지나고 이제서야 논문 밖 과학책을 읽고 소소한 소감을 나누고자 합니다.
|
|
|
|
|
|
![[논문 밖 과학읽기] 의식의 강 (올리버 색스 저, 양병찬 역/ 알마)](/upload/board/files/news/nes_4/thumb/photo0311664_1.jpeg?1590035842) |
7 번가 작은 카페 창가에는 동그란 안경을 낀 눈으로 거리를 바라보는 한 노인이 있다. 그는
익숙한 7 번가의 냄새를, 그 7 번가에서 마주쳤던 누군가를, 그 7 번가에서 마셨던 커피 한잔
을, 그 7번가에서 맞았던 빗방울을 떠올리고 있을지 모른다. 댓글 | 2019.12.06 | 조회 4,906 |
|
|
|
|
![[논문 밖 과학읽기] 팩트풀니스 (한스 로슬링 저, 이창신 역/ 김영사)](/upload/geditor/201911/0.47128700_1572555592.jpeg?1572555592) |
2007년 TED 강연에서 의사이자 통계학자인 한스 로슬링은 극도의 빈곤 국가가 그 빈곤을 벗어날 수 있는 가능성을 여러 데이터를 통해 보여준다. 그는 셔츠를 벗고 마치 서커스를 하는 사람처럼 자신의 철검을 높이 들었다. 족히 1미터는 넘어 보이는 철검을 망치로 두들긴 후, 단단한 철검이 자신의 입을 통해 몸속으로 들어가는 것을 직접 청중들에게 보여주었다 댓글 | 2019.11.04 | 조회 5,906 |
|
|
|
|
![[논문 밖 과학읽기] 구멍투성이 과학 (스튜어트 파이어스타인 저, 김아림 역/ 리얼부커스)](/upload/geditor/201909/0.88310400_1569086642.jpg?1569203915) |
학회나 출장을 가기 전에는 항상 바쁘다. 적어도 일주일을 자리를 비워야 하니 해결해야 하는 일들과 이미 예정되어 있는 실험들을 마무리 지어야 하니 더 바쁘다. 7월 말, 학회를 가기 전엔 우리 팀과 외부의 다른 기관과의 공동 실험을 시작하고 가야 했다... 댓글 1 | 2019.09.23 | 조회 5,722 |
|
|
|
|
![[논문 밖 과학읽기] 은여우 길들이기 (리 앨런 듀가킨, 류드밀라 트루트 저, 서민아 역/ 필로소픽)](/upload/geditor/201908/0.97197100_1565645027.jpg?1565645027) |
2007년 러시아의 시베리아에 살던 여우 한 마리는 최초로 미국 플로리다의 한 가정으로 “애완용”으로 판매가 되었다. 개 처럼 목줄을 메달고 플로리다 해안가를 유유히 산책하고 주인과 키스를 하는 ‘개’가 아닌 ‘여우’를 볼 줄이야? 몇 일전 케이블 TV 의 외국인들이 한국을 방문 프로그램에서 비슷하게 생긴 ‘은여우’를 목격하였다. 러시아의 시베리아 여우는 이제 한국의 미어캣 카페에 까지 입양되어, ‘희귀 동물 애호가’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댓글 | 2019.08.14 | 조회 6,400 |
|
|
|
|
![[논문 밖 과학읽기] 사람의 자리: 과학의 마음에 닿다 (전치형 저/ 이음)](/upload/geditor/201907/0.76386500_1562685153.jpg?1562685153) |
아이가 유치원에서 그려온 그림을 내밀었다. 우리 집과 식구들을 그린 그림을 보며, 내가 물었다. “와우, 잘 그렸네! 우리 식구가 몇 명이지?” “7명 이잖어. 엄마!” 아이가 그린 그림에는 사람은 5명밖에 없었다. “어떻게 7명이야? 우리... 댓글 1 | 2019.07.10 | 조회 4,073 |
|
|
|
|
|
![[논문 밖 과학읽기] 내가 태어나기 전 나의 이야기(카타리나 베스트레 저, 조은역 역/ 김영사)](/upload/geditor/201905/0.97562200_1559097684.jpeg?1559097684) |
인간은 누구나 그 처음의 시작을 기억하지 못한다. 그것은 또 다른 생명체의 처음을 자신의 몸에 품게 된 어머니도 마찬가지이다. 나는 첫 아이를 임신했을 때, 눈으로 보이거나, 느껴지지 않는 존재를 확인하기 위해 하루에 두 번씩 임신 테스트를 했다. 매직아이 수준... 댓글 | 2019.05.30 | 조회 3,854 |
|
|
|
|
![[논문 밖 과학읽기] 세계사를 바꾼 10가지 약 (사로 겐타로 저, 서수지 역/ 사람과 나무사이)](/upload/geditor/201904/0.52247000_1555965411.jpg?1555965411) |
연구소 내에 “Take-back Drug Day”라는 포스터가 하나 붙었다. 전국적으로 매년 유통기한이 지났거나, 사용하지 않은 처방약을 수거하는 Drug Enforcement Administration (DEA) 행사에 동참하는 포스터였다. DEA 의 집계에 따르면 작년 한 해 Take-Back Day를 통해서 수거한 처방약은 900,000 파운드에 달했으며, 2010년 가을부터 수거한 처방약은 10,878,950 파운드에 달한다고 한다.[ 댓글 1 | 2019.04.23 | 조회 6,299 |
|
|
|
|
![[논문 밖 과학읽기] 화가는 무엇으로 그리는가 (이소영 저/ 모요사)](/upload/geditor/201903/0.61285700_1552255722.jpg?1552255722) |
연구를 하다 종종 벽에 부딪칠 때면, 나는 가끔 꽤 오랜 과거의 연구를 들추어 본다. 비슷한 분야의 처음 시작은 어땠을까? 얼마 전, 그렇게 뒤지고 뒤져 손에 넣은 논문은 무려 60여 년 전의 논문이었다. 아주 고전적이고, 지금은 그대로 따라 할 수도... 댓글 | 2019.03.12 | 조회 4,088 |
|
|
|
|
![[논문 밖 과학읽기] 플라이룸 (김우재 저/ 김영사)](/upload/geditor/201902/0.55009500_1549935929.jpg?1549935929) |
‘초파리 유전학자’라고 늘 스스로를 정의하는 오타와대 김우재 교수의 첫 번째 단독 저서이다. 자신의 정체성을 나타낼 때는 언제나 자신이 사랑하는 ‘초파리’를 앞세우는 그는 초파리로 세계 정복을 꿈꾼다는 초파리에 미친 사람이다. 또한, 자신의 글에 ‘급진적 생물학자’라는 정치적 성향을 드러내는 그는 과학계의 독설가로 유명하다. 초파리로 ‘사회, 과학 그리고 역사’를 담은 이 책은 초파리에 미치지 않고서는, 과학계과 사회에 쓴소리를 뱉어내지 않고서는 쓸 수 없는 ‘초파리 정신’을 담은, 그런 책이다. 댓글 | 2019.02.12 | 조회 6,344 |
|
|
|
|
![[논문 밖 과학읽기] 면역에 관하여 (율라 비스 저, 김명남 역/열린책들)](/upload/geditor/201901/0.32917700_1548204660.jpeg?1548204660) |
WHO에서는 2019년 세계 보건을 위협하는 10가지를 발표했다. 눈여겨볼 만한 것은 인플루엔자, 에볼라, 뎅기, HIV 등의 바이러스 질환이 반을 차지하며, 유럽과 미국에 보건 사회학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백신 반대운동이 8번째 위협으로 꼽혔다. 댓글 | 2019.01.23 | 조회 5,403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