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프로바이오틱스를 활용해 염증성 피부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가능성이 제시됐다.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미생물학교실 권호근 교수와 포항공과대학 생명과학과 임신혁 교수, 이뮤노바이옴(주) 연구팀은 아토피·접촉성 피부염에서 항염증성 장내...
연구기관 연세대 권호근, POSTECH 임신혁, 이뮤노바이옴(주) 연구팀
발표저널 The Journal of Allergy and Clinical Immunology
|
|
|
|
|
 |
인체 유전자에 따라 장 마이크로바이옴 구성이 달라진다는 국제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를 통해 장 마이크로바이옴과 연관된 31개의 인체 유전좌위(별첨2)를 밝혀냈으며, 그중 20개 유전자위는 장내 미생물의 양에, 11개 유전자위는 장내 미생물의 존재 여부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보고했다.
연구기관 성균관대 강북삼성병원 신호철, 김한나 참여 MiBioGen 컨소시엄
발표저널 Nature Genetics
|
|
|
|
|
 |
우리가 길을 찾거나 특별한 장소를 기억하는 것은 뇌 속 어딘가 GPS와 네비게이션 기능을 하는 영역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처음 가는 곳은 경로상의 지형지물에 촉각을 곤두세우지만, 차츰 별다른 신경을 쓰지 않고도 쉽게 찾아가는 것 역시 이런 위치추적 시...
연구기관 KIST 세바스쳔 로열 연구팀
발표저널 Neuron 
|
|
|
|
|
 |
부산대학교는 분자생물학과 박범준 교수(피알지에스앤텍 대표) 연구팀이 주도해 서울대·충남대·경상대 및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신약개발지원센터연구와 함께 이뤄낸 소아조로증의 노화 개선 연구 성과가『커뮤니케이션즈 바이올로지(Communications Biology)』 1월 4일자에 게재됐다고 19일 밝혔다.
연구기관 부산대 박범준, 강소미, 서울대·충남대·경상대 및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신약개발지원센터 연구팀
발표저널 Communications Biology
|
|
|
|
|
거식증 환자들을 분석한 결과, 같은 체중의 마른 여성에 비해 자신의 체형을 더 뚱뚱하게 인식하는 `신체 왜곡 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인제대 서울백병원 정신건강의학과(섭식장애클리닉) 김율리 교수팀이 신경성식욕부진증(이하 거식증)환자 26명과 유사한 체중의 마른 여성 53명을 비교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8일 밝혔다.
연구기관 인제대 서울백병원 김율리 연구팀
발표저널 European Eating Disorders Review
|
|
|
|
|
|
 |
부산대학교와 국립암센터 공동연구팀이 만성변비 질환의 새로운 원인으로 '보체C3 단백질의 결핍이 변비를 유도한다'는 사실을 세계 최초로 규명했다.
연구기관 부산대 황대연, 국립암센터 이호 연구팀
발표저널 FASEB J
|
|
|
|
|
 |
암 수술을 할 때 더 이상의 전이를 막기 위해 암 세포 주변 림프절을 함께 제거한다. 이런 경우 림프절이 손상되어 수술 후 팔, 다리가 심하게 붓고 통증이 생길 수 있는데, 이는 림프부종으로 암 환자의 삶의 질을 떨어뜨리는 대표적인 합병증이다.
연구기관 서울아산병원 홍준표·서현석·박창식·전재용 연구팀
발표저널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journal
|
|
|
|
|
 |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이호영 교수 연구팀은 폐암의 재발 및 악성화를 매개하는 분자생물학적 기전을 규명하고 이를 억제할 수 있는 치료전략을 제시하였다.
|
|
|
|
|
 |
한국뇌연구원(KBRI)은 신경회로연구그룹장 이계주 박사 연구팀이 환자의 사후 뇌 조직과 마우스 실험동물 모델을 활용하여 시냅스 단백질의 하나인 RAPGEF2의 발현 이상이 알츠하이머병의 시냅스 손상을 유발하는 기전임을 규명했다고 00일 밝혔다....
연구기관 KBRI 이계주, 장유나 연구팀
발표저널 Neuropathology and Applied Neurobiology
|
|
|
|
|
 |
오래된 수도관에 녹이 슬거나 이물질이 침착하면 지름이 좁아지거나 막혀 수도관이 터져버린다. 인체의 혈관도 이와 같은데, 죽상동맥경화증은 혈관의 가장 안쪽 막에 콜레스테롤 침착해 혈관 내피세포의 증식이 일어 혈관이 좁아지거나 막히는 질환이다. 이런 혈관을 관찰하기 위해서는 CT, MRI 등 정밀검사가 필요한데, 최근 POSTECH(포항공과대학교) 연구팀이 생체 밖에서 죽상동맥경화증을 관찰할 수 있는 인공동맥혈관 모델을 만들었다.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