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BUG-WINDOW 처리영역 보기]
즐겨찾기
|
뉴스레터
|
오늘의 정보
Loading...
뉴스
Bio통신원
Bio통계
BRIC View
BRIC이만난사람들
웹진(BioWave)
동향
뉴스
Bio통신원
Bio통계
BRIC View
BRIC이 만난 사람들
BioWave 웹진
한빛사
한빛사논문
추천논문
상위피인용논문
한빛사 인터뷰
한빛사 그이후
한빛사통계
Bio일정
학술
교육
연구비
공고
Webinar
VOD
행사별VOD
스페셜VOD
세미나VOD
교육VOD
실험
실험Q&A
안전점검
논문교환
LABox
바이오형광사진공모전
Bio마켓
신제품신기술
할인행사
시약벤더
제품평가
기업정보
BioJob
채용정보
대학원생모집
교수임용
구직정보
Job공감
BioLab
커뮤니티
소리마당
소리마당PLUS
학회룸쉐어
Sci카페
SciON (설문조사)
BioHelp
농수식품
β
농림성과 포커스
수산성과 포커스
식품성과 포커스
인터뷰
생물종
이름을 찾아 주세요
이름을 찾은 생물종
한반도 생태정보 공모전
울릉도독도 자생식물
β
전문가구축 생물종
BRIC소개
운영진
연혁
회원현황
수상
보도자료
BRIC스토어
이용안내
FAQ/공지사항
뉴스레터
BioJob레터
RSS서비스
오늘의 정보
마이페이지
SNS
광고
/
후원
연재
다양하고 특색있는 연재들을 만나보세요.
사이언스타임즈 < 63회 >
사이언스타임즈
사이언스타임즈에서 소개되고 있는 과학기술, 과학정책 등 과학계의 주요 이슈를 선별하여 소개합니다.
모사의 달인 ‘곰팡이’의 생존법
세계 속씨식물 수가 30만 종이라면 진균 수는 380만 종으로 12배 이상이다. 두 생물군의 상호작용은 다양한 증상의 질병을 나타낸다. 진균 중에서도 보통 버섯과 같이 상리 공생을 하는 종이 있다면, 기생하는 종이 있다. 재미있는 점은 식물에 기...
댓글
| 02.25 | 조회 301
뇌 없이도 ‘기억’ 할 수 있다
더운 여름철이 되면 화단에서 밝고 노란색의 칙칙한 얼룩을 볼 수 있다. 이 얼룩을 그냥 놔두면 회색으로 변하고 단단해지다가 갈색 가루로 분해된다. 때문에 사람들은 이 가루가 주변을 더럽힌다고 불쾌해 한다.그러나 이 얼룩은 황색망사먼지, 혹...
댓글
| 02.25 | 조회 748
“코로나19 백신 효과적이고 안전하다”...네이처지, 백신 접종자 부작용 사례 분석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진행되면서 백신의 안전성에 대한 실질적인 정보가 공개되고 있다. 최근 네이처지는 “코로나19 백신이 효과적이고 안전하다는 데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며 백신 접종자들이 겪는 부작용의 빈도와 특성...
댓글
| 02.24 | 조회 671
“장내 미생물군, 노화와 장수에도 영향”
장내 미생물군(gut microbiome)은 인체를 구성하는 필수 요소로, 최근 그 기능과 역할의 중요성이 크게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장내 미생물군이 노화 과정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는 그동안 불명확했다. 미국 시애틀 시스템 생물학 연구소(I...
댓글
| 02.24 | 조회 743
과학이 고기를 재발명해 지구를 구한다?...미국과학진흥협회 연례회의서 대체육 개발 필요성 논의
“동물을 식품으로 사용하는 것은 인류의 가장 파괴적인 테크놀로지다.”2021년 미국과학진흥협회(AAAS) 연례회의에서 주제 강의 연사로 선 패트릭 브라운(Patrick O. Brown)의 말이다. 패트릭은 국립과학아카데미의 회원이며, 견과류로 만든 넛밀크로 만든 치즈와 요거트 등을 만들어 파는 리리컬 푸드(Lyrical Foods, Inc.) 공동 창립자이다.
댓글
| 02.23 | 조회 432
변이 잡는 ‘유니버설 백신’ 개발한다
코로나19 바이러스는 사실 수백 개에 달하는 코로나 바이러스 중의 하나다. 코로나 바이러스 대다수는 박쥐와 같은 동물들만 감염시키고 있지만 그중 7개는 인간을 숙주로 선택한 후 대규모 감염에 성공을 거두었다.
댓글
| 02.23 | 조회 556
기후 변화로 사막의 새들이 위험하다
인간 활동으로 만들어지는 온실가스와 이로 인한 기후 변화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현재 인류의 가장 큰 과제다. 이를 위해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는 대책들이 다양하게 논의되고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이로 인해 줄어들고 있는 생물다양성을 보존하기 위...
댓글
| 02.19 | 조회 241
코로나19로부터 ‘언제쯤’ 벗어날 수 있나?
백신 접종이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지난 1월 말까지 세계적으로 거의 1억 명의 사람들이 코로나19 백신을 맞은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미국과 중국에서 매일 100만 명 이상이 예방주사를 맞았다. 그러나 유럽으로 가면 대다수 국가들의 접종률이 저조...
댓글
| 02.19 | 조회 811
속씨식물 기원 논쟁…종지부 찍을까?
현화식물이라 불리는 속씨식물. 꽃 피는 식물로 구성된 단계통군으로 꽃 내에 씨방이 성숙해 열매가 된다. 가축사료와 탄소 흡수원의 중요한 원천으로 언제, 어디서 유래해 현재 다양한 식물군으로 자리 잡았는지가 과학자들에겐 중요한 연구 대상이었다....
댓글
| 02.18 | 조회 404
팬데믹 ‘예보 시스템’이 등장했다
‘생물 다양성 및 생태계 서비스에 관한 정부 간 과학‧정책 플랫폼(IPBES)’이란 UN 산하 단체가 있다. IPBES에서는 지난해 11월 보고서를 통해 포유류‧조류 등 생물체 속에 약 170만 개에 달하는 ‘아직 발견...
댓글
| 02.17 | 조회 282
1
ㆍ
02
ㆍ
03
ㆍ
04
ㆍ
05
ㆍ
06
ㆍ
07
[극한직업 엄마 과학자] #23. 미국행 준비기-J2비자 인터뷰
이 시기에 아이들 셋과 미국행을 준비하신다는점, 가족이 함께 살게되는 그 순간까지 많은 과정들을 혼자 준비해가시면서 숨이 턱턱 막히는 순간도 느...
[극한직업 엄마 과학자] #19. 엄마 과학자의 부모 공부
부모도 늘 공부해야하는거 특히 건강하고 예쁜 소통에 대해서...성인이 겪는 많은 정신적 문제가 사실은 어릴적 부모와의 관계에서 유래됬다는 말.....
[극한직업 엄마 과학자] #18. 엄마 과학자는 외부 강의중
Giver가 되는 삶, 나누면서 성장한다는 것을...학생들 질문대답 꿀팁공유도 감사합니다. 멋지세요!
바이오토픽
사이언스타임즈
김재호의 생태에세이
행복한 자기성장 Self-Discovery Lab
극한직업 엄마 과학자
허리수술 할까, 말까…"초기 통증 호전하지만 장기적 차이 없어"
눈과 입안 건조해지는 ‘쇼그렌증후군’, 새로운 연구결과는?
난소암 가족력 관련 새로운 위험인자 국내 연구진이 규명
'카드뮴' 노출, 폐경 여성 골다공증 위험 3배 이상 높여
자궁경부암 치료에 좋은 한약물 확인
[바이오토픽] 1년 이상 배양된 뇌 오가노이드(brain organoid), 신생아의 뇌 변화 반영
[바이오토픽] 팬데믹 → 엔데믹: 전문가들이 바라본 COVID-19의 미래
미토콘드리아 DNA 고친다…첫 동물실험 성공
[바이오토픽] COVID-19 백신, 비교하기가 왜 이리 어려운가?
생명硏, 『2021년 10대 바이오 미래유망기술』발표
DPP-4 억제제, 코로나19 치료제로서 새로운 역할 가능성 제시
맞춤형 인공 근육 제작한다
뇌 없이도 ‘기억’ 할 수 있다
“장내 미생물군, 노화와 장수에도 영향”
[바이오토픽] eDNA의 보고(寶庫), DNA 바코딩 기술자: 쇠똥구리
동향 홈
|
동향FAQ
|
동향 문의 및 제안
홈
|
BRIC소개
|
이용안내
|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이메일무단수집거부
Copyright © BRIC. All rights reserved.
|
문의
member@ibric.org
트위터
페이스북
유튜브
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