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재 |
다양하고 특색있는 연재들을 만나보세요. |
|
 |
|
바이오토픽 < 1377회 >양병찬 (약사, 번역가) 서울대학교 경영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하고, 은행, 증권사, 대기업 기획조정실 등에서 일하다가, 진로를 바꿔 중앙대학교 약학대학을 졸업하고 약사면허를 취득한 이색경력의 소유자다. 현재 서울 구로구에서 거주하며 낮에는 약사로, 밤에는 전문 번역가와 과학 리포터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풍부한 인생경험을 살려 의약학, 생명과학, 경영경제, 스포츠, 소설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의 서적들을 번역 출간했다. 매주 Nature와 Science에 실리는 특집기사 중에서 바이오와 의약학에 관한 것들을 엄선하여 실시간으로 번역 소개한다. https://www.facebook.com/OccucySesamelStreet |
|
|
|
|
|
![[바이오토픽] 코로나바이러스, 야생동물 냉동육을 통해 전파될 수 있나?](/upload/board/files/news/nes_0/thumb/photo0328250_1.png?1614653898) |
"코로나바이러스가 '감염된 냉동 야생동물'에서 전파될 수 있다"라는 제안에 탄력이 붙고 있다. 중국에 파견됐던 세계보건기구(WHO)의 진상조사팀(fact-finding mission)은 그런 전파방식이 「초기 COVID-19 집단감염」에 기여했다는 생각을 배제하지 않았지만, 연구자들에 의하면 그게 팬데믹의 단초(端初)였을 가능성은 낮다고 한다. 댓글 | 03.02 | 조회 248 |
|
|
|
|
![[바이오토픽] p53과 RAS를 모두 겨냥하는 이중특이성항체로, 난치성 암 무찌른다](/upload/board/files/news/nes_6/thumb/photo0328236_1.png?1614646447) |
한 연구팀은 생쥐를 이용한 연구에서, "디자이너 항체(designer antibody)가 가장 악명높은 두 개의 암 범죄자(cancer's offender)—RAS와 p53—를 겨냥함으로써 종양의 증식을 억제한다"라는 사실을 발견했다. RAS와 p53은 많은 종양에서 변이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대부분의 신약개발 노력을 요리조리 피해 왔다. 댓글 | 03.02 | 조회 547 |
|
|
|
|
![[바이오토픽] (RIP) 파울 크루첸: 오존층 파괴 연구로 노벨상, 인류세 개념 창안](/upload/board/files/news/nes_7/thumb/photo0328167_1.png?1614296476) |
파울 J. 크루첸(Paul J. Crutzen; 1933–2021)은 대기오염 물질이 (지구를 유해한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해 주는) 성층권 오존을 파괴하는 메커니즘을 발견했다. 그는 이 공로를 인정받아, 그런 오염물질에 염화플루오르화탄소(CFCs: chlorofluorocarbons)가 포함된다는 사실을 증명한 F. 셔우드 롤런드(F. Sherwood Rowland), 마리오 J. 몰리나(Mario J. Molina)와 함께 1995년 노벨화학상을 수상했다. 댓글 | 02.26 | 조회 629 |
|
|
|
|
![[바이오토픽] COVID-19 백신, 비교하기가 왜 이리 어려운가?](/upload/board/files/news/nes_1/thumb/photo0328121_1.png?1614214284) |
유수프 아데바요 아데비시는, 70%의 예방률을 가진 '어떤 백신'이 나이지리아를 코로나바이러스 팬데믹에서 지켜 줄 소중한 도구라는 사실을 알고 있다. 특히 그 백신의 가격이 저렴하고, 극단적으로 낮은 온도에서 보관될 필요가 없다면 말이다. 그러나 다른 백신—가격이 비싸고 보관하기 어려운 백신—의 예방률이 95%라면 어떻게 해야 할까? 댓글 | 02.25 | 조회 2,380 |
|
|
|
|
![[바이오토픽] 1년 이상 배양된 뇌 오가노이드(brain organoid), 신생아의 뇌 변화 반영](/upload/board/files/news/nes_2/thumb/photo0328062_1.png?1614126280) |
인간줄기세포들을 적절한 영양소와 함께 배양접시 위에 놓으면, '조그만 뇌'를 형성하려고 최선을 다할 것이다. 물론 그들의 노력은 수포로 돌아가겠지만, 우리는 오가노이드(organoid)—반쯤 조직화된 세포 덩어리—를 얻게 될 것이다. 댓글 | 02.24 | 조회 3,183 |
|
|
|
|
|
![[바이오토픽] eDNA의 보고(寶庫), DNA 바코딩 기술자: 쇠똥구리](/upload/board/files/news/nes_2/thumb/photo0328012_1.png?1614041311) |
쇠똥구리의 장(腸)에서 발견된 DNA는, 언젠가 한 지역의 생물다양성(biodiversity)을 추론하는 도구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한 지역—인근의 숲이 됐든 먼 산비탈이 됐든—에 상주하는 생물들의 정체를 알고 싶어하는 생물학자들은 조만간 새로운 조수를 고용하여 그 주변의 DNA를 모조리 수집하게 될지도 모르겠다. 댓글 | 02.23 | 조회 861 |
|
|
|
|
![[바이오토픽] 팬데믹 → 엔데믹: 전문가들이 바라본 COVID-19의 미래](/upload/board/files/news/nes_2/thumb/photo0327952_1.png?1613955668) |
《Nature》가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많은 과학자들은 "COVID-19를 초래한 바이러스가 한정된 지역에서 주기적으로 계속 유행—이것을 엔데믹(endemic), 즉 풍토병(風土病)이라고 한다—하겠지만, 위험성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 감소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댓글 | 02.22 | 조회 2,425 |
|
|
|
|
![[바이오토픽] 꿈속에 들어가, 꿈꾸는 사람과 실시간으로 대화한 과학자들](/upload/board/files/news/nes_7/thumb/photo0327897_1.png?1613696434) |
영화 《인셉션(Inception)》에서,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는 다른 사람들의 꿈속에 들어가, 그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잠재의식으로부터 비밀을 훔친다. 이제 그 SF영화의 줄거리가 현실에 한 '아기 걸음'만큼 다가섰다. 사상 최초로, 연구자들이 루시드 드리머(lucid dreamer)—자기가 꿈을 꾸고 있다는 사실을 인지하는 사람. 댓글 | 02.19 | 조회 2,064 |
|
|
|
|
![[바이오토픽] 블루버드바이오, 겸상백혈구 빈혈증 유전자요법 임상시험 중단](/upload/board/files/news/nes_2/thumb/photo0327822_1.png?1613607689) |
유망한 유전자요법의 임상시험이 뜻밖의 사고로 인해 중단되었다. 겸상적혈구빈혈(sickle cell anemia)의 유전자요법 임상시험을 진행 중이던 업체가, 두 명의 참가자가 백혈병 유사 암(leukemia-like cance)에 걸린 후 임상시험을 중단한 것이다. 블루버드바이오(Bluebird bio)가 '치료용 유전자(therapeutic gene)를 전달한 바이러스가 암을 초래했는지' 여부를 조사하고 있는 가운데, 그러한 접근방법의 위험성에 대한 해묵은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댓글 | 02.18 | 조회 1,316 |
|
|
|
|
![[바이오토픽] 네발동물의 진화사를 다시 쓴 세 편의 논문들](/upload/board/files/news/nes_3/thumb/photo0327773_1.png?1613523418) |
지금으로부터 거의 700년 전, 네덜란드의 시인 야코프 판 마를란트는 '육지생활에 필요한 채비를 모두 갖춘 물고기'의 모습을 상정했다. 그 물고기는 자신의 몸을 육지로 끌어올릴 수 있는 팔을 갖고 있었다. 댓글 | 02.17 | 조회 1,260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