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BUG-WINDOW 처리영역 보기]
즐겨찾기  |  뉴스레터  |  오늘의 정보 회원가입   로그인
BRIC홈 동향
에이비클로널
배너광고안내
이전
다음
스폰서배너광고 안내  배너1 배너2 배너3 배너4
Miami Winter Symposium 2023 – Molecular Neuroscience: Focus on Sensory Disorders 학회 참관기
전체보기 Bio통신원 Bio통계 BRIC View BRIC이만난사람들 웹진(BioWave)
연재 다양하고 특색있는 연재들을 만나보세요.
변서현
마감 할일 많은 대학원생이 쓰는 연구실의 피, 땀, 눈물☆ < 22회 >
변서현 (포항공과대학교 융합생명공학부 석박사통합과정)

논문으로 이미 출판된 지식이 아닌, 지식이 만들어지는 연구의 과정을 현장의 연구자이자 대학원생인 필자가 경험을 토대로 소개합니다. 연구실에서 있었던 일, 연구자들 간의 대화 등을 소재로 한국의 연구실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한 작은 의견을 제시합니다.

[할일 많은 대학원생의 피땀눈물] 졸업합니다!
<할 일 많은 대학원생이 쓰는 연구실의 피, 땀, 눈물>의 글쓴이 변서현입니다. 좋은 소식이 있어 전해드립니다. 대학원에서 석박사 통합과정 7년의 생활을 마무리하고, 드디어 졸업합니다! 다음주부터 회사에 출근하게 되어 이번 글을 마지막으로 연재를 종료합니다.
댓글 댓글쓰기 2  |  01.31  |  조회 2,983
[할일 많은 대학원생의 피땀눈물] 생명끈과 가방끈 사이 그 어딘가
대학원생들 사이에 도는 오래된 농담이다 (짤도 있다!). 대학원 과정이 학위를 받는 일이니 가방끈을 늘이는 일이 되는데, 생명끈을 잘라 가방끈에 이어 붙인다는 뜻이다. 대학원 과정에서 건강을 챙기기 그만큼 어렵다는 의미가 되겠다. 그렇다면, 대학원생들끼리 왜 이런 말들을 하게 되었을까. 대학원생들은 왜 아프게 되었을까?
댓글 댓글쓰기 1  |  2022.11.24  |  조회 2,857
[할일 많은 대학원생의 피땀눈물] OO에서 살아남기
어렸을 때 유행했던 어린이용 만화책 중에 시리즈가 있었다. <무인도에서 살아남기>로 시작해, 사막, 빙하, 아마존, 지진 등 평소에 경험하기 어려운 극한 환경이나 재난에서 생존하기 위한 방법들을 어린이의 시선에서 설명해준 고마운 책이었다. 무인도에서 물 구하는 방법을 알게 되고, 먼 훗날 사고로 무인도에 표류해도 살아남을 수 있겠다는 자신감을 수많은 어린이들에게 심어주었다.
댓글 댓글쓰기 1  |  2022.08.16  |  조회 2,431
[할일 많은 대학원생의 피땀눈물] 논문 쓰는 건 처음이라
정말, 정말 오랜만에 글을 쓸 짬이 생겼다. 실제로 시간적 여유가 생긴 것보다는, 정신적 여유가 생겼다는 표현이 맞을 것 같다. 그동안 글을 부지런히 쓰지 못한 이유는 다른 종류의 글에 모든 에너지를 쏟고 있었기 때문이다. 수년간 가꿔온 나의 개인 프로젝트에 대한 논문을 쓰는 중이다. 정확히는, 이미 원고를 완성하고 몇 번의 제출과 거절을 경험하고 있다.
댓글 댓글쓰기 1  |  2022.06.03  |  조회 5,370
[할일 많은 대학원생의 피땀눈물] 연구노트를 잘 씁시다
이번 주에는 연구노트를 정리했다. 평소 실험할 때는 이면지를 클립파일에 끼워 실험할 때 들고 다니면서 편하게 기록을 하는 편인데, 낱장의 종이 뭉텅이를 그냥 둘 수는 없어 주기적으로 연구노트에 꼼꼼하게 정리해 둔다.
댓글 댓글쓰기 3  |  2022.01.18  |  조회 7,191
[할일 많은 대학원생의 피땀눈물] 휴가, 갈 수 있을까?
지난 5월, 포스텍 (포항공대) 대학원 총학생회는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백신 휴가’ 사용이 가능함을 공지했다. 아직 일반 성인에 대한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시작되지 않은 시점이었다. 모든 대학원생은 백신 접종 시점부터 그 다음날까지 이상 반응 여부에 관계없이 쉴 수 있고, 이상 반응이 있을 경우 병가를 추가로 받을 수 있도록 했다. 
댓글 댓글쓰기  |  2021.12.02  |  조회 6,669
[할일 많은 대학원생의 피땀눈물] 지구야 우리가 미안하다!!!!!
코로나19 대유행이 계속되면서 일회용품 사용이 엄청나게 늘었다는 소식을 자주 접하고 있다. [1] ‘그럴 수 있지…’ 하며 보다가 문득 든 생각. 코로나19 이전에도 그 어느 곳보다 거침없이 일회용품을 쓰는 곳이 사실 생명과학 실험실이 아니던가. 실험을 하면서 ‘내가 인류에 기여하고 있는 건지는 모르겠지만 지구에 해를 끼치는 것은 맞다.’라고 생각해 본 적이 여러 번 있었다.
댓글 댓글쓰기 1  |  2021.08.18  |  조회 3,449
[할일 많은 대학원생의 피땀눈물] 결국은 글을 써야 한다
오랜만에 쓰는 글이다. 사실 ‘글’을 오랜만에 쓰는 건 아니다. 올해 상반기에 몇 가지의 연구과제 계획서를 쓰고, 학술지에 낼 논문의 초고를 작성하는 데에 집중하느라 다른 종류의 글을 쓰는 데에 소홀히 했다. 기다리셨을 독자분들께 먼저 죄송하다는 말씀을 드린다. (안 기다리셨다면 뭐 할 수 없구요……..) 나의 연구를 말로 설명해야 할 때도 많지만, 글로 연구를 설명해야 하는 때도 학위 과정 동안 생각보다 많이 나타난다.
댓글 댓글쓰기  |  2021.06.11  |  조회 4,106
[할일 많은 대학원생의 피땀눈물] 안녕하세요, 랩장입니다
‘랩장’이 된 지 6개월 정도가 된 것 같다. 함께 대학원에 입학한 다른 동기들에 비해 조금 늦게 랩장이 되었다. 연구실 내의 이런저런 사정이 겹쳐 선배들이 모두 2년 가까이 랩장의 일을 마친 후에 그 역할을 물려받았다. 지난 글에서 랩장에 대해 언급했던 기억이 있어, 이번 글에서는 아예 ‘랩장’에 대해 써보려고 한다.
댓글 댓글쓰기 2  |  2021.02.02  |  조회 9,192
[할일 많은 대학원생의 피땀눈물] 청소를 안하면 새로운 우주가 탄생한다
몇 년 전, 싸이의 ‘강남스타일’이 전세계적으로 유명해졌을 때 미국 MIT의 한인 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만든 ‘MIT Gangnam Style’이라는 커버 뮤직비디오가 유튜브에서 화제가 된 적이 있었다. 당시 노래가 끝나고 마지막 부분에서 보인 장소는 누가 봐도 생명과학 계열 실험실인 곳이었는데, 그곳 구석에서 주인공이 실험대 위의 물건들을 밀어 놓고 엎드려 쪽잠을 자는 장면으로 등장했었다.
댓글 댓글쓰기 3  |  2020.11.16  |  조회 5,199
 
처음 이전  1 02 03  다음 끝
 
Bio통신원 기사등록
이 기사 의견 올리기
[나의 미국 포닥 도전기] 오미크론 확산과 학회 연기, 그리고 포닥 인터뷰
이 기사에 의견 올리기 아메리칸 드림을 응원합니다 :)
[난그댄!] 선/점/곡선으로 분포를 보여주는 플랏
이 기사에 의견 올리기 감사합니다.
[이 주임의 정부과제 수행기] 13화_정부연구과제를 정복한 이 주임 (마지막 회...
이 기사에 의견 올리기 공무원 입장에서 읽었는데, 제가 모르는 곳에서 열심히 하고 계시는 분들이 많은 걸 느낍니다.잘 읽었습니다.
연재
학교와 기업의 연구원은 뭐가 다를까
나의 미국 포닥 도전기
극한직업 엄마 과학자
엄마 과학자 창업기
예일대 포닥, 지원 준비부터 미국 생활 정착까지의 기록
연구관련성과 뉴스
팬데믹/엔데믹 등 향후 신/변종 감염병 적용 가능한 고민감도 현장진단기술 개발 팬데믹/엔데믹 등 향후 신/변종 감염병 적용 가능한 고민감도 현장진단기술...
2형 당뇨 약물의 전달 효능을 개선한 ‘에그 마이크로니들’ 개발 2형 당뇨 약물의 전달 효능을 개선한 ‘에그 마이크로니들’ 개발
‘맛집 탐방 신경과 음식 먹기 신경’ 발견 ‘맛집 탐방 신경과 음식 먹기 신경’ 발견
미세유체칩 기반 3차원 피부-신경 연접 모델 개발 미세유체칩 기반 3차원 피부-신경 연접 모델 개발
급성심근경색 진단·치료 남녀 성별 차이 규명 급성심근경색 진단·치료 남녀 성별 차이 규명
주간 베스트 클릭 동향
  
  
  
  
  
  
  
  
  
  
위로가기
동향 홈  |  동향FAQ
 |  BRIC소개  |  이용안내  |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이메일무단수집거부
Copyright © BRIC. All rights reserved.  |  문의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유튜브 유튜브    RSS서비스 RSS
엘앤씨바이오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