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재 |
다양하고 특색있는 연재들을 만나보세요. |
|
 |
|
김재호의 생태에세이 < 61회 >김재호 (<교수신문> 과학·학술 팀장) 학부에서 수학을, 대학원에서 철학을 전공하고 학술기자, 탐사보도 연구원 등으로 일했다. 지금은 과학커뮤니케이션 차원에서 자유롭게 글을 쓰고 있다. 환경과 생태의 차원에서 과학철학에 대한 고민이 많고, 영화와 연극, 음악을 좋아한다. <동아일보>에 '과학에세이', <포스코투데이>에 '과학의 발견'을 연재한 바 있으며, '학술문화연구소(http://blog.naver.com/acacullab)'를 운영하고 있다. 《레이첼 카슨과 침묵의 봄》, 《소프트웨어가 세상을 지배한다》, 《대한민국 소프트웨어 성공 방정식》, 《다시 과학을 생각한다》(공저), 《인공지능, 인간을 유혹하다》(공저), 《자유롭게 김광석 이야기》 등을 집필하였다.
|
|
|
|
|
|
 |
영화 「아나키스트」(유영식 감독, 2000)는 일제 강점기 때 독립운동을 하던 이들의 이야기를 다룬다. 영화에서 세르게이 역을 맡은 배우 장동건은 아편에 중독된다. 일제의 고문 후유증 때문이었다. 의열단원들은 베이징의 한 아편 동굴에서 세르게인을 찾아... 댓글 | 02.24 | 조회 564 |
|
|
|
|
 |
코로나19 감염자들은 일반적으로 급성 호흡기 질환이나 경미한 단기 증상을 보여왔다. 세계보건기구(WHO)dp 따르면, 코로나19 감염의 약 80%가 경미하거나 무증상이며, 환자들은 대부분 2주 후에 회복된다. 하지만 ‘만성 코로나(Long... 댓글 | 01.13 | 조회 1,677 |
|
|
|
|
 |
엊그제 한 연예 프로그램을 보다가 유명 영화배우가 소리에 매우 민감하다는 걸 알게 됐다. 필자 역시 소리에 예민한 편이다. 주위엔 소리뿐만 아니라 빛에 민감한 이들도 있다. 빛이 없어도 문제이지만, 너무 많아도 힘들어 하는 경우들을 봤다. 사람들 역시... 댓글 | 01.04 | 조회 813 |
|
|
|
|
 |
코로나19로 인해 인간은 ‘인류’의 관점에서 맞서는 시대가 됐다. 개인의 활동과 움직임이 이제 인류를 위협하는 팬데믹 시대다. 북적이던 도심의 거리는 이제 휑한 바람만이 분다. 생계가 막막해진 소상공인들과 일자리를 잃은 노동자들은... 댓글 | 2020.12.18 | 조회 902 |
|
|
|
|
 |
가끔 물건을 사다보면 제품보다 포장지가 더 큰 경우가 있다. 배보다 배꼽이 더 큰 경우인데, 포장이 좀 과하다는 생각이 들 때가 있다. 고려해야 할 것은 배송과 포장이다. 배송과 포장이 전 세계 온실 가스 배출량의 약 3%를 차지한다. 재활용 재료로... 댓글 | 2020.12.09 | 조회 858 |
|
|
|
|
|
 |
최근 유튜브에서 한 지역(보성)에서 자행된 강아지와 고양이 불법 안락사 영상을 보았다. 구조 대원들은 비명을 질렀고, 포대자루에선 이미 죽은 강아지들과 고양이들의 시체들이 즐비했고, 죽어가고 있는 애들도 있었다. 반쯤은 마취된 상태로 깨어나는 강아지와 고양이도 있었다. 20여 마리의 유기동물 중 1마리는 간신히 살아남았다고 한다. 댓글 | 2020.11.24 | 조회 1,021 |
|
|
|
|
 |
많은 실험동물들이 과학 저널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됐다. 최근 <사이언스>는 '수백만 마리의 동물들이 과학 연구에서 사라지고 있는지도 모른다'는 내용을 소개했다. 네덜란드의 한 대... 댓글 | 2020.10.19 | 조회 1,995 |
|
|
|
|
 |
가을 산책을 하다가 개미가 죽은 동료의 사체를 끌고 가는 걸 보았다. 무언가 뭉클한 장면이었다. 개미는 왜 죽은 자신의 동료 사체를 가져가는 것일까? 여러 생각이 들었다. 혹시 애도하기 위한 것인가 아니면 먹이로 사용하려는 것일까? 아니면 죽은 개미를... 댓글 1 | 2020.10.13 | 조회 2,691 |
|
|
|
|
 |
지구가 심상치 않은 것일까? 남아프리카 보츠와나의 코끼리 350마리가 떼죽음을 당했다. 적어도 350마리 수준이고, 약 400마리에 달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환경 단체들은 코끼리에게 닥친 21세기 최악의 재앙 중 하나라고 밝혔다.
보츠와나에선... 댓글 | 2020.07.10 | 조회 2,461 |
|
|
|
|
 |
5월 22일은 생물다양성의 날이었다. 코로나 19로 전 세계가 시름하고 있는 요즘, 과연 우리는 말로만 생물다양성을 외친 건 아닌지 반성해볼 필요가 있다. 코로나 19의 정확한 원인을 두고 국가 간 공방과 비난이 이어지고 있지만, 분명한 건 바이러스의... 댓글 | 2020.05.26 | 조회 3,046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