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석장비 이야기] 글은 인연을 맺어줍니다.](/upload/board/files/news/nes_7/thumb/photo0342447_1.png?1655774147) |
인연을 만드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이 중에 글쓰기도 있습니다. 자기가 어떤 것을 잘하고 관심 있는지에 대한 것을 글로 표현하면 인연은 찾아옵니다. 평소에 어떤 일의 변천과 흥망의 과정을 찾아가는 것에 재미를 느낍니다. 댓글 | 06.21 | 조회 434 |
|
|
|
|
![[분석장비 이야기] 분석장비는 무엇으로 사는가?](/upload/board/files/news/nes_1/thumb/photo0342261_1.png?1655170972) |
평소 자전거 타고 회사에 출근한다. 그러면 긍정이 쏟아진다.
하루 4천원이란 기름값을 줄일 수 있겠다~로 시작했지만, 현 인류의 최대 과제인 탄소 저감에도 기여하고, 여기에 더해 건강도 챙길 수 있다. 그리고 이보다 더 으뜸인 건... 댓글 | 06.15 | 조회 875 |
|
|
|
|
![[분석장비 이야기] 색온도를 측정하는 색채조도계](/upload/board/files/news/nes_1/thumb/photo0340951_1.png?1651453573) |
이랑주 작가가 지은 “좋아 보이는 것들의 비밀”에서는 색 온도의 중요성에 대해 강조합니다. 색 온도가 낮으면 노랗거나 붉은색을 띠고, 색 온도가 높으면 희고 푸른색을 나타냅니다. 같은 물건인데도 어떤 색 온도에서 보느냐에 따라 느낌이 천차만별입니다. 댓글 | 05.02 | 조회 464 |
|
|
|
|
![[분석장비 이야기] 연성탈착 이온화 질량분석법 개발 (다나카 고이치_Koichi Tanaka)](/upload/board/files/news/nes_5/thumb/photo0336195_1.png?1636508534) |
1987년 바이오 연구팀에서 일하던 그는 우연한 실수를 계기로 MALDI (매트릭스 지원 레이저 이온화법)를 발명한다. 이 발명은 이후 신약개발에 획기적인 전기를 마련, 생체고분자 해석 방법을 독자적으로 개발한 공로를 인정받아 영국의 존 펜박사와 스위스의 쿠르트 뷔트리히 박사와 함께 노벨 화학상을 공동 수상하게 된다. 댓글 | 2021.11.10 | 조회 1,888 |
|
|
|
|
![[분석장비 이야기] 중합요소 연쇄반응법(PCR) 개발 (캐리 뱅크스 멀리스_Kary Banks Mullis)](/upload/board/files/news/nes_5/thumb/photo0333365_1.png?1627966807) |
PCR은 polymerase chain reaction 으로, 우리말로는 중합효소 연쇄반응이라고 한다. 이는 DNA의 원하는 부분을 복제, 증폭시키는 분자생물학적 기술로서 이 기술을 사용하면 미량인 DNA 용액에서 연구자가 원하는 특정DNA 단편만을 선택적으로 증폭시킬 수 있다. 그리고 증폭된 DNA는 분자생물학, 의료, 범죄수사, 생물의 분류 등 DNA를 취급하는 곳에서 보다 정확한 분석을 할 수 있도록 하게 하였다. 댓글 | 2021.08.04 | 조회 3,982 |
|
|
|
|
|
![[분석장비 이야기] 고분해능 핵자기 공명분광학 개발 (리하르트 에른스트_Richard R. Ernst)](/upload/board/files/news/nes_2/thumb/photo0331522_1.png?1623028019) |
“1901~2017년 사이 노벨 과학상을 수상 한 348건 중 분석기술/장비 분야 수상건수는 27건(8.2%)이다. 이 데이터에서 보듯 노벨 과학상에서 분석기술 연구장비 분야 수상비중은 무시할 수 없을 정도로 높다.” ... 댓글 | 2021.06.07 | 조회 1,497 |
|
|
|
|
![[분석장비 이야기] 결정학적 전자현미경 개발과 핵산 단백질 복합체의 구조 규명 (아론 클루그_Aaron Klug)](/upload/board/files/news/nes_5/thumb/photo0330865_1.png?1620970221) |
“1901~2017년 사이 노벨 과학상을 수상 한 348건 중 분석기술/장비 분야 수상건수는 27건(8.2%)이다. 이 데이터에서 보듯 노벨 과학상에서 분석기술 연구장비 분야 수상비중은 무시할 수 없을 정도로 높다.” ... 댓글 | 2021.05.17 | 조회 2,186 |
|
|
|
|
![[분석장비 이야기] 엑스선 기술로 중요한 생화학 물질의 구조결정을 한 도로시 호지킨(Dorothy Hodgkin)](/upload/board/files/news/nes_6/thumb/photo0330726_1.png?1620783189) |
“1901~2017년 사이 노벨 과학상을 수상 한 348건 중 분석기술/장비 분야 수상건수는 27건(8.2%)이다. 이 데이터에서 보듯 노벨 과학상에서 분석기술 연구장비 분야 수상비중은 무시할 수 없을 정도로 높다.” ... 댓글 | 2021.05.12 | 조회 1,551 |
|
|
|
|
![[분석장비 이야기] 전기영동 및 흡착분석을 연구하여 노벨상을 수상한 아르네 티세리우스(Arne Tiselius)](/upload/board/files/news/nes_8/thumb/photo0330358_1.png?1619746719) |
“1901~2017년 사이 노벨 과학상을 수상 한 348건 중 분석기술/장비 분야 수상건수는 27건(8.2%)이다. 이 데이터에서 보듯 노벨 과학상에서 분석기술 연구장비 분야 수상비중은 무시할 수 없을 정도로 높다.” 댓글 | 2021.04.30 | 조회 1,859 |
|
|
|
|
![[분석장비 이야기] 분배 크로마토그래피는 아처마틴(Archer Martin)과 리처드 싱(Richard Synge)에게 노벨상을 선물했다](/upload/board/files/news/nes_3/thumb/photo0325693_1.png?1608526292) |
“1901~2017년 사이 노벨 과학상 수상 348건 중 분석기술/장비 분야 수상건수는 27건(8.2%)이다. 그리고 수상자 수를 기준으로 보면 총 699명 중 46명(7.7%)에 해당된다. 이 데이터에서 보듯 노벨 과학상에서 분석기술 연구... 댓글 | 2020.12.22 | 조회 2,064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