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석장비 이야기] 아들과 함께 한 제35회 세계임상병리사연맹총회 및 학술대회(IFBLE) 방문기](/upload/board/files/news/nes_8/thumb/photo0348488_1.png?1674698349) |
예전에 아들과 함께 제35회 세계임상병리사연맹총회 및 학술대회(IFBLE)를 참관했다. 평소 임상병리 역사와 유물 수집에 조예가 깊으신 지인 분((주)성현 메디텍, 차경환 대표님)께서 초대장를 보내 주셨다.
지인... 댓글 | 01.31 | 조회 344 |
|
|
|
|
![[분석장비 이야기] 반도체는 선진국인데, 분석장비는 왜 그러지 못할까?](/upload/board/files/news/nes_6/thumb/photo0346176_1.png?1667173884) |
우리나라는 반도체 선진국이다. 삼성전자와 SK 하이닉스로 대표되는 우리나라 반도체는 세계 시장의 20%를 차지할 정도로 위상이 높다. 반도체는 축구장 길이보다 약 7배나 길다는 팹(FAB)이란 공장에서 만들어진다. 1개의 팹을 짓는데 10조 원 이상 투자된다고 한다. 머리로만 겨우 가늠질 할 수 있는 금액이다.
자료출처: 이투데이 "삼성전자 3년만에 세계 반도체 매출 1위 탈환 기사 중에서
반도... 댓글 | 2022.10.31 | 조회 1,407 |
|
|
|
|
![[분석장비 이야기] 아메리카노 커피 덕분에 우리나라 광복을 도운 자외선 분광광도계를 만난다](/upload/board/files/news/nes_0/thumb/photo0342990_1.png?1657585744) |
과학기술의 발전 덕에 분석의 마지막엔 거의 분석장비가 등장한다. 카페인 시험(분석)법엔 액체 크로마토그래피가 주인공이다. 나의 이야기로 주인공을 소개한다. 혼합물을 어떤 화학처리가 된 특별한 관에 세게 밀어준다. 그러면 혼합물에 포함된 성분들이 각각의 성질에 못 이겨 분리되기 시작한다. 분리된 성분들은 시간 간격을 두고 관에서 순차적으로 빠져나온다. 댓글 | 2022.07.12 | 조회 2,070 |
|
|
|
|
![[분석장비 이야기] 글은 인연을 맺어줍니다.](/upload/board/files/news/nes_7/thumb/photo0342447_1.png?1655774147) |
인연을 만드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이 중에 글쓰기도 있습니다. 자기가 어떤 것을 잘하고 관심 있는지에 대한 것을 글로 표현하면 인연은 찾아옵니다. 평소에 어떤 일의 변천과 흥망의 과정을 찾아가는 것에 재미를 느낍니다. 댓글 | 2022.06.21 | 조회 1,178 |
|
|
|
|
![[분석장비 이야기] 분석장비는 무엇으로 사는가?](/upload/board/files/news/nes_1/thumb/photo0342261_1.png?1655170972) |
평소 자전거 타고 회사에 출근한다. 그러면 긍정이 쏟아진다.
하루 4천원이란 기름값을 줄일 수 있겠다~로 시작했지만, 현 인류의 최대 과제인 탄소 저감에도 기여하고, 여기에 더해 건강도 챙길 수 있다. 그리고 이보다 더 으뜸인 건... 댓글 | 2022.06.15 | 조회 1,696 |
|
|
|
|
|
![[분석장비 이야기] 색온도를 측정하는 색채조도계](/upload/board/files/news/nes_1/thumb/photo0340951_1.png?1651453573) |
이랑주 작가가 지은 “좋아 보이는 것들의 비밀”에서는 색 온도의 중요성에 대해 강조합니다. 색 온도가 낮으면 노랗거나 붉은색을 띠고, 색 온도가 높으면 희고 푸른색을 나타냅니다. 같은 물건인데도 어떤 색 온도에서 보느냐에 따라 느낌이 천차만별입니다. 댓글 | 2022.05.02 | 조회 1,473 |
|
|
|
|
![[분석장비 이야기] 연성탈착 이온화 질량분석법 개발 (다나카 고이치_Koichi Tanaka)](/upload/board/files/news/nes_5/thumb/photo0336195_1.png?1636508534) |
1987년 바이오 연구팀에서 일하던 그는 우연한 실수를 계기로 MALDI (매트릭스 지원 레이저 이온화법)를 발명한다. 이 발명은 이후 신약개발에 획기적인 전기를 마련, 생체고분자 해석 방법을 독자적으로 개발한 공로를 인정받아 영국의 존 펜박사와 스위스의 쿠르트 뷔트리히 박사와 함께 노벨 화학상을 공동 수상하게 된다. 댓글 | 2021.11.10 | 조회 3,232 |
|
|
|
|
![[분석장비 이야기] 중합요소 연쇄반응법(PCR) 개발 (캐리 뱅크스 멀리스_Kary Banks Mullis)](/upload/board/files/news/nes_5/thumb/photo0333365_1.png?1627966807) |
PCR은 polymerase chain reaction 으로, 우리말로는 중합효소 연쇄반응이라고 한다. 이는 DNA의 원하는 부분을 복제, 증폭시키는 분자생물학적 기술로서 이 기술을 사용하면 미량인 DNA 용액에서 연구자가 원하는 특정DNA 단편만을 선택적으로 증폭시킬 수 있다. 그리고 증폭된 DNA는 분자생물학, 의료, 범죄수사, 생물의 분류 등 DNA를 취급하는 곳에서 보다 정확한 분석을 할 수 있도록 하게 하였다. 댓글 | 2021.08.04 | 조회 5,510 |
|
|
|
|
![[분석장비 이야기] 고분해능 핵자기 공명분광학 개발 (리하르트 에른스트_Richard R. Ernst)](/upload/board/files/news/nes_2/thumb/photo0331522_1.png?1623028019) |
“1901~2017년 사이 노벨 과학상을 수상 한 348건 중 분석기술/장비 분야 수상건수는 27건(8.2%)이다. 이 데이터에서 보듯 노벨 과학상에서 분석기술 연구장비 분야 수상비중은 무시할 수 없을 정도로 높다.” ... 댓글 | 2021.06.07 | 조회 2,293 |
|
|
|
|
![[분석장비 이야기] 결정학적 전자현미경 개발과 핵산 단백질 복합체의 구조 규명 (아론 클루그_Aaron Klug)](/upload/board/files/news/nes_5/thumb/photo0330865_1.png?1620970221) |
“1901~2017년 사이 노벨 과학상을 수상 한 348건 중 분석기술/장비 분야 수상건수는 27건(8.2%)이다. 이 데이터에서 보듯 노벨 과학상에서 분석기술 연구장비 분야 수상비중은 무시할 수 없을 정도로 높다.” ... 댓글 | 2021.05.17 | 조회 3,219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