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전 실험 프로토콜 101] #11. 5’ RACE (Rapid amplification of cDNA ends)-PCR](/upload/board/files/news/nes_1/thumb/photo0341141_1.png?1652315048) |
cDNA (complementary DNA)는 세포에서 단백질의 기능 연구 혹은 단백질 다량 생산하는 데 필요합니다. 또한 5’ 비번역 영역 (untranslated region)이 mRNA 안정성, 세포 내에서의 위치 혹은 번역 (translation) 효율과 관련된 구조적 정보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전체 cDNA의 정보를 아는 것은 중요합니다. 댓글 3 | 05.12 | 조회 1,213 |
|
|
|
|
![[실전 실험 프로토콜 101] #10. 면역 형광 (immunofluorescence, IF)](/upload/board/files/news/nes_1/thumb/photo0339181_1.jpeg?1646871223) |
타깃 단백질이 세포 내, 혹은 조직에서 발현하는지, 혹은 발현한다면 어느 곳에서 발현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면역 형광 (immunofluorescence) 방법을 이용합니다. 이번 연재에서는 배양 세포에서 커버슬립 (cover-slip)을 이용하여 두 개의 타깃 단백질을 두 가지 형광 (초록색과 빨간색)으로 실험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댓글 | 03.10 | 조회 2,971 |
|
|
|
|
![[실전 실험 프로토콜 101] #9. 면역 침강 (Immunoprecipitation)](/upload/board/files/news/nes_1/thumb/photo0338261_1.png?1643083450) |
‘스테이블 셀라인 만들기’ 편 [출처 1]에서 endogenous 유전자 단백질과 과발현 타깃 유전자 단백질과 구별하기 위해서, 타깃 유전자 단백질에 FLAG와 HA 태그를 넣었습니다. 이번 편에서는 과발현한 타깃 유전자 단백질과... 댓글 2 | 01.25 | 조회 3,108 |
|
|
|
|
![[실전 실험 프로토콜 101] #8. 유전자 발현과 microRNA 발현 측정](/upload/board/files/news/nes_2/thumb/photo0337462_1.jpeg?1640569750) |
PCR은 최종 산물을 이용하는 반면에, Real-time PCR (RT-PCR) 혹은 qPCR은 실시간 (real-time)으로 PCR product의 증폭을 모니터 할 수 있습니다 (노트 1). 다시 말해 qPCR은 정량 (Quantitation)이... 댓글 | 2021.12.27 | 조회 3,806 |
|
|
|
|
![[실전 실험 프로토콜 101] #7. 웨스턴 블랏 (Western blot)](/upload/board/files/news/nes_2/thumb/photo0336332_1.jpeg?1637022541) |
웨스턴 블랏 (Western blot)을 통해서 타깃 단백질의 발현 여부와 양을 알 수 있습니다. 웨스턴 블랏을 하기 위해서는 먼저 세포 혹은 조직에서 단백질을 뽑아야 합니다. Cultured Cell에서 단백질을 뽑을 때 plate에서 미디어를 버리고 1X PBS (Phosphate-buffered saline)로 두 번 씻어낸 다음, 스크레퍼 (Cell scraper)로 끌어서 1.5 ml 튜브 (Tube)로 옮깁니다 댓글 6 | 2021.11.16 | 조회 6,588 |
|
|
|
|
|
![[실전 실험 프로토콜 101] #6. Stable cell line 만들기](/upload/board/files/news/nes_3/thumb/photo0335713_1.png?1635384676) |
타깃 유전자 기능을 연구하기 위해서 타깃 유전자 단백질을 과발현하는 기술이 필요합니다. Transfection [노트 1]을 통해 타깃 유전자 단백질의 과발현을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transiently-transfection을 한 유전자 단백질 발현은 일시적입니다. 따라서 짧은 기간의 연구에서는 transiently-transfection을 사용할 수 있지만, 오랜 기간 연구가 필요한 곳에서는 transiently-transfection이 적합하지 않습니다. 타깃 유전자 단백질의 오랜 기간 연구에 필요한 방법이 필요합니다. 댓글 2 | 2021.10.28 | 조회 4,046 |
|
|
|
|
![[실전 실험 프로토콜 101] #5. 원형 RNA 과발현 (overexpression)과 낙다운 (knockdown) 방법](/upload/board/files/news/nes_7/thumb/photo0334787_1.png?1632356454) |
타깃 유전자 (SMN)에서 찾은 50여 개의 원형 RNA (circular RNA) [출처 1]의 잠재적인 기능을 조사하기 위해 원형 RNA를 과발현시키거나 낙다운 시키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번 이야기에서는 원형 RNA를 과발현하거나 감소시키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댓글 | 2021.09.23 | 조회 4,057 |
|
|
|
|
![[실전 실험 프로토콜 101] #4. 꼬리에 꼬리를 물고…(원형 RNA)](/upload/board/files/news/nes_7/thumb/photo0333547_1.png?1628560486) |
단 한 번의 PCR를 통해 타깃 유전자에서 여러 아이소폼(isoform)을 찾아내는 방법 (MESDA)을 첫 번째 편에서 소개를 했고 [출처1], MESDA를 이용하던 중 타깃 유전자의 intronic Alu-like 시퀀스에서 만들어진 새로운 엑손 (exon)을 발... 댓글 | 2021.08.10 | 조회 2,248 |
|
|
|
|
![[실전 실험 프로토콜 101] #3. 누구보다 빠르게…](/upload/board/files/news/nes_1/thumb/photo0332851_1.png?1626397405) |
두 번째 이야기에서 Multi-Exon-Skipping Detection Assay (MESDA)로 타깃 유전자의 새로운 아이소폼 (isoform)인 엑손 (Exon) 6B를 찾은 이야기와 몇 개월 후 다른 연구팀에서 이를 뒷받침하는 논문이 나왔다는 내용을 소개하였습니다 [출처 1]. 새롭게 찾은 엑손 6B를 포함하는 아이소폼의 추가적인 연구를 위해 엑손 6B를 포함하는 cDNA의 cording region을 PCR로 증폭하기 위한 프라이머를 디자인했습니다. 댓글 | 2021.07.16 | 조회 3,278 |
|
|
|
|
![[실전 실험 프로토콜 101] #2. 예상 밖의 결과에서 나온 발견](/upload/board/files/news/nes_1/thumb/photo0331751_1.png?1623720902) |
첫 번째 이야기 [출처 1]에서 하나의 유전자에서 만들어지는 여러 개의 아이소폼 (isoform)을 단 한 번의 PCR (Polymerase Chain Reaction) 방법인 Multi-Exon-Skipping Detection Assay (MESDA)로 찾아내는 방법을 소개하였습니다. 타깃 유전자의 스킵핑 (skipping)하는 엑손 (exon)과 스킵핑하지 않는 엑손의 여러 조합을 통해 생성되는 아이소폼의 크기를 예상 할 수 있습니다. 댓글 | 2021.06.15 | 조회 2,814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