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재 |
다양하고 특색있는 연재들을 만나보세요. |
|
 |
|
김대환의 새 이야기 < 40회 >김대환 (인하대학교사범대학부속고등학교 생물교사) 현재 인하대학교사범대학부속고등학교 생물교사, 인천야생조류연구회 회장
전공은 해조류 생리학과 수질조사 경력이 있었지만 교사가 된 후 생태학에 관심을 가지게 되어 야생화, 곤충, 버섯 등을 촬영하다가 2002년부터 조류에 심취하여 조류 생태와 관련한 다양한 조사 및 촬영을 하고 있음. 현재 조류와 관련한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으며 (2013, 지성사)형태로 찾아보는 우리 새 도감, (2015, 인하대학교 씨그랜트 센터)인천섬 연구 총서 <교동도> - 교동도의 조류를 집필함. 앞으로 다양한 생물에 대한 교육 자료집을 발간할 계획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위하여 만종의 생물을 촬영하는 <만종 프로젝트>를 지인들과 추진하고 있음.
홈페이지 : 인천야생조류연구회 홈페이지 http://ibirding.kr
|
|
|
|
|
|
![[김대환의 새 이야기]40. 원앙 Mandarin Duck](/upload/geditor/201709/0.11716200_1504745009.jpg?1504745009) |
천연기념물 327호인 원앙은 주변에서 흔하게 관찰되는 텃새 또는 겨울철새이다. 원앙이 겨울철새라고 하는 이유는 겨울에 관찰되는 원앙의 수가 많이 늘어나기 때문이다. 결국 우리나라 북쪽의 만주나 연해주 지역에서 번식하던 원앙... 댓글 | 2017.09.07 | 조회 12,414 |
|
|
|
|
![[김대환의 새 이야기]39.황오리(Ruddy Shelduck, Tadorna ferruginea)](/upload/geditor/201708/0.68234600_1502930416.jpg?1502930416) |
황오리는 오리 중에서 크기가 상당히 큰 오리로(L 57-64cm) 혹부리오리(L 61cm)와 비슷한 크기이다. 유라시아 대륙의 가운데에서 번식을 하고 중국 남부, 인도, 미얀마, 태국 북부 등에서 월동을 한다. 소수의 황오리가 우리나라나... 댓글 | 2017.08.17 | 조회 9,179 |
|
|
|
|
![[김대환의 새 이야기]38. 혹부리오리(Common Shelduck, Tadorna tadorna)](/upload/geditor/201707/0.93854400_1499824351.jpg?1499824351) |
혹부리오리(Common Shelduck, Tadorna tadorna)는 유럽 북부 해안, 흑해나 카스피해 연안, 카자흐스탄 습지, 몽고, 바이칼호 연안 등에서 번식을 하고 유럽 남부 지중해 연안이나 아프리카 북부 지중해 연안, 홍해 북부... 댓글 | 2017.07.12 | 조회 9,822 |
|
|
|
|
![[김대환의 새 이야기]37. 발구지(Garganey)](/upload/geditor/201705/0.25341400_1496104790.jpg?1496104790) |
발구지라는 이름은 무척 생소한 이름일 것이다. 심지어 이 이름이 새의 이름이라고 생각하기 어려울 수도 있다. 그만큼 오리 중에서는 보기 어려운 새라는 의미다. 발구지는 영국의 왕립 아시아학회 한국지부에서 제작한 저널.... 댓글 | 2017.05.30 | 조회 9,255 |
|
|
|
|
![[김대환의 새 이야기]36. 쇠오리 & 미국쇠오리](/upload/geditor/201704/0.53718300_1492734204.jpg?1492734204) |
생물의 이름에 ‘쇠’자가 들어가면 작다는 뜻이다. 그래서 쇠오리가 오리들 중에 가장 작다고 생각할 수 있다. 실제로 측정된 쇠오리의 크기(L)는 35.5~37.5cm 정도로 발구지의 크기가 38cm 정도이고 가창오리가 40~44cm 정도로 알려져 있는걸 생각하면 가장 작은 오리가 쇠오리가 맞다. 하지만 야외에서 이 새들을 관찰해 보면 크기.... 댓글 | 2017.04.21 | 조회 11,366 |
|
|
|
|
|
![[김대환의 새 이야기]35. 흰기러기(Chen caerulescens, Snow Goose)](/upload/geditor/201703/0.33746400_1489710739.jpg?1489710739) |
보통은 아메리카 대륙에서 살고 있는 새다. 번식지는 알래스카, 캐나다 북부, 그린란드 북부이다. 그러나 소수가 북동시베리아에서 번식하고, 북아메리카에서 월동한다. 우리나라에 찾아오는 개체는 북동시베리아에서 번식한 개체일 것으로.... 댓글 | 2017.03.17 | 조회 7,897 |
|
|
|
|
![[김대환의 새 이야기]34. 줄기러기 Anser indicus Bar-headed Goose](/upload/geditor/201702/0.85872400_1487724510.jpg?1487724510) |
바이칼호 남부에서 몽골 고원지대, 중국 북부, 히말라야 북부에서 번식하고, 겨울에는 인도에서 월동하며, 일부는 미얀마와 중국 남부에서 월동한다. 국내에서는 2003년 3월 15일 한강 하구 공릉천 하구에서 1개체, 2013년 12월 10일... 댓글 | 2017.02.22 | 조회 6,620 |
|
|
|
|
![[김대환의 새 이야기]33. 개리 Anser cygnoides Swan Goose](/upload/geditor/201701/0.16259700_1485853816.jpg?1485853816) |
러시아 극동, 중국 동북부, 몽골, 중국 헤이룽장성 자룽습지보호구, 사할린 북부 등 매우 제한된 지역에서 번식하고, 한국, 중국 양쯔강 유역, 대만, 일본에서 월동한다. 개리는 개체수는 매우 적지만 찾아오는 무리가 지속적으로 같은.... 댓글 | 2017.02.01 | 조회 5,334 |
|
|
|
|
![[김대환의 새 이야기]32. 흑기러기(Branta bernicla / Brent Goose)](/upload/geditor/201701/0.89838500_1484267454.jpg?1484267454) |
유라시아대륙, 북아메리카, 그린란드의 북극권에서 번식하고, 한국, 일본, 중국 해안, 북미 서부 연안, 영국, 프랑스해안 등지에서 월동한다. 국내에서는 주로 동해안과 남해안의 하구 또는 해안가에서 매우 적은 수가 월동하는... 댓글 | 2017.01.13 | 조회 5,793 |
|
|
|
|
![[김대환의 새 이야기]31. 캐나다기러기(Branta hutchinsii, Cackling Goose / Lesser Canada Goose)](/upload/geditor/201612/0.50473500_1483060405.jpg?1483060405) |
캐나다기러기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미국, 캐나다에서 주로 관찰되는 기러기다. 그런데 이들이 쇠기러기나 큰기러기 무리와 함께 우리나라를 찾아오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들이 다른 기러기 무리에 섞여 찾아오는 이유는 정확하게 알 수는 없다. 댓글 | 2016.12.30 | 조회 6,612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