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안녕하세요, University of Minnesota에서 박사과정 중 처음 2012년에 논문이 소개된 이후 벌써 9년의 시간이 흘렀습니다. 2021-02-16 |
|
|
|
|
 |
안녕하세요. 저는 뉴욕의 NYU School of Medicine에 위치한 Danny Reinberg 교수님 실험실에서 박사 후 연구원 생활을 마치고, 올해 9월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약리학교실에서 “후성유전학 및 분자약리학” 실험실을 열게 되었습니다. 2020-11-10 |
|
|
|
|
 |
박사과정 막바지에 처음 한빛사에 논문이 소개되고 첫 인터뷰를 했었는데 그로부터 약 7년의 시간이 지났네요. 그 사이에 포닥으로 세편의 논문이 소개되었고, 이렇게 한빛사 그 이후 인터뷰를 하게 되어 감회가 새롭습니다. 2020-08-13 |
|
|
|
|
 |
처음 2017년 한빛사에 논문이 처음 소개된 이후 벌써 3년의 시간이 흘렀습니다. 2020년 9월부터는 서울대 의과대학 미생물학교실로 이직이 예정되어 있어서, 그에 따른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2020-05-21 |
|
|
|
|
 |
미국에서의 연수를 마치고 현재는 대웅제약 신약센터 이온채널신약팀에서 Research Specialist (Electrophysiologist)로 신경계 질환 관련 신약 개발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2020-05-20 |
|
|
|
|
 |
박사학위 논문으로 2016년에 한빛사에 소개가 되고 나서 후속 논문 1편과 다른 프로젝트 논문 2편을 또 다시 한빛사에 실으리라 다짐하고 있었는데요. 시간이 참 빠르게 지나가는 것 같습니다. 2020-05-20 |
|
|
|
|
 |
영국 University of Cambridge의 Wellcome Sanger Institute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동일 랩에서 짧은 포닥을 거친 후에, 미국의 Seven Bridges에서.. 2020-05-19 |
|
|
|
|
 |
저는 본래 식물과 환경에 대한 연구를 주로 수행했습니다. 학위과정을 마치면서 기존과는 다른 새로운 연구를 하고 싶었고, 독자적인 연구가 가능한 기관으로 자리를 옮기면서 연구활동을 활발히 하고 있습니다. 2020-05-15 |
|
|
|
|
 |
저는 충북대학교 미생물학과 환경미생물학 연구실에서 박사학위를 마친 후 현재까지 같은 연구실에서 초빙조교수로 일하고 있습니다. 2020-05-14 |
|
|
|
|
 |
한양대학교 생화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후에 Yale School of Medicine/Molecular Biophysics and Biochemistry의 Hochstrasser lab에서 postdoctoral associate로서 약 4년 반의 연수를 수행했습니다. 2020-05-04 |
|
|
|
|
 |
현재는 이곳 PAL-XFEL (포항 4세대 방사광가속기)에 근무하면서 이용자 지원 업무 외에 신약개발, 기초과학 연구를 수행 중입니다. 2020-04-20 |
|
|
|
|
 |
지난 6개월동안 현재 연구실에서 진행 중인 연구를 마무리하는것과 동시에 잡 인터뷰를 진행했었는데, 정말 몸과 마음이 힘든 시기였습니다. 2020-04-17 |
|
|
|
|
 |
저는 2016년 8월까지 University of Pennsylvania (Department of Biomedical Science)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연구를 하다 2016년 9월부터 현재까지 주식회사 넥셀.. 2020-04-16 |
|
|
|
|
 |
2016년 KAIST 의과학 학제전공 박사과정 [KAIST 의과학대학원 간질환 연구실 (지도교수: 정원일)]동안 연구하였던 논문이 처음 한빛사에 소개된 이후, 이곳 미 국립보건원 (NIH)에서... 2019-07-29 |
|
|
|
|
 |
현재 프랑스 보르도 대학 신경과학연구소(Interdisciplinary Institute for Neuroscience) Valentin Nagerl 교수의 “Synaptic Plasticity and Super-resolution Microscopy”랩에서... 2019-03-06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