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BUG-WINDOW 처리영역 보기]
즐겨찾기  |  뉴스레터  |  오늘의 정보 회원가입   로그인
BRIC홈 실험
마크로젠
배너광고안내
이전
다음
스폰서배너광고 안내  배너1 배너2 배너3 배너4
Miami Winter Symposium 2023 – Molecular Neuroscience: Focus on Sensory Disorders 학회 참관기
전체보기 안전점검 LABox
 카테고리: 전체
Mol. Biol.-DNA Mol. Biol.-RNA Mol. Biol.-Protein Immunology
Cell Biology Microbiology Plant Biology Laboratory Animals
Omics Chemical biology Bioinformatics Laboratory Equipments
Buffer/Reagent Bioethics Etc.
카테고리 전체보기펼치기
질문/투표/프로토콜 등록
Q. cck assay 중에서
1.cck assay를 96well plate에서 할시 cck 1마이크로리터를 세포 약물처리액 위에 그냥 뿌려도되나요? 평소에 세포 약물처리액 속에 팁을 담가서 하다보니 well 끝에 닿이기도 하고 해서 세포한테 영향 갈거같기도하고... 실험결과가 이상하게 나와서 ㅜ고민입니다. 2. 96well plate에 처리할 약물 연속희석하는데 약물 1마이크로리터 : 용매 1마이크로리터 로 연속희석하거든요. 근데이게 너무 부피가 작아서 그런지 실험결과가 잘안나오는데 좋은 방법이 없을까요?
회원작성글 힝힝훙힝  |  03.16
Q. 탄산수소나트륨 중금속 비소 황화물 등 순도시험
안녕하세요 이화학 회사다니는 사람입니다.  제가 항상 HPLC, GC 등을 많이 다루긴했는데 정성반응실험에대해서는 다소 부족한 부분이많아서  혹시 중금속 비소 황화물 등 정성반응실험에서 색이 너무 안나오거나  표준품보다 검액이 더 색이 진하게나오는데 이유가있을까여...? 또한 증발건고 시키는데 수욕에서하라고했는데 너무 증발도 안되는데  비커로 바로 해도 괜찮나요?  추가적으로 염산도 비커에 넣고 바로 가열해도 될까여   아 참고로 kp기준따르고있습니다. ㅠ
회원작성글 화학초짜  |  03.16
Q. protein:protein interaction 실험 문의
안녕하세요   저는 현재 protein:protein interaction 실험을 진행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저는 FtsZ protein과 interaction하는 여러 protein을 확인하고자 FtsZ his-tag protein까지 cloing을 완성한 상태입니다.   현재 thermo에서 나온  PiercePull-Down PolyHis Protein:Protein Interaction Kit 를 이용하여 interaction을 확인하려고 하는데 생각보다 잘 되지않습니다. his-tag purification까지는 확실하게 되는것은 확인을 완료한 상태이긴 합니다. protocol에 따르면 1시간정도 racking하라고해서 2시간정도 늘려서 진행하기도 하였고 protein 농도도 조금 많이 넣어보기도 했습니다.(4도)   혹시 MgCl2와 같은 cofactor도 함께 넣어서 반응해야할까요? 브릭에 찾아보니 racking을 overnigt한 경우도 있더라구요 (4도)      
회원작성글 오월준  |  03.16
Q. western blot 밴드 옆으로 흐르는 현상
안녕하세요, western blot을 시작한지 얼마 안된 대학원생입니다. western blot을 진행하다가 밴드가 계속 옆 밴드와 이어지는 현상이 생겨 해결하기 위한 조언을 듣고싶어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아래 사진의 밴드는 모두 beta actin입니다. 1) -50ug로 정량, 13well에 10ul씩 분주 -70V로 15분 -> 100V로 1시간 10분동안 SDS PAGE 진행 -3% BSA로 blocking 1시간 2) 단백질 양이 많으면 퍼질 수 있다는 글을 본 적이 있어 단백질 양을 줄여서 실험했습니다. -40ug로 정량, 13well에 10ul씩 분주 -70V 15분 -> 100V 1시간 20분 -3% BSA로 blocking 1시간 3) 다시 단백질 양을 줄여서 진행했습니다. -35ug로 정량, 13well에 10ul씩 분주 -70V 13분 -> 100V 1시간 10분 -3% BSA로 blocking 1시간 4) condition을 잡고 하고 싶어 농도별로 로딩해서 확인해보고자했으나, 항체의 문제로 밴드가 전부 연하게 나왔지만 밴드가 서로 연결되어있는것을 확인했습니다. 전압을 높여 빠르게 겔을 내리면 흐르는 현상이 없어질 수 있다는 글을 보아 stacking gel과 running gel에서 모두 전압을 높여 진행했습니다. -13well에 10ul씩 분주 -80V 13분, 110V 1시간 10분 -3% BSA로 blocking 1시간 5) beta actin말고 표적 단백질에서 밴드가 휘는 현상이 생겨 stacking gel에서는 여전히 전압을 높게했으며 running gel에서는 원래의 전압으로 설정해서 겔을 내렸습니다. -왼쪽에서부터 1-4은 50ug, 5-8은 40ug, 9-11은 30ug로 정량, 13well에 10ul씩 분주 -80V 13분 -> 100V 1시간 8분 -3% BSA로 blocking 1시간   위의 조건들로 실험한 결과들입니다. 제일 마지막에 있는 밴드는 ponceau S를 진행했을 때 lane 구별이 뚜렷하게 되었는데도 불구하고 밴드가 연결되어 나왔습니다. 모두 stacking gel은 5%, running gel은 8%를 이용했습니다. APS와 TEMED는 모두 새것을 이용해서 gel이 굳는데 문제가 있는것 같아 보이지는 않았습니다. 관련 글들을 찾아 본 결과 단백질 양을 줄이는 방법을 권유해주시던데 단백질 양을 줄이니 표적 단백질의 밴드가 희미하게 나와서 혹시 다른 방법이 있을까 싶어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6% running gel로 바꿔 겔을 내리는 시간을 단축하는게 도움이 되는지, 그리고 stacking gel의 길이를 조금 더 길게 하는게 의미가 있을지도 여쭤보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회원작성글 바안지  |  03.16
Q. Sodium Carbonate Solution의 pH 관련 질문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Sodium Carbonate Solution을 제조하고, pH를 측정해야 하는 실험이 있습니다.   powder를 매우 소량 첨가하긴 하나, deionized water와 혼합 직후에는 pH가 약 10정도 나와서 이론상 정상 범위 내에 들어오지만 밀폐하지 않은 상태로 공기중에 노출된 상태로 조금만 둬도 pH가 8정도까지 훅훅 떨어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습니다. 다른 reagent류는 이러지 않는 것 같은데 Sodium Carbonate (Na2CO3) 어떤 특성 때문일 지.. 관련하여 혹시 정보가 있으신 분께서는 답변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회원작성글 cht  |  03.16
Q. 단백질 발현관련 질문드립니다.
지금 단백질관련 실험을 하고있습니다.  예전보다 발현량이랑 회수량이 적어서 어디가 문제인지 알고 싶어서 올립니다.    BL21(DE3)에 transformation해서 그걸 stock로 -80도에 보관한것으로  incubation 부터 진행하고 있는데...  buffer change도 잘안되고 회수량도 적더라구요...  다른분에게 여쭤보니 배지의 량을 늘려보라는 분도 있고 stock를 사용하지  말고 실험할때마다 transformation 해서 신선한 상태로 하라고 하시는데...   BL21(DE3)으로 stock를 한 2주전에 만들어서 -80도에 보관한것이 문제가 있을까요... BL21(DE3) 의 장단점도 알려주시면 감사합니다.  
회원작성글 mito59  |  03.16
Q. 실험은 아니고 thermo nanoLC 기기에 대해서 궁금
1. 저희 연구실 HPLC가 Thermo Fisher Scientific - UltiMate™ 3000 RSLCnano System 인데, 펌프부분 기기 뒤에 디바이명을 보면 NCP-3500RS NANO(PN: 5041.0010)이고 홈페이지에 보면 단종되서 UltiMate™ NCP-3500RS Binary Rapid Separation Nano/Capillary Pump(PN: 5041.0010A)만 나와요. 혹시 다른 부분이 있다면 혹시 아시는분 계신가요..? 제가 찾아본 바로는 없는데 혹시나 해서요. 2. 해당제품사양 부분에 진공탈기장치 목록이 있는데 진공탈기장치가 degassing part가 LC펌프 위에 바로 있는데 왜 또 있는지랑 어디서 어떻게 일어나는지 잘모르겠네요. 제가 아는 지식선으로는 오프라인 degassing을 해도 시간이 지나고, 솔루션이 흐르면서도 다시 재흡수가 일어날 수 있어서 그걸 방지하기 위해서 라는거...정도만.. 결정적으로 그안에서 degassing을 한다는 부분을 잘모르겠어요.
회원작성글 임탱이  |  03.16
Q. cell counting 후 계산이 제대로 이루어졌는지 궁금합니다 ㅠㅠ
약 일주일정도 계대를 진행한 dish에 있던 cell을 다 합쳐서 펠렛으로 만든 후 50ml 콘튜브에 10ml 배지를 넣어줘서 펠렛을 풀어주고 10ul를 취해서 카운팅을 진행했습니다. 염색은 하지 않아서 2배를 곱하지는 않았구요. 총 4칸을 카운팅하여서 436개가 나왔습니다 436/4*10^4=109*10^4=1.09*10^6 약 1.1*10^6의 세포수가 나오는데 이는 1ml에 있는 세포의 수가 저 정도라는 의미인가요? 그렇다면 제가 10ml의 배지를 넣어줬는데 1.1*10^6 여기서 10을 또 곱해야지 total volume 10ml의 세포 수가 나오는 건가요? 우선적으로 펠렛에 배지를 넣어 만든 현탁액 10ml는 1ml씩 취해서 크라이요튜브에 보관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지금 보관중인 크라이요튜브에 있는 세포의 수는 1.1*10^6가 맞는건지,, 또한 그만큼 분주된 세포를 이용해 thawing을 하게되면 세포를 풀게되는데 그때는 세포의 수는 크게 중요하지 않나요? 카운팅 후 계대 배양을하는 과정이 제일 중요할까요? 세포를 처음하다보니 어려운 부분이 많아서 질문 남깁니다 ㅠㅠ..... 도움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회원작성글 궁그매요  |  03.16
Q. 반데르발스 상태식
10.0mol의 C2H6(g)를 27도씨에서 4.860dm^3의 용기 속이 넣었다 1) 완전 기체와 2) vander waals 상태식을 이용하여 이 기체가 나타낸 압력을 계산하여라 이 결과를 써서 압축 인자를 계산하여아 a=5.507dm^6 atm mol^-2,b=0.0651dm^3 mol^-2이다 이 문제에서 두번째 부분 구할 때 반데르발스 상태 방정식을 쓰잖아요 꼭 P=nRT/V-nb-a(n^2/v^2)의 식이어야 하나요?? P=RT/Vm-b-a/(Vm)^2로 몰부피를 구해서 했는데 답이 다르게 나와서요..참고로 Vm은 몰부피입니디
회원작성글 asswddxq  |  03.16
Q. 바실러스..하 도와주세요.. 첨부파일
정량균주 이용해서 푸어법으로 진행한 사진입니다.  여러번 반복 실험했는데, 계속 똑같이 저렇게 퍼져서 자라서 카운팅을 할수가 없습니다.. MLB만 넣으면 다른균은 안그러는데, 바실러만 저렇게 퍼져서 자라요,, MLB없이 균만 넣으면 카운팅 가능하거든요,,, MLB로 시료 희석해야해서 사용해야하는데,, 왜이러는걸까요 대조군으로 실험결과  - MLB 오염 없었음 - 동일한 조건에서 같은날 실험했을 때 spreading은 다른 균 검출되지 않았음
회원작성글 세균걸  |  03.16
Q. 농도계산에 대해 여쭤볼것이있습니다..ㅠㅠ
안녕하세요? 이번년도 들어온 대학원신입생입니다. 실험을 하기 위해 농도계산, 균수 계산 등 기본이라고 하는데 스스로 이해해보려 시도했으나 모르겠어서 글을 남기게 되었습니다ㅠㅠ 질문1) 우선 균수가 1/10씩 희석되다가 100ul를 땄을때 상황입니다 4×10^8 -> 4×10^7 -> 4×10^6 까지는 1/10희석이라 알고있는데, 4×10^6에서 100ul를 따면 왜 2×10^5가 되는지 이해가 되지않습니다.. 질문2) 다음으로 단백질 희석하는건데 etube에 원액 단백질 10ul + buffer10ul 넣어줄것입니다. 여기서 6.0mg/ml농도 원액에 10ul을 따면 etube(단백질 10ul + buffer10ul)에 들어있는 양의 단백질농도는 무엇이고, 이것이 어떻게 계산에서 농도가 변하게 되는지 모르겠습니다ㅠㅠ 물론 제 질문에 대해 기본적이라 생각할 수 있지만, 제겐 아직 많이 미숙한분이라 이렇게 글을 남깁니다 도와주세요ㅠㅠ
회원작성글 까밍  |  03.16
Q. Hypoxia 조건에 대해...
안녕하세요 선생님들. Hypoxia 실험을 하고자 셋팅 준비에 있습니다. 몇몇 논문들을 보고 있는데 예를 들어 3%O2-5%CO2-balanced N2 이런식으로 적혀있는 것들이 있더라구요. 질문 1. 여기서 의미하는 balanced N2란 무엇인가요? 질문 2. Hypoxia 할 때 꼭 N2 가스가 필요한 것인가요? 질문 한 번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회원작성글 연구1  |  03.16
Q. 단위 질문
논문에 g L–1, mol mol–1 과 같이 -1(마이너스 1승)이 붙어있는건 무슨 뜻인가요?? 1L당 g, 1mol당 mol 이런 뜻인가요??
회원작성글 tulip  |  03.16
Q. 풋내기 학생좀 도와주세요 qRT-PCR 질문이 있습니다
저는 iPSC을 이용하여 특정 lineage로 분화시키는 연구를 하고있고 그에 대한 검증으로 각 분화 날짜에 따라 나와야하는 유전자들을 PCR을 통해 보고 있습니다. 따라서 사용하는 sample들은 iPSC(day 0), day 30, day 60으로 이루어져있는데 문제는 iPSC pluripotency marker가 아닌 분화 마커의 증폭이 iPSC에서 이루어 진다는 겁니다. 이론대로라면 분화가 이루어지지 않은 day 0의 iPSC를 사용한 qPCR에서는 GAPDH가 아닌 분화마커의 경우 증폭이 이루어지지 않아서 Ct값이나 melting curve의 피크가 보이지 않아야 하는것이 아닌지요 아니면 아무리 분화 마커라해도 PCR을 통해 40 cycle을 증폭시키면 티끌이라도 잡혀서 발현되는것 처럼 보이는 건가요?? 이럴경우 데이터 해석을 어떻게 해야하는지 조언도 부탁드립니다. 임의로 iPSC에서의 분화 마커의 Ct를 0으로 조절할수도 없는데...ㅜㅜ
회원작성글 효도할래요  |  03.16
Q. bioinformatic-genome sequencing data
Bionurmerics 사용하고 계신 분 계실까요..? bioinformatic 공부중이라 genome sequencing data 이용하여 프로그램 돌려보고 싶어서 견적 받아봤는데 지금은 서비스가 중단되었다고 하더라구요. Bionumerics 같은 프로그램 있으면 추천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ㅠㅠㅠㅠㅠㅠ
회원작성글 gggg  |  03.15
Q. Ngs 주문관련해서 질문이요!
Ngs를 주문하고 샘플을 보냈는데, 결과 받기까지 5-7주 걸린다고 들었습니다. Qc가 되면 업체에서 연락을 주나요? 업체는 바이오니아에서 주문했습니다.
회원작성글 갈인  |  03.15
이전  01 02 03 04 05 06 07 08 9 10  다음
실험 회원 등급이란?
실험Q&A 회원등급안내
위로가기
실험 홈  |  실험FAQ
 |  BRIC소개  |  이용안내  |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이메일무단수집거부
Copyright © BRIC. All rights reserved.  |  문의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유튜브 유튜브    RSS서비스 RSS
엘앤씨바이오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