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Q. |
실험은 아니고 thermo nanoLC 기기에 대해서 궁금 |
|
|
1. 저희 연구실 HPLC가 Thermo Fisher Scientific - UltiMate™ 3000 RSLCnano System 인데, 펌프부분 기기 뒤에 디바이명을 보면 NCP-3500RS NANO(PN: 5041.0010)이고 홈페이지에 보면 단종되서 UltiMate™ NCP-3500RS Binary Rapid Separation Nano/Capillary Pump(PN: 5041.0010A)만 나와요. 혹시 다른 부분이 있다면 혹시 아시는분 계신가요..? 제가 찾아본 바로는 없는데 혹시나 해서요.
2. 해당제품사양 부분에 진공탈기장치 목록이 있는데 진공탈기장치가 degassing part가 LC펌프 위에 바로 있는데 왜 또 있는지랑 어디서 어떻게 일어나는지 잘모르겠네요. 제가 아는 지식선으로는 오프라인 degassing을 해도 시간이 지나고, 솔루션이 흐르면서도 다시 재흡수가 일어날 수 있어서 그걸 방지하기 위해서 라는거...정도만.. 결정적으로 그안에서 degassing을 한다는 부분을 잘모르겠어요.
|
|
임탱이 | 03.16 |
|
Q. |
cell counting 후 계산이 제대로 이루어졌는지 궁금합니다 ㅠㅠ |
|
|
약 일주일정도 계대를 진행한 dish에 있던 cell을 다 합쳐서 펠렛으로 만든 후 50ml 콘튜브에 10ml 배지를 넣어줘서 펠렛을 풀어주고 10ul를 취해서 카운팅을 진행했습니다.
염색은 하지 않아서 2배를 곱하지는 않았구요.
총 4칸을 카운팅하여서 436개가 나왔습니다
436/4*10^4=109*10^4=1.09*10^6
약 1.1*10^6의 세포수가 나오는데 이는 1ml에 있는 세포의 수가 저 정도라는 의미인가요?
그렇다면 제가 10ml의 배지를 넣어줬는데 1.1*10^6 여기서 10을 또 곱해야지 total volume 10ml의 세포 수가 나오는 건가요?
우선적으로 펠렛에 배지를 넣어 만든 현탁액 10ml는 1ml씩 취해서 크라이요튜브에 보관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지금 보관중인 크라이요튜브에 있는 세포의 수는 1.1*10^6가 맞는건지,,
또한 그만큼 분주된 세포를 이용해 thawing을 하게되면 세포를 풀게되는데 그때는 세포의 수는 크게 중요하지 않나요? 카운팅 후 계대 배양을하는 과정이 제일 중요할까요?
세포를 처음하다보니 어려운 부분이 많아서 질문 남깁니다 ㅠㅠ.....
도움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
궁그매요 | 03.16 |
|
Q. |
반데르발스 상태식 |
|
|
10.0mol의 C2H6(g)를 27도씨에서 4.860dm^3의 용기 속이 넣었다 1) 완전 기체와 2) vander waals 상태식을 이용하여 이 기체가 나타낸 압력을 계산하여라 이 결과를 써서 압축 인자를 계산하여아 a=5.507dm^6 atm mol^-2,b=0.0651dm^3 mol^-2이다
이 문제에서 두번째 부분 구할 때 반데르발스 상태 방정식을 쓰잖아요 꼭 P=nRT/V-nb-a(n^2/v^2)의 식이어야 하나요?? P=RT/Vm-b-a/(Vm)^2로 몰부피를 구해서 했는데 답이 다르게 나와서요..참고로 Vm은 몰부피입니디 |
|
asswddxq | 03.16 |
|
Q. |
바실러스..하 도와주세요..  |
|
|
정량균주 이용해서 푸어법으로 진행한 사진입니다.
여러번 반복 실험했는데, 계속 똑같이 저렇게 퍼져서 자라서 카운팅을 할수가 없습니다..
MLB만 넣으면 다른균은 안그러는데, 바실러만 저렇게 퍼져서 자라요,,
MLB없이 균만 넣으면 카운팅 가능하거든요,,, MLB로 시료 희석해야해서 사용해야하는데,, 왜이러는걸까요
대조군으로 실험결과
- MLB 오염 없었음
- 동일한 조건에서 같은날 실험했을 때 spreading은 다른 균 검출되지 않았음
|
|
세균걸 | 03.16 |
|
Q. |
농도계산에 대해 여쭤볼것이있습니다..ㅠㅠ |
|
|
안녕하세요? 이번년도 들어온 대학원신입생입니다.
실험을 하기 위해 농도계산, 균수 계산 등 기본이라고 하는데 스스로 이해해보려 시도했으나 모르겠어서 글을 남기게 되었습니다ㅠㅠ
질문1) 우선 균수가 1/10씩 희석되다가 100ul를 땄을때 상황입니다
4×10^8 -> 4×10^7 -> 4×10^6 까지는 1/10희석이라 알고있는데, 4×10^6에서 100ul를 따면 왜 2×10^5가 되는지 이해가 되지않습니다..
질문2) 다음으로 단백질 희석하는건데 etube에 원액 단백질 10ul + buffer10ul 넣어줄것입니다.
여기서 6.0mg/ml농도 원액에 10ul을 따면 etube(단백질 10ul + buffer10ul)에 들어있는 양의 단백질농도는 무엇이고, 이것이 어떻게 계산에서 농도가 변하게 되는지 모르겠습니다ㅠㅠ
물론 제 질문에 대해 기본적이라 생각할 수 있지만, 제겐 아직 많이 미숙한분이라 이렇게 글을 남깁니다 도와주세요ㅠㅠ |
|
까밍 | 03.16 |
|
Q. |
Hypoxia 조건에 대해... |
|
|
안녕하세요 선생님들.
Hypoxia 실험을 하고자 셋팅 준비에 있습니다.
몇몇 논문들을 보고 있는데
예를 들어 3%O2-5%CO2-balanced N2 이런식으로 적혀있는 것들이 있더라구요.
질문 1. 여기서 의미하는 balanced N2란 무엇인가요?
질문 2. Hypoxia 할 때 꼭 N2 가스가 필요한 것인가요?
질문 한 번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
연구1 | 03.16 |
|
Q. |
단위 질문 |
|
|
논문에 g L–1, mol mol–1 과 같이 -1(마이너스 1승)이 붙어있는건 무슨 뜻인가요??
1L당 g, 1mol당 mol 이런 뜻인가요??
|
|
tulip | 03.16 |
|
Q. |
풋내기 학생좀 도와주세요 qRT-PCR 질문이 있습니다 |
|
|
저는 iPSC을 이용하여 특정 lineage로 분화시키는 연구를 하고있고 그에 대한 검증으로 각 분화 날짜에 따라 나와야하는 유전자들을 PCR을 통해 보고 있습니다. 따라서 사용하는 sample들은 iPSC(day 0), day 30, day 60으로 이루어져있는데
문제는 iPSC pluripotency marker가 아닌 분화 마커의 증폭이 iPSC에서 이루어 진다는 겁니다. 이론대로라면 분화가 이루어지지 않은 day 0의 iPSC를 사용한 qPCR에서는 GAPDH가 아닌 분화마커의 경우 증폭이 이루어지지 않아서 Ct값이나 melting curve의 피크가 보이지 않아야 하는것이 아닌지요
아니면 아무리 분화 마커라해도 PCR을 통해 40 cycle을 증폭시키면 티끌이라도 잡혀서 발현되는것 처럼 보이는 건가요??
이럴경우 데이터 해석을 어떻게 해야하는지 조언도 부탁드립니다. 임의로 iPSC에서의 분화 마커의 Ct를 0으로 조절할수도 없는데...ㅜㅜ |
|
효도할래요 | 03.16 |
|
Q. |
bioinformatic-genome sequencing data |
|
|
Bionurmerics 사용하고 계신 분 계실까요..? bioinformatic 공부중이라 genome sequencing data 이용하여 프로그램 돌려보고 싶어서 견적 받아봤는데 지금은 서비스가 중단되었다고 하더라구요. Bionumerics 같은 프로그램 있으면 추천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ㅠㅠㅠㅠㅠㅠ
|
|
gggg | 03.15 |
|
Q. |
Ngs 주문관련해서 질문이요! |
|
|
Ngs를 주문하고 샘플을 보냈는데, 결과 받기까지 5-7주 걸린다고 들었습니다. Qc가 되면 업체에서 연락을 주나요? 업체는 바이오니아에서 주문했습니다. |
|
갈인 | 03.15 |
|
Q. |
RNA가 다 degradation 된건가요?  |
|
|
E. coli에서 Trizol을 이용해서 RNA를 뽑았습니다.
purity나 concentration은 잘 나와서, DNA 내리는 조건으로 loading 시켜보았습니다.
젤은 TAE buffer에 1% agarose로 만들어서 100V 30분 내려서 확인했고요.
16S, 23S band가 보이면서도 250bp에서 밴드가 너무 진한거 아닌가 싶습니다.
인터넷에서 RNA gel 사진 보아도 이정도로 진하지는 않더라구요.
혹시 RNA가 degradation되어서 이렇게 진한걸까요?
|
|
ReRip | 03.15 |
|
Q. |
NO 함량 측정 assay 관련 질문 드립니다ㅜㅜ |
|
|
raw cell을 이용하여 NO 함량 측정을 진행하려고 합니다.
각 실험실마다 사용하는 well이 다르지만 final concentration은 같을까요?
그렇다면 LPS와 샘플의 volume을 1:1로 넣고 배양시켜 상등액 100ul를 취하고 측정하게되는 걸까요??
실험실 프로토콜에도 그렇고 여러 논문을 읽어봐도 LPS와 샘플의 볼륨을 얼마나 넣는지 나오지 않아 질문드립니다. ㅠㅠ
|
|
궁그매요 | 03.15 |
|
Q. |
gelatin zymography internal control |
|
|
안녕하세요 human gingival fibroblasts에서 MMP활성을 보려고 gelatin zymography를 진행중입니다.
MMP를 보기 위해서 conditioned medium을 acetone precipitaion하여 샘플을 준비하고 있는데요. acetone precipitaion해서 모은 pellet이 D.W에는 잘 녹지 않더라구요.. 그래서 최대한 녹인 후 샘플 상등액만 loading 하고 있습니다.
문제는 이렇게 loading한 후 결과를 확인하면 MMP활성은 나타나는데 western blot처럼 b-actin이나 a-tubulin같이 같은 양의 단백질이 잘 loading 되었는지 확인할 방법이 없는 것입니다.
(최대한 같은 양의 medium으로 sampling 했지만 pellet이 생기기 때문에 같은 양의 protein이 sampling 됐는지 확신할 수 없음..)
gelatin zymography를 수행할 때 이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혹은 acetone precipitaion으로 모인 pellet을 완전히 녹일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
|
릴뎅 | 03.15 |
|
Q. |
랫드실험 실습 |
|
|
랫드실험 참여할수있는 교육기관이 있을까요?!?
|
|
kakamilk | 03.15 |
|
Q. |
용액 제조 (몰) |
|
|
제가 250ml의 1M의 A라는 용액을 만들기 위해서는 250ml의 증류수에 A양이 0.093g 들어가면 1M이 된다는 것을 계산하여서 구했습니다.
그럼 2M의 용액을 만들려면 같은 250ml의 부피에 A의 양이 0.093*2g만큼만 들어가면되는건가요?
|
|
짱이되고싶어여 | 03.15 |
|
Q. |
sds page 할 때 밴드에 보이는 최소 단백질양이 어느정도 되나요? |
|
|
bradford 실험 결과 추출물의 단백질 양이 0.015ug/ul이 들어있다면 얘를 sds page할 때 총 볼륨을 20ul로 잡고 추출물을 10ul 로딩한다면 0.15ug을 로딩하게 되는데 양이 너무 적으면 밴드가 안보일까요? 추출물의 ug/ul의 단백질양을 알았을 때 제조할 샘플에 넣어야 될 단백질양과 총볼륨을 정하는 기준을 모르겠어요
|
|
메렁 | 03.15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