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Q. |
실험실에서 바이오시밀러 구매 가능한가요?? |
|
|
안녕하세요,
면역관련 테마로 실험을 하고 있는데,
가설을 세우기 위해서 TNF알파 저해제 약물들을 써봐야할 것 같은데
찾아보니까 해당 약물들이 전부 항체 혹은 바이오시밀러입니다.
뭐 일반적인 파우더나 타블렛에 쓰이는 약물들이야
시그마나 Cayman chemical 등에서 구매해봤는데
바이오시밀러같은건 한번도 주문해본 적이 없는데
보통 어떻게 다들 주문하시나요?
약에 대해 조금 더 찾아보니 전문의약품이라
쉽게 구할 수 있을 것 같진않은데..
필요한 서류등이 있나요?
|
|
토라 | 2022.08.09 |
|
Q. |
0.45um syringe filter를 0.2um syringe filter로 대체해서 buffer를 멸균해도 괜찮을까요? |
|
|
안녕하세요. 실험실에서 일하는 학부생 연구원입니다.
논문을 보고 electroporation에 필요한 버퍼를 만들어서 멸균하려고 하는데요.
autoclaving보다 filtration을 권장하는 버퍼가 있어서 고민입니다.
논문에서는 0.45um syringe filter로 filtration을 하라고 하는데, 저희 랩실에는 0.2um syringe filter밖에 없습니다.
syringe filter를 하는 이유가 bacteria를 없애기 위한 거라면 0.2um가 더 좋긴 하겠지만, 혹시 0.2um의 filter를 사용했을 때 buffer의 화학조성이 바뀌지는 않는지 궁금합니다.
다음은 제가 0.45um syringe filter 대신 0.2um syringe filter로 filtration 하려는 buffer들입니다.
(참고로 ultrasonication 과정은 생략하고 magnetic stirrer로 대체할 것 같습니다.)
1. Glycine (w/v) 3.75g (25ml)
Dissolve it in a small amount of DDW by ultrasonication & agitation.
→ add DDW to 25ml
2. MgCl2 (95.211 g/mol) 38mg and KH2PO4 (136.086 g/mol) 136mg (20ml)
dissolved in a small amount of DDW → add DDW to 20ml
구글에 찾아보니 Glycine은 입자크기가 거의 나노미터 단위라 상관없을 것 같은데, MgCl2는 또 500um이라고 하더라고요(이건 물에 안 녹았을 때 이야기 같은데) magnetic stirrer를 오래 돌려서 물에 다 녹이면 화학물질들 사이즈가 딱히 상관이 없을까요? |
|
dndb1303 | 2022.08.04 |
|
Q. |
pH 계산하는 방법 및 이론설명 부탁드립니다,,ㅇ |
|
|
안녕하세요ㅠㅠ 화학이 전공은 아니지만 앞으로 배워야하는 많이 많이 모자란 학생입니다..
HPLC를 측정해야하는데 버퍼를 만들어야합니다.
제가 가지고 있는 Ammonium formate(고체)를 가지고 버퍼를 만드려고 합니다,,
1L짜리 50mM ammonium formate 버퍼를 만들어야 하고, pH는 4.4로 만들어야합니다.
50mM을 만들기 위해서 분자량이 63.06g/mol인 ammonium formate를 1L증류수에 3.153g을 넣으면 된다고 계산하였는데, pH를 4.4로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 pH를 4.4로 만들 수 있도록 몇 g , mL씩 넣어야하는지 다시 계산해야 할 것 같은데, 여기부터 막막합니다..
현재 가지고 있는 ammonium formate의 pH는 5.5~ 7.5로, 약 6.5로 계산하려고 합니다ㅠㅠ
헨더슨 하셀바흐식을 가지고 계산하라고 하셨는데, 영상을 아무리 찾아서 공부해봐도 도저히 모르겠더라구요,,
몇 가지 질문하고 싶습니다.
0. pH가 6.5인 것과 물(pH 7)과 섞어서 pH 4.4가 되도록 할 수 있나요?
1. 반응식은 HCOONH4 + H2O --> HCOOH + NH4OH 맞나요?
2. 헨더슨 하셀바흐식을 이용하려면 산과 염기를 찾아야 하는데 HCOOH도 산이고, NH4+와 OH-에도 산 염기가 있는데, 이중 무엇으로 계산해야하는지,,
3. 50mM ammonium formate in water pH=4.4라고 되어있는데, 4.4 짜리 증류수에 50mM ammonium formate를 만들라는 건지, ammonium formate 수용액을 pH 4.4 가 되도록 하라는 건지 부터 말씀해 주시면 감사할 것 같습니다..ㅇ
4. 계산하는 방법등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지만 이거는 안해주셔도 괜찮습니다..!
한번에 너무 기초적이면서도 많은 것을 물어서 죄송합니다..ㅇ 알려주실 수 있으시면 알려주세요,, 감사합니다!! 이중에 아는것만이라도 답해주시면 정말정말 감사합니다ㅠㅠ..
|
|
Zl존초보 | 2022.08.03 |
|
|
Q. |
10XDPBS 제조시 Ca,Mg 가 석출이 됩니다. |
|
|
10X DPBS with Ca,Mg를 제조중인데 계속 석출이 되서요ㅜㅜ
Ca,Mg만 따로 녹여서 24시간 교반 후 피펫으로 천천히 넣어줘도 결국엔 석출이 됩니다.
Sodium phosphate, dibasic heptahydrate 와 CaCl2와 MgCl2가 만나면 석출이 되는것 같습니다 .혹시 해결방법이 있을까요?
시약은
Magnesium Chloride Hexahydrate
Sodium phosphate, dibasic heptahydrate
Sodium chloride
Potassium chloride
Potassium phosphate, monobasic
을 사용중입니다.
|
|
리코 | 2022.08.02 |
|
Q. |
웨스턴 블럿 (western blot) sample 부분 5x buffer로 희석 |
|
|
안녕하세요.
웨스턴 블럿으로 베타 actin band를 보는데 loading volume 을 동일하게 했는데 band의 두께가 일정하지 않아서 진하게 나온 sample들 몇 개만 따로 5X sample buffer로 희석하려고 합니다.
이런식으로 이미 heating까지 완료된 sample을 5X sample buffer만 넣어서 희석을 해서 다시 사용해도 되는 건가요?
만약 이렇게 해도 된다면, 샘플마다 버퍼의 양을 얼마나 넣어야 하나요?
이런 방법이 아예 불가능 하다면, 샘플을 전부 처음부터 다시 만들어야 하는거죠?
|
|
mintim99 | 2022.07.29 |
|
Q. |
stock을 streaking 과정 |
|
|
stock을 streaking하는 과정중 ice box에 담아서 하는걸로 배웠는데요 그런데 stock이 얼어있다보니 loop에 묻히는게 쉽ㅈ 않은가 같아서요
보통 얼려져있는 상태에서 loop로 streaking을 하시나요?
약간만 밖에 있어도 다 녹긴하던데 녹은걸 다시 얼리는것도 contam의 오염이 생길수도 있을거 같아서요 |
|
인턴임다 | 2022.07.29 |
|
Q. |
Ni-NTA histidine binding 관련해서 질문 드립니다!! |
|
|
안녕하세요.. 평범한 화학과 학생입니다.. 생명쪽이 전공이 아니지만 진행중인 연구가 생명과도 연관이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Ni-Nta 를 특정 substrate 위에 functionalize 할때 표면으로 Au 코팅된 substrate(Au coated silicon wafer 등)를 사용하는 이유가 따로 있을까요?.. 단순하게 Silicon wafer를 사용해도 똑같은 방법으로 Ni-Nta 코팅이 가능한지 여쭤보고 싶습니다. 제가 찾은 Ni-Nta를 Substrate위에 사용한 방법은 3,3' dithiodipropionic acid와 N-N-bis-Lysine hydrate를 사용하여 NTA를 만들고 Nickel을 인큐베이팅하는 방법입니다. 추가로 Au 표면과 dithiodipropionic acid가 어떤 방법으로 화학 결합하는지도 궁금합니다.. 부탁드립니다.. 간절합니다.. |
|
sh12020 | 2022.07.25 |
|
Q. |
부피 농도 질문입니다 |
|
|
1: 100 희석 =1% = 1:99(100ul)
1:3000 희석 = 0.033% = 1:2999(3000ul)
아닌가요?
근데 선임께서 1:100에서 10ul를 꺼내
PBS:2970ul에 넣고는 1:3000희석이라고 하셨는데
이해가 안갑니다.
|
|
농도치 | 2022.07.22 |
|
Q. |
negative staining 관련 |
|
|
안녕하세요?
이제 석사 1학기 마친 대학원생입니다 ㅠㅠ
exosome연구를 하고 있어 TEM 사진을 찍어야하는 상황인데,,,
시료 전처리 과정 중에 negative staining할 uranyl acetate는 이제 구할 수가 없는 것 같아서 대체품을 찾는 중입니다.
혹시 대체품으로 실험해보신 분 계신가요?
조언 구하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
|
이씅 | 2022.07.21 |
|
Q. |
트리스아미노메탄 용해 반응식이 어떻게 되나요? |
|
|
그냥 화학식에 보이는대로
(HOCH2)3CNH2 -> 3OH- + (CH2)3CNH2 3+
이렇게 적으면 맞나요...?
그럼 (CH2)3CNH2 3+ 가 DNA를 운반해주는 그 양이온인가요?
|
|
저으애 | 2022.07.20 |
|
Q. |
고체시약 + 증류수 밀도 계산 |
|
|
매질의 밀도 측정을 위해 시약을 제조하려 합니다.
NAI(고체시약)- 밀도: 3.5g/cm^3, molecular weight: 149.89
증류수- 밀도: 1g/cm^3
증류수 10ml에 NAI를 몇 g 넣어야 밀도 1.6g/cm^3의 혼합용액을 만들수있나요?
그리고 시약에서 ACS reagent, Reagent plus는 무엇을 뜻하는 건가요?
|
|
asdfw123 | 2022.07.20 |
|
Q. |
농도계산 |
|
|
100pmol이 1ul용액에 녹아있다면 왜 100uM인가요 이해가 안됩니다 |
|
sh1227 | 2022.07.19 |
|
Q. |
30% KOH 만들기 + 제가 시약 만드는 법이 이상한지도 확인해주세요 |
|
|
우선 정말정말 기초적인거 여쭤봐서 죄송합니다.
저는 시약을 만들 때 예를 들어서
1.5M Nacl을 100ml 만들 때
58.44(FW)*1.5(M)*0.1(L) = 8.766g으로 계산 후,
비커에 80ml 정도 증류수를 넣은 후 8.766g을 녹이고 100ml 볼 플라스크로 최종 볼륨을 맞춰서 만들고 있습니다.
시약을 이런식으로 만드는데 잘못된 점이 없는지 궁금합니다.
(예전에 아무것도 모르고 최종 볼륨을 먼저 메스실린더로 맞춘 후, 40g 정도 넣는 시약을 만들었다가 최종 볼륨과 많이 벗어난 적이 있었습니다.)
또한 이번에는 제가 30%KOH를 만들 예정인데 증류수 100ml 에 KOH 30g을 녹여 만들것입니다.
1. 위와 동일하게 30g을 80ml 정도에 녹인 후 최종 볼륨을 100ml 볼 플라스크로 맞출지
2. 100ml를 메스실린더로 먼저 맞춘 후 30g을 넣어서 그냥 녹일지
둘 중에 어느 방법으로 하는게 맞는지를 모르겠습니다.
너무 기초적인거 질문해서 다시 한 번 죄송합니다.
|
|
닝난ㅇㅇ웅 | 2022.07.19 |
|
Q. |
6N HCL 을 D.W 혼합하여 1N 10% HCL 조제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
|
|
안녕하십니까? 바쁜 시간 와중에 질문을 열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1. 6N HCL 상품화된 물질의 50ml 와 D.W 1075ml 을 혼합하였을 때
만들어 지는 1N % HCL은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2.1N 10% HCL 용액을 만들기 위해서 6N HCL 50ml와 필요한 D.W ml
양은 얼마나 필요한지 궁금합니다.
3. 6N HCL 을 이용하여 원하는 1N % HCL을 조제 하기 위해서는
6N HCL -> 1N HCL을 1차적으로 조제한 다음 ->2차적으로 D.W와
혼합하여 원하는 % HCL을 만드는 방법으로만 조제해야만 하는지
알고 싶습니다. 한번에 6N HCL에 D.W을 혼합하여 원하는 1N % HCL을 만드는 방법이 있다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
잠민이 | 2022.07.18 |
|
Q. |
siRNA transfect dilution |
|
|
안녕하세요! 현재 구매한 siRNA으로 transfection을 진행하려고 하는 중인데 해당 농도로 진행을 하면 되는 건지 확신이 서지 않아 도움을 구하려 글을 올려봅니다. 늘 도움주시고 조언해주시는 선생님들께 감사드립니다. :)
현재 제가 갖고 있는 siRNA dilution 상태는 20 uM, 250 uL입니다.
진행할 transfection에 사용할 농도는 10 nmol/l, 즉 0.01 uM입니다.
transfection procedure을 확인해보면 여기서는 siRNA 10 uM짜리를 사용하라고 하는데 (1) 제가 갖고 있는 siRNA 20 uM, 250 uL에 추가적으로 250 uL buffer을 dilute 해서 10 uM를 사용해도 문제가 없을까요?
또 현재 지금 transfection protocol을 확인해보면 (2) 10 uM, 3 uL를 넣는데 최종적으로 제가 원하는 농도인 0.01 uM을 맞추기 위해서는 siRNA 10 uM를 얼만큼 넣어야하는지 궁금합니다.
|
|
audthdus98 | 2022.07.18 |
|
Q. |
Microplate medium 교체 관련 문의입니다 |
|
|
안녕하세요. Microplate에서 cell starvation assay를 진행하고자 하는 대학원생입니다.
96 well과 같은 plate에서 starvation assay를 진행하는 경우, FBS가 포함된medium에서 하루 동안 cell이 바닥에 붙도록 기다리고, 이후에 FBS가 없는 starvation media로 용액을 교체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용액 교체 과정에서 보통 plate 내의 용액을 피펫팅으로 용액을 제거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해당 과정에서 용액을 너무 완벽히 제거하려다 보면 피펫이 바닥에 닿아 cell이 손상될 수 있고, 반면 용액이 남게 되면 각 well 별로 dilution되는 정도가 달라져 실험오차가 생길 것 같습니다.
혹시 해당 과정에서 재현성 있게 starvation media로 깔끔하게 용액 교체를 하는 방법이 있는 지 문의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
kwj053 | 2022.07.16 |
|
|
Q. |
엔도톡신과 곰팡이 |
|
|
안녕하세요.
바이오업계에 처음 발을 들인 초짜입니다.
용액속에 흰곰팡이가 자랐습니다. 그러나 엔도톡신은 상당히 적은데요.
다른 균이 있지만 엔도톡신이 적을 수 있나요?
|
|
송송버섯 | 2022.07.15 |
|
Q. |
1X running buffer 만드는 법 확인 부탁드립니다..! |
|
|
Tris 30.3g, Glycine 144.1g, SDS 10.0g, 3차 DW 1000mL
이를 섞어 10X running buffer 1L를 만들고, 9L의 3차 DW로 희석하여 1X running buffer를 만듦
이 과정 맞나요ㅠ |
|
jyun1009 | 2022.07.15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