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BUG-WINDOW 처리영역 보기]
즐겨찾기  |  뉴스레터  |  오늘의 정보 회원가입   로그인
BRIC홈 실험
ACROBIOSYSTEMS
배너광고안내
이전
다음
스폰서배너광고 안내  배너1 배너2 배너3 배너4
Miami Winter Symposium 2023 – Molecular Neuroscience: Focus on Sensory Disorders 학회 참관기
전체보기 안전점검 LABox
 카테고리: 전체 > Cell Biology > Cell Culture
Mol. Biol.-DNA Mol. Biol.-RNA Mol. Biol.-Protein Immunology
Cell Biology Microbiology Plant Biology Laboratory Animals
Omics Chemical biology Bioinformatics Laboratory Equipments
Buffer/Reagent Bioethics Etc.
카테고리 전체보기펼치기
질문/투표/프로토콜 등록
Q. L6 계대 관련 질문입니다ㅠㅠ
L6 cell line의 경우 subculture시에 1:X라고 되어있는데 이 1:X의 의미를 잘 모르겠습니다. cell subculture시 centrifuge를 통해 cell down을 시킨 후 fresh media로 resuspension해줒 용액의 양에서 1:X라고 말하는 것인지 혹은 flask 혹은 well에 들어갈 media volume대비 1:X 라는 것인지여…. 제발 도움 부탁드립니다ㅠㅠㅠ
회원작성글 gocot11  |  2022.12.06
Q. L6 계대 관련 질문입니다ㅠㅠ
L6 cell line의 경우 subculture시에 1:X라고 되어있는데 이 1:X의 의미를 잘 모르겠습니다. cell subculture시 centrifuge를 통해 cell down을 시킨 후 fresh media로 resuspension해줒 용액의 양에서 1:X라고 말하는 것인지 혹은 flask 혹은 well에 들어갈 media volume대비 1:X 라는 것인지여…. 제발 도움 부탁드립니다ㅠㅠㅠ
회원작성글 gocot11  |  2022.12.06
Q. 잘 뭉치는 cell culture 법
안녕하세요 이번에 새로 HepG2 cell line을 키우게 되었는데 얘가 잘 뭉쳐서 자라는 성격 때문인지 트립신을 아무리 쳐도 안 떨어지는 세포들이 많습니다.. cell 이 자라는 속도는 느려서 일주일에 한 번 subculture 해줘도 무방할 정도인데 너무 뭉쳐서 자라서 트립신을 쳐도 정말 잘 안떨어져서 거의 50%만 떨어지고 50% 은 버리고 있습니다.. 중간 중간에 떼서 풀어주고 다시 분주를 해줄까 생각도 했는데 괜히 loss 만 생기는 건 아닐지 생각도 들고.. 잘 뭉치는 성격을 가진 cell culture 에 대한 팁이 있다면 부탁드립니당. 감사합니다.
회원작성글 쥐팤  |  2022.12.06
Q. cell culture 이물질 형성 첨부파일
cell을 culture하는데 어느 순간부터 이물질이 보이기 시작했습니다.  바닥에 붙어있기도 하고 떠다니기도 하고 cell에 붙어 있기도 합니다.  cell viability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 같지는 않지만 cell에 붙어 있는 것들이 성장을 저해시키는 듯합니다.  혹여 컨탐일까 싶어서 따로 분리해서 일주일 가량 배양했지만 크기가 커지거나 수가 늘지는 않았습니다.  coating도 필요한 경우 sterile water를 이용했습니다.  의심가는 것은 DMSO 상태가 좀 이상하긴 하지만 같은 DMSO를 사용하는 다른 분들은 이상이 없어서 이 문제는 아닌 듯합니다.  대체 이게 뭐고 어떻게 없애야 하나요??
회원작성글 Jgee  |  2022.12.06
Q. 주화세포에 바이러스 접종시
바이러스에 감염된 조직에서 추출한 액을 희석하고 주화세포에 접종하여 CPE를 관찰 하려고 할 때 난에서는 난황물질이 독성을 나타내어 CTE를 나타낼 수 있다고 하는데요 그렇다면 난황을 제거하는 방법이 따로 있을까요?
회원작성글 수산생명의학과  |  2022.12.05
Q. Cell seeding시 media
Cell seeding 할 때 셀 카운트를 한 후에 예를 들어, 1 곱하기 10의 5승으로 cell을 seeding 하려고 합니다.  그럼, 6 well plate 내 media는 1 ml를 넣어야 하는지 2 ml를 넣어야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sample은 seeding 후 24시간 뒤에 처리하는 데, 이때는 media를 모두 석션하고 새로운 배지 2 ml을 넣은 뒤 처리합니다. (정확한 농도로 처리하기 위하여) 
회원작성글 오이가싫어  |  2022.12.05
Q. stable cell line 만들때
u87 세포를 가지고 stable cell line을 만들려고 합니다. polyclonal을 만들고 limiting dilution을 통해 monoclonal population을 만들려고 하는데 polyclonal population까지 만들고 이것을 cell stock을 하여 나중에 (대략 3달 뒤) limiting dilution을 하려고 하는데 문제 없겠죠? (개인사정으로 바로 limiting dilution을 하지 못하게 됬어요..ㅠㅠ). 그리고 cell stock을 할때 보관을 -80도 deep freezer에 보관을 하나요 아니면 질소탱크에다가 보관을 하나요? Transduction을 진행 후 antibiotic selection을 진행을 하는데 protocol을 찾아보니깐 control 군 (lentivirus가 없는 곳)에 있는 세포들이 다 죽을 때 까지 incubator에 보관을 하고 2-3일 마다 media change를 해주라고 나와있는데 죽은세포와 살아있는 세포는 현미경으로 어떻게 관찰을 하나요? 모습에 차이점이 있나요? 그리고 media change는 antibiotic이 들어간 media를 가지고 진행을 해주면 되나요?   아직 실험 초보여서...ㅠㅠ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회원작성글 avocaddo  |  2022.12.05
Q. Corn meal agar에 trypan blue를 첨가해서 사용하는 목적이 뭔가요?
집락을 더 잘 관찰하기 위함인가요...ㅠ
회원작성글 dpdrmfjffl..  |  2022.12.04
Q. 셀 자라는 속도 문의드립니다..
월 : 저녁에 25t-> 75t 하나로 계대 화 : 오후에 30% 찬 것 확인 수 : 저녁에 50% 찬 것 확인 목 : 저녁 8시경 확인했더니 overgrowth, 일단은 계대 진행 금 : 토 : 일 : 사진과 같은 상태 입니다..ㅠㅠ p.1의 b16f10 세포를 분양 받았고 위와 같이 계대를 진행하였습니다. 매일매일 세포 자라는 것을 확인하였고 수요일 저녁에 50% 차서 목요일 저녁쯤 계대하면 되겠거니 생각하고 있었는데 배지가 노랗게 뜨고 overgrowth 된 것 처럼 세포도 붕 뜨더라구요.. 그래도 거의 붙어있어서 그거라도 계대를 했는데 동글동글한 모양으로 본래의 morphology를 잃은 상태로 잘 자라지 못합니다 1. 어떻게 살릴 수 있는 방도가 없을까요? 2. 세포 키우면서 이런 적이 없었는데(계속 b16f10의 동일한 세포만 키워왔음) 갑자기 이렇게 되니 당황스럽습니다.. 보통은 전날 60~70%정도 차도 다음날 저녁에 계대해도 괜찮았거든요. 이렇게 자라는 속도가 갑자기 빨라질 수 있나요? 3. 분양 해주신분 께서 세포 상태가 안좋다고 하셔서 좀 미루다가 그 분께 분양 받은건데, 처음부터 세포 상태가 안좋아서 이렇게 됐을 가능성이 있을까요?
회원작성글 석사과정쥬쥬  |  2022.12.03
Q. PANC-1, MIA paca-2 차이점
췌장암 관련 논문을 읽고있는데, 이해가 잘 가지 않는 부분이 있어서 여쭤봅니다.... panc-1 : pancreatic ductal adenocarcinoma cell line mia paca-2 : pancreas cancer cell line   흔히 췌장암이라고 하면 췌관선암인 pancreatic ductal cancer이라 panc-1은 알겠는데, mia paca-2 cancer cell line은 그럼 같은 건가요..?
회원작성글 합성인데 생물공부  |  2022.12.02
Q. 모발건강, 탈모실험 관련하여 문의드립니다.
안녕하세요. 탈모관련 실험을 셋팅중입니다. 국내에서 human dermal papilla cell을 2번 구매하였습니다. female과 male 40 years old로 구매를 하였는데, 두 세포모두 minoxidil 10uM을 처리하였을 때, 세포성장인자 (KGF, VEGF 등) 에서 발현이 나타나지 않습니다. primary세포에 minoxidil을 처리하였을 때, 왜 반응이 일어나지 않는지 궁금합니다.   조금이라도 아시는 분들은 답변 달아주세요 ㅜㅜ <trouble shooting 조건> (1) 세포 재 구매 (2) DPC 전용배지로 배양중 (3) minoxidil, finasteride등 positive control 농도별 테스트 진행함    - 발현 변화 없음. (4) primer 변경 등  
회원작성글 클린벤치  |  2022.12.01
Q. cell subculture 방식에 대한 질문
안녕하세요  새내기 대학원생입니다.   cell subculture시 trypsin 처리 하고 media로 트립신을 희석시켜서 하는 방법과 trypsin 처리 하고 centrifuge 돌려서 trypsin 제거 하고 media로 resuspension 해주는 경우 중 어떤 것을더 선호하시나요? 선호하시는 것이 있으시다면 그 방법을 선호하는 이유와 만약 첫 번째 방법을 사용하신다면 트립신이 몇 퍼센트까지 괜찮은지 알려주신다면 감사하겠습니다.(예를들면 media 20ml에 트립신 2ml 정도 -> 10%등)   감사합니다.
회원작성글 쥐팤  |  2022.12.01
Q. cell이 이상합니다ㅠㅠ( mcf-7)
MCF-7 cell을 받아서 스탁 만들어두고 키우고있습니다. 근데 계속 컨탐되는거 같아요. background가 더럽습니다ㅠㅠ dish를 약간 기울면 하얀색 알갱이? 모래처럼 움직이는게 보입니다. 일단 급한대로 1% PS media를 넣어줬습니다.. 예전 cell도 컨탐되어서 다시 스탁 푼건데 풀때는 괜찮습니다. 풀고 cell 확인하면 잘 붙어있습니다. 계대 한번해도 잘 붙어있는걸 확인합니다. background도 깨끗해요. 근데 3번째 넘어갈때 항상 저렇게 컨탐되네요..이유가 뭘까요?ㅠㅠㅠ 배지도 새로 따고 pbs도 새로 땄는데.. 트립신이 컨탐됬을수도 있을까요? 실험실 사람들과 같은 벤치쓰는데 다른사람들껀 괜찮아 보입니다. 인큐베이터도 같이 사용하고있어요.
회원작성글 헤우니  |  2022.12.01
Q. 진탕 배양기 헤파필터
그람 양성 박테리아를 culturing하고 있습니다. 포자 유도배지로 진탕배양기에서 4일 배양하는데 Contamination이 일어나서 포자배양을 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공기 중 오염이 의심되는데, 진탕배양기는 헤파필터를 사용하여 공기를  챔버내에 공급하지 않나요? 실험하시는 분들의 경험이나 의견을 구합니다.                
회원작성글 stanley  |  2022.11.30
Q. SK-BR-3 cell 을 긴급히 구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한 제약회사에 다니고 있는 사람입니다.  현재 저희는 QC 시험을 위해 긴급히 SK-BR-3 cell (HTB-30) 을 구하고 있습니다.  혹시 임시로 저희에게 제공해주실 수 있으시다면 저희가 구매한 cell 이 입고되는 대로 cell 을 드릴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아니면 혹시 다른 cell 이 필요하시다면 말씀주세요) 긴급히 내부사정으로 구하게 된 점 양해부탁드리며, 연락 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제 메일 주소는 아래와 같습니다.  jcho2015@gmail.com   감사합니다.   
회원작성글 애코  |  2022.11.26
Q. NO assay 에서의 실험군과 대조군
1. 실험군 : 그리스 시약 + LPS 처리된 대식세포 상층액(NO가 분비되어 그리스시약과 반응해 선홍색의 아조염료가 생성됨) 대조군(blank) : 그리스 시약 + LPS처리 안한 대식세포 상층액(NO분비 안되어 색변화 없음) 이렇게 설정하는 것이 맞나요??   2. NO standard와 비교해서 NO의 농도를 구하란 말이 질산나트륨 수용액을 이용하여 만든 표준 검정 곡선(NO standard curve)을 통해 아조염료의 흡광도(y값)에 대응하는 NO2의 농도(x값)를 구하면 NO의 양을 정량할 수 있다는 말인가요?   3. NO standard는 대조군이 아닌거죠??  
회원작성글 아르웬  |  2022.11.26
Q. fibroblast cell contamination 일까요..? ㅠㅠ 도움부탁드립니다 첨부파일
안녕하세요 이제 석사를 시작하지 얼마안된 학생입니다.. 다름이 아니고 ccd 18co cell 을 키우고있는데 셀들 주변에 아주작은 거뭇거뭇한게 여러개 보이네요... ㅠㅠ  그리고 확대해보면 몇몇 작은 하얀색 덩어리가 꿈틀거리면서 다니는게 보입니다.  혹시 오염인지 그리고 오염이라면 어떤오염인지 알수있을까요..? 선배님들의 답변 감사하게 듣겠습니다
회원작성글 나르  |  2022.11.25
Q. transwell -migration assay 많이 해보신 분 답변 부탁드립니다! 첨부파일
transwell 후 crystal violet으로 staining해서 이미지를 확인했는데 염색이 떡진 것처럼 원래 세포 모양과는 다르게 너무 이상하게 나왔습니다.. 처음 셀 깔고 현미경으로 볼 때는 셀이 있는 걸 분명 확인했는데 염색은 이렇게 되어서 이유를 모르겠어요..ㅠㅠㅠㅠ 혹시 이런 식으로 나오셨던 분 없을까요?  일단 세포는 ID8이라는 Murine ovarian cancer cell입니다. 아래는 ATCC에서 가져온 ID8 Culture 시 사진이에요.. 실험 자체는 cell seeding 후 12시간 처리 -> 4% PFA solution으로 10분 fix -> PBS washing 2번 -> 0.05% crystal violet으로 30분 staining -> PBS washing 2번 -> 면봉으로 unmigrated cell 제거 -> Dry 후 촬영 순서로 하였습니다. 아시는 분은 답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회원작성글 .gh  |  2022.11.24
Q. retinoic acid 응결 현상 해결방법
안녕하세요. 지금 retinoic acid를 이용해서 SH-SY5Y 분화 실험 셋업중인 석사 1학기차입니다.   지금 5mM retinoic acid stock을 만들어둔 상태이고요. (DMSO에 녹였습니다!) media(DMEM)에 희석시켜서 최종 10uM 사용하려고 했는데 RA가 잘 안녹고 떠다니더라구요 ㅠㅠ  그리고 최대한 vortexing하고 처리해봤더니 cell도 다떨어져 죽었습니다.. 같은양의 DMSO만 넣었을땐 안죽는걸로 봐서 RA 때문인거같은데.. 혹시 SH-SY5Y분화실험을 해보셨거나 RA를 완벽하게 녹이는 법을 알고계신분 있을까요..?
회원작성글 청포도맛 망고  |  2022.11.24
Q. 세포 오염(Contamination)인가요?
  안녕하세요. 대학원 석사생입니다. 세포를 키우는데 어느날 곰팡이가 활짝 피어서 인큐베이터 뒤집고 다시 세포를 풀었는데 세포 상태가 좋지 않아 배지만 갈아주고 다음 날 확인하였습니다. 더 자라지 않고 세포 모양이 변한거 같은 생각이 듭니다. 또 자세히 보니 세포 주변에 이런 것들이 있어서 그런데 세포가 또 오염된걸까요? 원인을 알려주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회원작성글 댕댕박사  |  2022.11.23
이전  01 02 03 04 05 06 07 8 09 10  다음
실험 회원 등급이란?
실험Q&A 회원등급안내
위로가기
실험 홈  |  실험FAQ
 |  BRIC소개  |  이용안내  |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이메일무단수집거부
Copyright © BRIC. All rights reserved.  |  문의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유튜브 유튜브    RSS서비스 RSS
엘앤씨바이오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