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C2C12 세포를 이용해서 muscle atrophy 관련 실험을 하고있는 실험 초보 석사입니다.
C2C12 세포에 LPS를 처리하여 cytokine (TNF-α, IL-1β) 발현양을 ELISA로 확인하는 것과 근위축과 관련된 바이오마커들 (Foxo3a, AKT, mTOR, myogenin)을 western blot을 이용해 확인하는 실험을 진행 중인데요..
두 실험 모두 도움이 필요합니다ㅠㅠ
우선 cytokine은 LPS 농도와 처리 시간을 다양하게 설정하여 예비실험을 진행했습니다. 지금까지 100ng/mL, 1ug/mL, 10ug/mL로 2, 4, 6, 12, 24, 48시간 처리해보았는데 전부 흡광도를 측정했을 때 standard 범위 내에 들어오지 않습니다. 눈으로 봐도 정말 색이 하나도 변하지 않아요..ㅠㅠㅠ 세포 수도 다양하게 설정해봤습니다. 1x105, 2x105, 5x105, 1x106, 3x106cell/mL로 seeding해서 실험을 진행해보았고 결과는 마찬가지였습니다..ㅠㅠ 이제 어떻게 실험을 진행해야할지 막막합니다..
두번째는 western blot입니다. dexamethasone을 처리해서 Foxo3a, p-Foxo3a, AKT, p-AKT, mTOR, p-mTOR, myogenin을 확인하고있습니다. 농도는 10uM, 100uM로 24시간씩 처리해서 예비실험을 진행하고 있었구요 문제는 control과 샘플을 처리하지 않은 그러니까 dexamethasone만 처리한 처리구를 비교할 때 경향이 자꾸 반대로 나옵니다. 예를 들자면 foxo3a는 핵 내로 들어가서 근위축과 관련된 유전자를 발현시키는 단백질이고 인산화된다면 이런 역할이 저지되는 것으로 알고있는데 dexamethasone 처리구에서 control 보다 p-foxo3a가 많이 나타납니다.. western blot도 세포 농도를 위 실험처럼 다양하게 진행해보았습니다..ㅠㅠ
요약하자면
1. TNF-α, IL-1β를 ELISA로 측정하는데 세포농도(1x105, 2x105, 5x105, 1x106, 3x106cell/mL), LPS 농도(100ng/mL, 1ug/mL, 10ug/mL), 처리시간(2, 4, 6, 12, 24, 48h)을 다양하게 해도 반응이 나타나지 않습니다.
2. western blot을 진행하는데 dexamethasone으로 자극을 준 처리구에서 근위축과 관련된 단백질이 control보다 더 적게 나타납니다.
혹시 실험 과정 중에서 짐작이 가시는 잘못된 부분이 있을까요? 세포는 passage 6~9사이의 것들로만 사용했습니다. 어디서 잘못된건지 너무 답답해요ㅠ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