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BUG-WINDOW 처리영역 보기]
즐겨찾기  |  뉴스레터  |  오늘의 정보 회원가입   로그인
BRIC홈 실험
ACROBIOSYSTEMS
배너광고안내
이전
다음
스폰서배너광고 안내  배너1 배너2 배너3 배너4
미국 박사 유학 생존기
전체보기 안전점검 LABox
 카테고리: 전체 > Cell Biology > etc.
Mol. Biol.-DNA Mol. Biol.-RNA Mol. Biol.-Protein Immunology
Cell Biology Microbiology Plant Biology Laboratory Animals
Omics Chemical biology Bioinformatics Laboratory Equipments
Buffer/Reagent Bioethics Etc.
카테고리 전체보기펼치기
질문/투표/프로토콜 등록
Q. migration할때 FBS 첨가하나요?
migration을 하고 있는데 실험실에 protocol이 없어서 논문만 엄청 찾아보았는데 FBS를 첨가한다는 말은 전혀 없더라구요. 그래서 그대로 했는데 세포가 이동을 안했습니다. 다른 실험실 지인 FBS를 첨가해야 이동을 한다고 하여서 10%fbs를 트리트먼트하고 30분뒤에 첨가하니 정말 이동을 하더라고요. 근데 원래 migration에 fbs 첨가하는게 맞나요?  저희는 처음부터 셀 시딩을 많이 하여서 3~4시간이면 처리한 cell들은 가운데로 다 붙습니다.  논문에 안써있어서 FBS를 첨가하는게 맞는건지 10%를 넣는것이 맞는건지 궁금합니다. 도와주세요!!!
회원작성글 oneday  |  2022.08.11
Q. buffer의 역할
엽록체 분리 실험에서 grinding buffer가 사용이 됩니다. 그 성분에는 sorbitol, sodium pyrophosphate, mgcl2 ascorbic acid 가 있는데 이 성분이 어떻게 엽록체 파쇄에 도움을 주는지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buffer라는 건 ph를 일정하게 유지시켜주는 건데 grinding buffer은 이러한 ph 유지 역할이랑은 관련이 없어 보이는데 왜 buffer라고 하는 건가요 관련 자료라도 올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ㅜㅜ
회원작성글 곧3  |  2022.08.10
Q. ImageJ로 형광 정량하는 법이요 ㅠㅠ
imageJ로 세포 형광 정량하려고 하는데, 저같은 경우는 colocalization을 한거라, 같은 위치에서의 두 형광 시그널을 받아 비율을 보려고 하는데, (red대비 blue의 형광을 보려고합니다) Split channels->Threshold 설정-> Analyze particles를 사용하면 red와 blue의 point가 다릅니다.  저 위의 사진은 20x에서 찍은 셀을 제가 직접 누끼(?)딴건데 교수님께서는 정량하려면 최소 150 cell 직접 따거나 10x 5장으로 정량하라고 하십니다.   혹시 같은 위치에서 2가지 채널의 시그널을 정량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제가 일일히 따야하는걸까요? 도와주세요..
회원작성글 컬쳐룸도비  |  2022.08.10
Q. fluorescence reader 시 black plate bottom 관련
이번에 ROS 측정을 하려고 protocol을 확인중에 black plate clear bottom을 쓰라고 되어있더라구요   근데 랩실에서는 막힌거만 있고, 현재까지 FL 측정시에 문제 없었거든요 suspension cell 가지고 실험할거라서 clear bottom으로만 측정해야하나요?   다른랩에서 하는 걸 보니, clear bottom을 막아서 측정하시는 분도 계시던데.. bottom reading 하는게 아니면 clear를 안써도 되는 건가요? plate의 종류 때매 너무 헷갈리네요
회원작성글 YeKy  |  2022.08.08
Q. 폰슈 결과 봐주세요 ㅠㅠ
    transfer 후 폰슈해봤는데 사진처럼 가운데에 큰 구멍이 있어 밴드가 안보입니다. pvdf membrane을 사용하고 메탄올에 담근 후 dw, trans buffer에 적셔 gel에 올리고 기포를 완벽하게 제거해주었습니다.. running까지 잘 진행된것을 확인했고, transfer는 90v에 120분간 진행했습니다. 총 3개의 gel을 transfer 했고, tank 두개를 사용하여 tank1에서 진행한것은 오른쪽 사진결과, tank2는 왼쪽사진과 사진은 없지만 transfer가 잘된것 하나 이렇게 진행했습니다. 기포라고 하기에 너무 큰 구멍인거 같은데 왜그럴까요??ㅠㅠ 고수님들 답변 부탁드립니다...!!
회원작성글 웨구러지  |  2022.07.31
Q. RT-PCR 전 세포에 sample처리
안녕하세요 RT-PCR 하려고 cell키워 seeding 하고 sample처리를 했는데 알티할때는 FBS없는 배지로 sample처리를 해야한다고 알고있는데 제가 fbs있는 배지로 샘플처리하고 24시간 뒤에 trizol처리했는데....fbs 유무에 따라 실험결과 차이가 많이나나요?  
회원작성글 leedayoung  |  2022.07.31
Q. 절단된 신경세포에서 '근위'의 위치
신경세포, 특히 축삭부분에서 '근위'라 함은 어디인가요? 신경 재생관련 글을 읽다 보니 신경절단되었을 때 축삭의 '근위' 쪽에서 신경다발이 형성된다고 나와있는데 축삭의 근위라 함은 절단된 부위에서 신경세포체 부분의 절단면을 말하는 걸까요, 아니면 축삭말단쪽 절단면을 말하는 걸까요..?
회원작성글 mrjbk77  |  2022.07.30
Q. 긴 시간 세포운반 질문
안녕하세요 세포를 이번에 받게되서 운반을 해야되는데....사정상 이동시간이 12시간 정도 될거 같아서 고민입니다. 단거리로는 저도 보내거나 받아봤는데 이렇게 시간을 오래 끌면서 받아보긴 처음이라서 어떻게 받아야할지 고민이네요. 시간이 시간이다보니 액체질소는 무리일거 같고 드라이아이스나 그냥 배지 꽉채워서 받는 방법중 하나가 좋을거 같은데 어떤게 좋을까요...? 많은 답변 부탁드립니다. 세포는 하나는 일반 세포, 하나는 암세포이며 둘다 adhrent cell입니다.
회원작성글 Remin  |  2022.07.28
Q. Caspase-1 Glo (promega) 실험에 대해 여쭤봅니다.
Caspase-1의 활성을 보기 위해 Promega에서 glo kit를 구입하여 조건 set up중에 있습니다.   사용하는 cell은 Human lung epithelial cell인 H292입니다. white 96-well plate에 5*10^4으로 cell을 100 ul씩 seeding을 하고 caspase-1 활성을 위해 P.aeruginosa (MOI 100)를 이용하여 infection시켰습니다.   이후 Luminometer로 detection하면 +/-의 수준이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아 원인을 생각해보고 있는데 기본적인 basal level이 높아 inducing이 되어도 차이가 나지 않는 것인가 생각이 됩니다. ( + : 140,000,  - : 120,000 ) 다른 paper들을 참고했을 때 caspase3/7를 측정할 때 seeding 농도를 낮게 깔아 그것대로 cell seeding 농도를 낮추고자 하는데 혹시 제가 생각해볼만한 부분이 있는지 여쭤보고 싶습니다.
회원작성글 도도형  |  2022.07.27
Q. [논문 요청]
안녕하세요.   논문 요청드리고자 합니다. 기술 이전을 위한 Method Validation에 대해서 공부중입니다. Flow Cytometry Method Validation Protocols - PubMed (nih.gov) Flow Cytometry Method Validation Protocols - Selliah - 2019 - Current Protocols in Cytometry - Wiley Online Library   감사합니다.
회원작성글 남현  |  2022.07.26
Q. C2C12 세포를 이용해 근위축 관련 실험을 하고있습니다
안녕하세요 C2C12 세포를 이용해서 muscle atrophy 관련 실험을 하고있는 실험 초보 석사입니다. C2C12 세포에 LPS를 처리하여 cytokine (TNF-α, IL-1β) 발현양을 ELISA로 확인하는 것과 근위축과 관련된 바이오마커들 (Foxo3a, AKT, mTOR, myogenin)을 western blot을 이용해 확인하는 실험을 진행 중인데요.. 두 실험 모두 도움이 필요합니다ㅠㅠ 우선 cytokine은 LPS 농도와 처리 시간을 다양하게 설정하여 예비실험을 진행했습니다. 지금까지 100ng/mL, 1ug/mL, 10ug/mL로 2, 4, 6, 12, 24, 48시간 처리해보았는데 전부 흡광도를 측정했을 때 standard 범위 내에 들어오지 않습니다. 눈으로 봐도 정말 색이 하나도 변하지 않아요..ㅠㅠㅠ 세포 수도 다양하게 설정해봤습니다. 1x105, 2x105, 5x105, 1x106, 3x106cell/mL로 seeding해서 실험을 진행해보았고 결과는 마찬가지였습니다..ㅠㅠ 이제 어떻게 실험을 진행해야할지 막막합니다.. 두번째는 western blot입니다. dexamethasone을 처리해서 Foxo3a, p-Foxo3a, AKT, p-AKT, mTOR, p-mTOR, myogenin을 확인하고있습니다. 농도는 10uM, 100uM로 24시간씩 처리해서 예비실험을 진행하고 있었구요 문제는 control과 샘플을 처리하지 않은 그러니까 dexamethasone만 처리한 처리구를 비교할 때 경향이 자꾸 반대로 나옵니다. 예를 들자면 foxo3a는 핵 내로 들어가서 근위축과 관련된 유전자를 발현시키는 단백질이고 인산화된다면 이런 역할이 저지되는 것으로 알고있는데 dexamethasone 처리구에서 control 보다 p-foxo3a가 많이 나타납니다.. western blot도 세포 농도를 위 실험처럼 다양하게 진행해보았습니다..ㅠㅠ  요약하자면 1. TNF-α, IL-1β를 ELISA로 측정하는데 세포농도(1x105, 2x105, 5x105, 1x106, 3x106cell/mL), LPS 농도(100ng/mL, 1ug/mL, 10ug/mL), 처리시간(2, 4, 6, 12, 24, 48h)을 다양하게 해도 반응이 나타나지 않습니다. 2. western blot을 진행하는데 dexamethasone으로 자극을 준 처리구에서 근위축과 관련된 단백질이 control보다 더 적게 나타납니다. 혹시 실험 과정 중에서 짐작이 가시는 잘못된 부분이 있을까요? 세포는 passage 6~9사이의 것들로만 사용했습니다. 어디서 잘못된건지 너무 답답해요ㅠㅠ
회원작성글 용맹한계란  |  2022.07.25
Q. migration/ invasion assay 셀카운팅을 하라는데 어떻게 진행해야 하나요?
2well / 8 insert 로 migration/ invasion assay 실험을 하는 데요. 유튜브 프로토콜이나 제가 받은 프로토콜 종이를 보면  제일 마지막은 현미경으로 보고 셀카운팅을 하라 써있더라구요  그런데 현미경으로 보고 어느 거를 셀카운팅을 해야 하는 건가요 ? 다들 어떤식으로 셀카운팅 및 사진을 촬영하세요?   1) 현미경도 4x 10x 20x 40x가 있잖아요, 여기서 어느 배율로 보고 사진 촬영 하시나요 ?   2) 그리고 셀카운팅을 할때 그 찍은 사진을 토대로 이미지j 프로그램을 사용하면 되는건가요 ?   도와주실 분이 없어서 비루한 프로토콜보고 하는데 정말 제일 마지막 단계에서 어찌야해할지 막막해서요. 답변 미리 감사합니다.             
회원작성글 나나다다  |  2022.07.25
Q. SDS-PAGE 실험에서 LDS samplebuffer와 reducing agent 넣는이유
현재 시험실에서 SDS-PAGE 시험을 진행하고있는데, 샘플 전처리시 LDS sample buffer와 reducing agent를 넣고 실험하고있습니다. LDS samplebuffer에는 mercapto ethanol이 들어가있어 di sulfide bond 끊는걸로 알고있고, reducing agent에는 DTT가 들어가있어 di-sulfide bond 끊는걸로 알고있습니다.   LDS 샘플버퍼가 s-s 본드 끊어주는 역할을 하는데, 굳이 동일한 역할을 하는 reducing agent까지 넣는 이유를 찾질 못하겠네요..
회원작성글 goooda  |  2022.07.22
Q. migration할때 FBS 얼마나 넣나요
cell migration 실험을 하려고 합니다. 실험실에 protocol이 없어서 열심히 찾아보고 주변에 물어보고 해서 여러번에 실패 끝에 성공을 했는데요. 실패원인이 제가 FBS를 첨가하지 않아서 cell이 migration하지 않았더라구요. 그래서 지인이 10%FBS를 넣으라고 해서 24시간 starvation하고 treatment를 첨가한 media를 넣고 30분 뒤에 총 volume의 10%FBS을 첨가해서 0h으로 하고 이후 2시간마다 확인하고 있습니다. 저희가 실험하는 cell이 migration이 금방되서 IGF을 처리하면 3~5시간이면 완전 migration이 됩니다. 근데 다른 지인이 10%FBS를 넣으면 증식이 되는거 아니냐며 3%가 적당하다고 합니다. 여러분들은 FBS 얼마나 넣으시나요?
회원작성글 oneday  |  2022.07.22
Q. 지속가능한 발전
지속가능한 발전을 큰 주제로 하고 환경오염을 소주제로 하여 팀을 구성하였는데 고등학생 수준에서 할 수 있는 환경오염관련 실험 추천해주세요
회원작성글 alice_s  |  2022.07.22
Q. 항암효과 측정
항암효과를 측정하는 방법 알려주세요. 쉽고 자세하게 부탁드립니다.
회원작성글 단치  |  2022.07.21
이전  01 02 03 04 05 06 7 08 09 10  다음
실험 회원 등급이란?
실험Q&A 회원등급안내
위로가기
실험 홈  |  실험FAQ
 |  BRIC소개  |  이용안내  |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이메일무단수집거부
Copyright © BRIC. All rights reserved.  |  문의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유튜브 유튜브    RSS서비스 RSS
필코리아테크놀로지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