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BUG-WINDOW 처리영역 보기]
즐겨찾기  |  뉴스레터  |  오늘의 정보 회원가입   로그인
BRIC홈 실험
에이비클로널
배너광고안내
이전
다음
스폰서배너광고 안내  배너1 배너2 배너3 배너4
Miami Winter Symposium 2023 – Molecular Neuroscience: Focus on Sensory Disorders 학회 참관기
전체보기 안전점검 LABox
 카테고리: 전체 > Cell Biology > Cell Culture
Mol. Biol.-DNA Mol. Biol.-RNA Mol. Biol.-Protein Immunology
Cell Biology Microbiology Plant Biology Laboratory Animals
Omics Chemical biology Bioinformatics Laboratory Equipments
Buffer/Reagent Bioethics Etc.
카테고리 전체보기펼치기
질문/투표/프로토콜 등록
Q. Cell culture시 최소 seeding number가 몇인가요??
30% 이하로 seeding 시 자라지 못한다는 말을 들었는데요   100mm나 6well에서의 최소 cell seeding number나 confleuncy가 몇인지 알려주실수 있으신가요?   구글링해도 잘 안나오네요
회원작성글 ㅁㅇㄹ  |  01.07
Q. E.coli 단순배양 오염? 첨부파일
안녕하세요? 개인적인 사유로 e.coli를 시중에서 구매하여 LB plate에 배양하는데, Bacterial lawn처럼 잔뜩 깔린 것을 멸균 백금이로 Streaking하였는데요 사진처럼 배양이 되었습니다 빨간색 1 을 보시면, Colony모양이 조금씩 다릅니다 제가 기억하는 e.coli 콜로니는 동그랗고 경계가 뚜렷한 모양인데, 경계가 불분명하고(찌글찌글) , 광택이 납니다. 마치 암석 같이. 파란색2 를 보시면 Colony도 아닌것이 뿌였게 안개처럼 퍼져있는 모습을 보입니다 오염된것일까요? 다시 구매해야할까요?ㅜㅜ
회원작성글 호진과학  |  01.06
Q. CellGem용 세포 샘플
CellGem을 이용하여 단일 세포를 얻어내려고 하는데 Using similar methods as preparing cell samples for flow cytometry 은 정확히 어떻게 하나요?
회원작성글 커아  |  01.06
Q. Human primary osteoblast의 성장률 (doubling time)
Human의 primary osteoblast를 이용하여 실험을 진행하려고합니다 인터넷에 배양에 관한 프로토콜이 나와있지만 대략적인 doubling time이 나와있지 않아 알고싶습니다
회원작성글 iubef  |  01.05
Q. 6well plate 배양할때 세포 떨어지는 이유가 단순 핸들링 문제일까요?
세포배양을 하는데 6well plate에 배양하면 well 아랫부분에 세포가 떨어집니다. pipetting도 굉장히 살살하고 일부러 well의 윗쪽으로 pipetting하는데 꼭 아랫부분만 떨어지고 실험하기 하루 전에 깔아두고 실험 당일에 확인해보면 잘 붙어있어요 그런데 꼭 실험 끝나고 결과확인해보면 떨어져있더라구요 ...   이걸 단순 핸들링 문제로 봐야하는지 아니면 세포가 떨어지는 다른 이유들이 있는지 궁금해서 질문드립니다.    
회원작성글 jinnykkk  |  01.04
Q. HepG2 contamination 첨부파일
안녕하세요~ HepG2 cell culture 하던 중 400배로 확인했을때 움직이는 것 처럼 보이는게 있있었습니다.  Contamination으로 확신해 폐기한 후 incubator 전체 소독하고 배지도 새로 만들고 Cell stock 새로 풀어서 하는데도 계속 발견되고 HepG2 말고 다른 cell도 가끔 culture하는데 400배로 확인하면 계속 보입니다. 이게 컨타된게 맞을까요?? 움직임 보면 살아있는 것 처럼 보이는데 P/S 2%까지 올려도 컨트롤이 안되네요 컨타가 맞다면 정체가 뭘까요..
회원작성글 gongbaek  |  01.04
Q. mpnst cell line 관련 질문_snf02.2 등
혹시 MPNST(Malignant Peripheral Nerve Sheath Tumor, 악성 말초신경초종) 세포 라인을 키워보신 분이 계신가요   이번에  키우게 된 세포라인인데 neuro cancer 라인쪽은 처음이라 세포에 대해 아는게 없어서 그런건지 세포 자라는 속도가 다른 cancer cell  보다 느리고 세포의 크기가 크고 느린데, cell sheet를 보고 맞춰 seeding을 해도 느린게 원래 이 세포가 적응기간이 느린건지 아니면, 세포에 이상이 생긴건지 확신이 서지 않아서  조언을 듣고자 글을 남깁니다.
회원작성글 달문  |  01.04
Q. HepG2 cell contamination 질문 드립니다. 첨부파일
안녕하세요! 이번에 처음 세포 배양에 입문한 대학원생입니다. 한국세포주은행에서 HepG2 동결 세포주를 분양받아 저번주에 thawing하였고 계대 배양을 위해서 계속해서 지켜보고 있는데 어느 순간부터 컨템인지...큰 뭔가가 현미경에 자꾸 걸리네요 ㅜㅜ   사실 첫 thawing이기도 하고, 인터넷 자료들에 따르면.. HepG2는 confluence에 따라 자라는 속도가 다르다고 하는데 저는 90파이 petri dish에 처음부터 세포를 풀어버려서.. 너무 넓은 dish에 cell을 푼게 문젠가 싶기도 해서 T25 flask로 다시 주문하긴 했습니다.ㅎㅎ.. 그래서 본론인 사진을 첨부하자면.. 왼쪽 사진이 제가 컨템으로 의심하고 있는 site이고 왼쪽은 같은 시간에 찍은 세포 사진입니다.. 컨템일까요?  그리고 hepG2 세포 컬쳐하시는 분들은 cell 풀고나서의 계대 배양 시간이 어떻게 되시는지도 궁금합니다!   (참고로 배양액 조성은 DMEM+ 10% FBS (HI) +1% P/S로 만들었습니다. 세포 washing시에는 1x DPBS 사용하고요.
회원작성글 cheer up c..  |  01.04
Q. Hepg2 oil red o 염색 후 정량
안녕하세요. 이번에 Hepg2에 lipid concentrate 하루 처리 후 oil red o로 염색하고 정량 하기위해 100% isopropanol을 30분 처리하였는데 cell의 절반정도가 oil red o가 염색된 상태 그대로 였습니다. 이것때문에 정량값이 다르게 나오는데 전부다 깨끗하게 뽑아낼수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oil red o는 solution을 사용하여 진행하였습니다.
회원작성글 가오리우동  |  01.03
Q. 안녕난세포야님
안녕하세요. 근육세포로 근위축 실험을 하는 대학원생입니다. 지난번 제 답변에 댓글을 달아주셨었는데, 제 답변을 아직 못보신 것 같아 이렇게 글을 적게 되었네요. 지난번 질문입니다. dexamethasone으로 근위축 유도를 하고 있습니다. qpcr 결과를 보면 normal과 dexmethasone을 treat 한 경우를 비교해보았을때,  근분화인자인 myogenine을 측정해보면 dexamethasone을 treat한 경우가 항상 높게 나옵니다. 현재 분화는 7일 동안 하고 있고, 6일차에 DEX를 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한 궁금증이 해결되지 못한 상태인데, 관련 reference 를 많이 찾기 어렵네요.. 혹시 도움을 주실 수 있다면, 관련 레퍼런스나 설명 부탁드려도 될지 여쭙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회원작성글 똑똑해지자  |  01.02
Q. b16f10 세포 in vivo 실험
C57BL/6 마우스에 B16F10 세포를 주입해서 암을 키우려고 합니다. 혹시 지금 저희가 가지고 있는 세포들은 더이상 멜라닌 색소를 만들지 않아서 센트리를 내렸을 때 검은빛이 아닌 흰색? 아이보리 색을 띄는데 이 셀을 바로  암 조직으로 성장시켜도 괜찮나요? 실험은 PDT로 진행할 예정입니다. (더불어 in vitro PDT 실험에도 사용해도 될까요?)
회원작성글 nanobihe  |  01.02
Q. 돼지 귀 섬유아세포(pEF cell) 디쉬에 불투명한 하얀색이 보입니다..ㅠㅠ
안녕하세요.   돼지 귀 섬유아세포에 hTERT 유전자를 넣어 불멸화시키고 있습니다.   어제 액체질소에 동결시켜놨던 cell을 thaw 한 뒤 오늘 media를 갈아주려고 보니 dish에 다음과 같은 불투명한 흰색의 무언가가 보입니다ㅠㅠ 오전에 thaw 한 후 오후에 봤을 때는 이상없었습니다.    선생님들 이게 무엇인지 알 수 있을까요? 육안 상으로는 파랗게 동그라미 친 부분이고, 현미경 사진입니다.
회원작성글 notorious..  |  2022.12.30
Q. Cancer cell/PBMC cell co-culture 관련 질문있습니다.
PD-L1 siRNA 전달을 위한 전달체를 제작하고 siRNA을 encapsulation 시켰습니다. PD-L1이 knockdown된 cancer cell이 T cell에 의해 얼마나 viability가 감소하는지 보고싶어서 cancer cell과 PBMC를 함께 co-culture하고 여기에 약물을 처리한 뒤 cck-8 assay를 진행하고 싶은데요.. 일부 면역세포는 suspension 형태이기 때문에 washing 과정에서 제거할 수 있는데, 일부 plate에 붙어 자라는 세포의 경우 cancer cell cck에 영향을 줄 것 같은 생각이 드는데요.. 약물 처리시 면역세포에 의한 cancer cell의 viability를 test할 때 어떤 방법으로 진행하는게 맞을까요..? 논문을 찾아봐도 in-vitro 상 실험데이터는 찾기가 힘드네요ㅠ
회원작성글 덜덜루밍  |  2022.12.30
Q. cell culture 시 Fetal 사용 이유..?
안녕하세요.    다름이 아니라 세포배양 중 급 궁금한것이 있어서 질문을 올리게 되었습니다.   세포배양시 FBS 또는 이외의 serum들을 사용하는데  꼭 태아 또는 우아 등등 어린개채들의 serum을 사용하는 이유가 있을까요?  통상적으로 사용한다 호르몬 단백질 이런 얘기들은 나오는데 성체의 serum의 경우 태아보다 단백질, 호르몬 양이 상대적으로 낮아서 그럴까요?  혹시 근본적으로 사용하는 원인이 어떠한것인지 아시는분 계실까 싶어서 질문을 올립니다.  미리 감사합니다 (꾸벅)
회원작성글 매콤한당근  |  2022.12.28
Q. cell stock 보관 관련 질문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번에 HepG2 cell stock을 만드려고 하는데 저희 실험실에 액체질소 통은 있는데 액체질소가 없습니다. 여태까지는 그냥 isopropanol 넣은 cryotube에 보관해놨다가 하루 뒤에 deep freezer에 보관하는 식으로 했다고 합니다. 그런데 여태까지 그렇게 보관한 cell 들은 Hela, HEK cell 이고 워낙 튼튼한 애들인데다가 구하기도 쉬운(?) 애들이라서 괜찮았던 것 같은데, 이번에 제가 stock을 만드려는 HepG2 cell은 처음으로 stock을 만드는거고 얘가 잘 자라지도 않고(doubling time 48시간이상) 그래서.. 얘도 그냥 deep freezer에만 보관해도 되는지 궁금합니다...  액체질소로 옮겨서 보관하는게 일반적이고 더 좋은 방법이라는 것을 알고있지만 그럼 액체질소를 사야하는 상황이라서, 꼭 액체질소로 옮겨야 할까요? deep freezer에만 보관해도 될까요? 만약 그래도 된다면 최대 몇개월까지 보관 가능할까요? 
회원작성글 쥐팤  |  2022.12.28
Q. CO2 incubator 물
세포배양용 CO2 incubator에 원래 초순수를 autoclave한 다음에 넣어줬는데 갑자기 초순수제조장치가 고장났습니다.. 에어가 많이 차 있는 초순수를 만드는 장치는 있는데 incubator에 초순수 넣을 때 탈기 시켜줘야 할까요?? 아니면 그냥 고압멸균해서 넣어도 될까요..?
회원작성글 젤리빔  |  2022.12.28
Q. Melanin contents Assay 관련 질문
안녕하세요. 석사과정에 있는 실험 초보입니다.    B16F10 Melanoma Cell 을 가지고  Melanin Contents Assay를 진행중에 있습니다.    1. 실험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2. 실험 결과는 아래와 같습니다.   질문드리고싶은 부분은 3일차 Melanin contents assay에서  Pellet Lysis 입니다.  : 1N NaOH(10% DMSO v/v) 로 70℃오븐에서 2시간 이상 Pellet을 Lysis를 하고 Centrifuge 15000rpm, 10min 후 상등액을 96well로 옮긴다.    이 과정에서 상등액에 겔같은 성상이 떠다녀 그것이 96well로 옮겨담아 흡광도 측정할 때 수치가 지나치게 높게 측정됩니다.  Centrifuge를 더 오래 돌려도 가라앉지 않고, Lysis 시간을 조금 더 오래 해보아도 녹질 않았습니다.    상등액에 녹지않고 존재하는 겔이 무엇이고, 이러한 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어떻게 해야하는지 질문드립니다. 
회원작성글 iglee  |  2022.12.27
Q. FACS MFI 계산
안녕하세요! FACS 데이터를 정리하는데 반복 실험의 median 값들로 평균을 내서 MFI 값을 계산하는지 궁금합니다. Graphpad prism이나 excel로 구할 수 있는 것인지..  도와주세요ㅜㅜ..   
회원작성글 댕댕박사  |  2022.12.26
Q. 균주 생산
Bacillus stearothermophilus와 Bacillus atrophaeus 균주를 Spore로 만들어 실험에 사용하고 있습니다. 근데 contamination때문에 포자생산에 어려움이 생깁니다. 혹시 회원님들 중에 미생물 배양하여 주는 업체나 단체가 있으시면 알려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회원작성글 stanley  |  2022.12.26
Q. 겨울에 cell culture 분양받을 때
cell culture 상태로 세포은행에서 분양받아올 예정입니다 날이 많이 추운데... 그냥 flask만 들고오면 날이 추워 세포에 안 좋을 것 같습니다 스티로폼을 챙겨가 그 안에 담아오면 어느 정도 추위로부터 보호가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요즘 날씨에 cell culture로 T flask에 받아오려면 어떻게 해야할지 조언 부탁드립니다
회원작성글 차몬드  |  2022.12.20
이전  01 02 03 04 05 6 07 08 09 10  다음
실험 회원 등급이란?
실험Q&A 회원등급안내
위로가기
실험 홈  |  실험FAQ
 |  BRIC소개  |  이용안내  |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이메일무단수집거부
Copyright © BRIC. All rights reserved.  |  문의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유튜브 유튜브    RSS서비스 RSS
엘앤씨바이오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