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Q. |
confocal시 fam 관찰 |
|
|
안녕하세요
5'-6-FAM(fluorescein amidite)가 결합된 antisense oligonucleotides를 mouse injection하고 target organ을 whole mount dissection으로 slide 제작하고 target cell에 antisense oligonucleotides가 들어갔는지 confocal로 확인하는 실험을 하고있습니다
염색은 DAPI, Phalloidin(actin염색, alexa fluro 647)로하고 dapi, 647, fam 채널로 찍고있습니다
문제는 injection시행하지않은 control slide에서도 fam signal이 상당히 나와서 실험군의 signal이 신뢰할만한 것인지 의문이 듭니다
control slide의 형광이 보이지않을 정도의 confocal setting에서 실험군 촬영하는 것 외에 혹시 다른 방법이 있을지요?
아니면 FAM에대한 antibody를 써보신 분이 있으신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
|
tkdnsel | 08.09 |
|
Q. |
고등학생 실험 질문드립니다. |
|
|
시중에서 구입한 유산균 분말의 효능을 알아보고자 디스크 확산법에 활용하기 위해 배양액으로 만들려 합니다.
실험이 먼저 유산균 분말을 생리식염수에 희석하고 mrs 고체 배지에 도말해서 배양시킨 후,
다시 균을 따서 액체 배지에 배양시키고 원심분리 후 상등액만 사용하려는데 방법이 옳은가요? (원심분리는 불필요한가요..?)
고등학생으로서 조사하면서 배우고 있어 꼭 도움 부탁드립니다.틀린 부분이 있으면 집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ㅠㅠ
|
|
생과공부 | 08.09 |
|
Q. |
10% TCA 용액 |
|
|
10% TCA 용액을 제조하는데 sonicator 처리해도 tca 가루가 잘 안녹아요
별도로 tca 가루 녹이는 방법이 따로 있나요?
증류수에 가루 넣어서 녹이는데 잘 안녹네요
|
|
나나낭연 | 08.09 |
|
Q. |
미생물 DNA 추출 Washing buffer1, 2 |
|
|
안녕하세요, 고등학교에서 미생물의 DNA를 추출하는 실험을 진행하고자 해서 관련 자료들을 찾아보았는데, 실험에 쓰이는 Washing buffer 1, 2에 대한 정보를 찾을 수가 없어서 이를 알고 싶어 질문드립니다. |
|
고교생 | 08.09 |
|
Q. |
pET21b midi prep |
|
|
pET21b를 실험실에서 사용하고 있는데요
pET21b를 DH5a에 transformation해서 mini prep을 하면 yield가 높게 나오는데 scale을 키워서 culture한 뒤 midi prep을 하면 아이에 없다 시피 농도가 나옵니다.
다른 사람이 해도 그래서 전 연구자 실험 노트를 봐도 midi prep을 진행해본 사람이 없더라구요
답답해서 질문 남깁니다.
pET21b vector는 원래 이런건지 알고 싶습니다. 다른분도 이러신가해서요 ..ㅜㅜ
|
|
dreamjw021.. | 08.09 |
|
Q. |
qrt-pcr 96well plate 사용법에 궁금한게 있습니다 |
|
|
qrt-pcr 할때 Plate를 8개의 튜브가 한줄로 연결되어있는 튜브를 사용하였었는데 실험실에 이제 튜브를 거의 다 써가고 예전 선배님들이 쓰시던 plate가 많이 남아있어서 사용하려고 하는데 의문이 있습니다.
96well pcr plate로 모두 분주후에 sealing film을 붙이는데요.
원래 사용하던 튜브로 할때는 rt-pcr 돌리기전에 centrifuge로 spin down을 시켜주는데 96well plate는 어떻게 spin down을 시켜줘야하나요?
도와주세요ㅜㅜ
|
|
oneday | 08.09 |
|
Q. |
lentiV2클로닝중인데 transformation이 안됩니다ㅠ |
|
|
comp cell은 DH5a를 사용중이고, vector는 lentiV2를 이용중입니다
제가 primer 20bp크기를 insert하려는데 콜로니가 안떠서 고수님들께 자문구합니다.
DH5a는 RBC에서 구매해서 사용중이라 문제는 없는것같습니다.
BsmB1으로 자르고 gel extraction 후 밴드 잘린거 확인했습니다.
comp cell 20ul에 plasmid 1.7ul넣고
transformation은
ice 20 min
42도에서 heat 45 sec
ice 20 min
뒤에, S.O.C 50ul 넣고 37도 shake incubator에 1시간 배양 후
lb+amp plate에 모두 spread합니다
콜로니가 아예뜨지 않는데 어떤 단계를 확인하거나 바꿔야 할까요
vector도 바꿔보고 glass beads로 non-heat 으로도 해보고, ligation 단계에서 ATP도 넣어봤는데 콜로니가 안뜨네요ㅠㅠ
도움 부탁드립니다.ㅠ
|
|
hihalo | 08.09 |
|
Q. |
Western Bolt 항체 희석 |
|
|
Western Bolt 실험 하는데
1차 항체랑 2차 항체 희석해야하는데,
1차 항체는 베타액틴으로 1:1000
2차 항체는 1:5000 으로 희석하라는데
몇으로 넣고 희석해야하는지 계산법 과 같이 알려주세용 ... 몇대 몇으로 희석하라는 방법만 봐도 머리가 너무 복잡해요 ㅠ ㅠ
|
|
와라랄랄 | 08.09 |
|
Q. |
근피로 시 휴지기 변화가 나타나나요? |
|
|
근육이 피로해짐에 따라 근육세포의 재분극 과정이 지연돼서 휴지기가 길어진다는 정도로만 간단하게 알고 있었는데, 논문마다 sp가 증가한다는 것도 있고 변화가 없다고 하는 논문도 있길래 정확히 어떻게 되는지 궁금해서 질문 남깁니다. |
|
크레아 | 08.09 |
|
Q. |
CRISPR/Cas12a 반응을 위한 시약 조성비에 관한 질문입니다.  |
|
|
한 논문에서 본 실험의 시약 조성비입니다
해당 논문에선 200nM Lba Cas12a, 1uM crRNA, NEBuffer 2.5 ul, 20U RRI, RPA product9(dsDNA) 2ul, 800 nM fluorophore quencher labeled ssDNA probe로 reaction volume은 25 ul 이라고 하였습니다.
실험 초보여서 이렇게 쓰여있어 어떻게 넣어야 할 지 의문입니다.
동일한 Lba Cas12a을 찾아보니 stock의 concentration이 1uM인데 그렇다면 Lba Cas12a를 5ul 넣어 200nM 을 넣으면 되는 것 인가요? total volume은 25 ul 이기에 1/5인 5ul를 넣어서요.
RRI의 양과 논문과 같은 Probe를 사용한다면 고정적인 수치일것이고
그렇다면 만약 다른 crRNA를 사용하고자 한다면 그 crRNA의 농도에 따라 reaction volume 도 달라지는 것 아닌가요?
사진은 논문 원문입니다.
감사합니다.
|
|
자가격리 | 08.09 |
|
|
Q. |
RNA Isolation 하고 nano drop을 찍으면 항상 농도가 적게나와요 |
|
|
안녕하세요!
현재 RT-PCR을 배우고 있는 학생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RNA를 추출하고, Nano drop을 찍으면 항상 Nucleic acid conc가 적게 나와서 고민입니다..
평균적으로 50ng/ul이 나오는 것 같은데 혹시 이런 상황일 때 RNA 추출에서 주의해야할 점이 있을까요?
프로토콜 그대로 하고있다고 생각하는데 항상 이 값이 적게나와 다음 cDNA 합성 단계를 진행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ㅜㅜ.. 마지막 단계에서 원심분리를 하면 펠렛이 Ep tube에 확실히 보이긴 하는데 나노드롭만 찍으면 값이 낮게 나오더라구요
Trizol에서 세포를 강하게 피펫팅 하는 과정에서 기포가 많이 생겨서 그런건지 아니면 Trizol에서 너무 오래 처리를 해서 그러는지 ㅜㅜ 혹시 조언좀 구할 수 있을까요?
|
|
공공펄 | 08.09 |
|
|
Q. |
실험실에서 바이오시밀러 구매 가능한가요?? |
|
|
안녕하세요,
면역관련 테마로 실험을 하고 있는데,
가설을 세우기 위해서 TNF알파 저해제 약물들을 써봐야할 것 같은데
찾아보니까 해당 약물들이 전부 항체 혹은 바이오시밀러입니다.
뭐 일반적인 파우더나 타블렛에 쓰이는 약물들이야
시그마나 Cayman chemical 등에서 구매해봤는데
바이오시밀러같은건 한번도 주문해본 적이 없는데
보통 어떻게 다들 주문하시나요?
약에 대해 조금 더 찾아보니 전문의약품이라
쉽게 구할 수 있을 것 같진않은데..
필요한 서류등이 있나요?
|
|
토라 | 08.09 |
|
Q. |
cell culture시 cell 쏠림 |
|
|
안녕하세요 cell culture를 하는데 매번 cell이 한 쪽으로 쏠리는 경향이 자꾸 생기네요..
이걸 differentiation 해도 되는건지 싶습니다.
한쪽은 60% 정도인데 한 쪽은 80~90% 정도 되어보이고.. 그냥 기다려야할지 고민이네요..
|
|
별헤는밥 | 08.09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