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Q. |
ELISA RD1W |
|
|
안녕하세요! ELISA 질문드립니다!!ㅠㅠ 도와주세요
제가 R&D사의 human eotaxin ELISA kit를 사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는데요!
아에 모든 sample의 흡광도 수치가 blank만큼 바닥을 찍어서요,,,,
프로토콜에는 Assay diluent RD1W를 100ul를 넣고 sample과 STD를 50ul 넣으라고 되어있어서 그대로 진행을 했습니다!
혹시 RD1W없이 SAMPLE만 150ul 넣은 후 실험을 진행해도 괜찮을지 질문드립니다ㅠㅠㅠㅠ
|
|
sjsj3636 | 2022.09.27 |
|
Q. |
마우스 단백뇨 측정 |
|
|
마우스 단백뇨를 측정하려고 하는데 BCA측정법으로 측정이 될까요?? 대부분 어떻게 측정하시나요..?
|
|
짱짱 | 2022.09.26 |
|
Q. |
FACS antibody 질문 드립니다. |
|
|
안녕하세요
CXCR4 expression 을 확인하기 위해 FACS를 진행하려고 합니다.
target cell line 은 mouse cell line 이고
1차 ab는 CXCR4 Polyclonal Antibody host:Rabbit / isotype: IgG
human,mouse,rat
2차 ab는 F(ab')2-Goat anti-Mouse IgG (H+L) Secondary Antibody, PE, eBioscience™
이렇게 사용하면 되나요?
negative ctrl 은 2차 ab만 붙이면 될까요?
|
|
민토링 | 2022.09.26 |
|
Q. |
IHC 조직 두께 관련 |
|
|
안녕하세요!
MOUSE brain 을 30~40um 두께로 cryosection 하여 형광 염색을 할 예정입니다.
free floating 기법으로 염색을 할 예정이며 confocal로 사진 찍을 예정인데, 30~40um 두께로 잘라도 confocal에서 초점이 잘 잡히고 사진이 잘 찍히는지 궁금합니다.
|
|
졸려요 | 2022.09.22 |
|
Q. |
코로나 항원 항체(급해요!!)  |
|
|
코로나 항체검사 실험을 해보려고 하는데요
코로나 바이러스 항체와 환자의 항원이 필요한데
인터넷에서 구매하는 법 없나요??
코로나항원검사키트 그거 말구욘,,,,
lgG lgM 항체 구하는법이랑
탐지시약 (enzyme-linked SARS-CoV-2 Antigen) 구하는법
아는분 있으면 답변 부탁드립니다
진짜 급해서요ㅠㅜㅠㅜㅠㅜ |
|
leeseo | 2022.09.21 |
|
Q. |
세균 ELISA vs 응집가(Agglutination titer test) 반응 차이가 뭘까요?? ㅠㅠㅠ |
|
|
저는 A, B 두가지 세균을 포르말린으로 불활화 시켜 항원으로 이용했고 측정할 혈청을 56도 30분 보체처리를 하고 in-direct ELISA와 응집가를 측정했습니다.
ELISA 결과에서
A균은 OD가 B균 보다 높게 측정되었는데 응집가 결과에서는 B균 보다 낮게 측정되었구요...
B균의 경우 ELISA 결과에서 OD가 A균 보다 낮게 나왔는데 응집가 결과에서는 A균 보다 높게 측정되었어요...
이게 이렇게도 나올 수가 있나요??
응집가 측정은 불활화 시킨 FKC와 혈청을 2배씩 희석해서 오버나잇 했습니다.
2반복 실험했구요.. ELISA 검사와 응집가 측정 차이가 있는지? 무슨 이유때문에 이러한 결과 나올 수 있는지? 너무너무 궁금합니다. 레퍼런스 논문 알려주실 수 있으면 도움 좀 너무 부탁드립니다.
졸업하고 싶습니다...ㅠㅠㅠㅠ
|
|
토끼항체 | 2022.09.10 |
|
Q. |
DC Maturation 후 FACS |
|
|
안녕하세요
현재 BMDC maturation 실험 준비중인 학부연구생입니다.
cell을 키운 후에 LPS 처리하여 FACS를 찍어보려고 하는데
compensation 이 무엇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positive와 negative를 걸어서 일종의 기준점?을 만드는 것 같은데 맞나요? plate design 시에 comp.well은 어떻게 design 해야하는건가요?실험군 수대로 맞추는건가요 아니면 처리하는 형광 수대로 design하는건가요?
참고로 형광은 PE와 PE-cy7을 사용합니다
아직 학부생이라 많이 부족합니다. 열심히 찾아보고 공부하는데도 잘 모르겠어서 질문올려요 도와주세요ㅠ
|
|
호구마 | 2022.09.08 |
|
Q. |
mouse liver H&E staining 관련 질문 |
|
|
간질환 유도 모델 mouse의 간에서 염증반응, 지방증, 섬유화 등등을 확인하고자 합니다.
1. 우선 H&E Staining을 하려고 하는데 간질환 유도 모델 mouse의 간 left lobe에서 CV와 Portal triad가 보이도록 cutting한 단면을 보면 될까요?
2. left lobe가 아닌 다른 lobe에서 확인해야할까요?
처음 하는 실험인데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ㅜㅜㅜㅜㅜ
|
|
슈퍼면역자 | 2022.09.07 |
|
Q. |
NF-κB knockout mouse를 사용하시는 국내 연구팀을 찾습니다 |
|
|
안녕하세요 NF-κB관련 연구를 이제 막 시작한 석사과정 학생입니다.
NF-κB의 subunit인 p65(RelA)-/- 또는 p50 -/- mouse를 보유하고 계신 연구팀이 계신지요?
저널을 검색해서 백방으로 찾아보고 있는데 여의치 않아 이 곳에 도움 요청드려봅니다.
혹시 계시다면 덧글 부탁드리겠습니다.
즐거운 주말 보내세요 감사합니다~!
|
|
크리스12 | 2022.09.02 |
|
Q. |
anti tumor immunity( cytotoxic T cell 기능) 을 볼 때 주로 어떻게 보시는지 궁금합니다. |
|
|
안녕하세요, 석사 2학기차에 접어든 대학원생입니다.
저는 Anti tumor immunity 관련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아직 search 능력이 많이 부족하여 실험 계획을 짤 때 어려움이 많은데요, 보통 anti tumor immunity 를 볼 때 , 어떤 marker 나 실험을 이용하는지 아직까지 감이 잘 잡히지 않습니다.
제가 찾아본 바로는 tumor cell killing 과 관련된 cytokine(IFN-gamma, Granzyme B등,,) secreation을 FACS 혹은 ELISA 로 확인하거나, Chromium-51 release assay(해당 실험은 상당히 오래전 방법인 것으로 보이긴 합니다..) 정도가 있습니다.
혹시 앞의 방법들 외에, Anti tumor immunity 를 확인할 때 많이 사용하는 방법론이 있을까요?
그리고 어떤 식으로 reference를 search 하는 것이 좋을지도 조언해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선생님들의 많은 의견 부탁드립니다.
|
|
cp2c | 2022.08.31 |
|
Q. |
antibody 용량 표기 중 test 의미 |
|
|
여러 antibody를 구매하다 보니 제품의 용량을 표기할 때 대부분의 경우 ug 등 질량 단위로 판매 하는 것 같은데 가끔 tests라는 단위로 판매한는 경우가 있더라구요. 혹시 이게 무엇을 의미하는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
HzAm | 2022.08.30 |
|
Q. |
LLNA 투여 부위 |
|
|
LLNA관하여 질문드립니다.
시험원리는 여러가지로 공부하게되어 많이 알게 되었는데,
투여부위가 왜 귀에 투여하는지 궁금합니다.
림프구야 몸에 다른곳에도 있으며, 다른부위에 해도 상관없다고 판단되는데 제가 놓치고 있는 부분이 있다면 말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
아이고코야 | 2022.08.22 |
|
Q. |
ELISA standard |
|
|
ELISA stanard
R^2 값은 0.99 나오는데 식이 저렇게 나오는 것도 가능한건가요?!
|
|
minchodan | 2022.08.21 |
|
Q. |
ELISA calculation of results - 흡광도 관련 질문 |
|
|
안녕하세요! 현재 석사 진행 중인 학생입니다. 늘 어려움이 있을 때마다 브릭에서 많은 도움 얻고 있습니다. 다름이 아니라 현재 ELISA Kit를 이용하여 원하는 Protein의 Concentration을 측정하려고 하고 있는데 실험 진행에는 문제가 없으나 결과 계산에 대해 이해가 되지 않아 질문 드리게 되었습니다.
현재 제가 사용하고 있는 KIT의 Result 분석 부분을 살펴보면, 위와 같이 언급되어 있습니다. 또 실험 과정에서는 570nm에서 읽은 값을 450nm에서 빼줘야 정확한 값을 측정할 수 있다고 언급되어 있습니다.
그렇다면 값을 빼준다는 것이 OD값을 측정하게 되면 나오는 수치를 단순하게 뺄셈하여 생성된 식에 넣으면 된다는 의미인지 궁금해서 여쭤보려고 합니다.
감사합니다.
|
|
audthdus98 | 2022.08.21 |
|
|
Q. |
고수님들 ELISA 실험 도와주세요! |
|
|
Thermofisher ELISA kit로 진행하는데요.
프로토콜대로 standard를 만들어서 흡광을 찍었는데,
OD 값이 0.9~0.95 정도 나오는게 맞다는데 ,,
동일한 실험 3번 진행했는데도 0.45~0.5 나오네요.
standard를 DW에 10~30min 정도 희석하라는데,, 보통 10분 정도 희석했는데,,
희석이 잘 안되고, 잘 안 섞인 건지,,,,,
이럴 경우엔 보통 뭐가 문제일까요?
|
|
minchodan | 2022.08.16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