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Q. |
buffer의 역할 |
|
|
엽록체 분리 실험에서 grinding buffer가 사용이 됩니다.
그 성분에는 sorbitol, sodium pyrophosphate, mgcl2 ascorbic acid 가 있는데 이 성분이 어떻게 엽록체 파쇄에 도움을 주는지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buffer라는 건 ph를 일정하게 유지시켜주는 건데 grinding buffer은 이러한 ph 유지 역할이랑은 관련이 없어 보이는데 왜 buffer라고 하는 건가요
관련 자료라도 올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ㅜㅜ
|
|
곧3 | 08.10 |
|
Q. |
안녕하세요 암세포 배양하는 실험실 계신 분들 혹시 회사에서 요청하는 실험 해주시기도 하나요? |
|
|
안녕하세요
암세포 관련하여 의료기기 만드는 회사에 있습니다.
암세포 배양해서 저희 제품에 노출시킨 후 암세포 얼마나 사멸되는지 실험해보고자 합니다.
혹시 계시는 연구실에서 회사의 요청을 받아서도 실험 진행하는지 궁금합니다.
폐암세포 생각하고 있고 어렵다면 다른 암세포도 상관 없습니다.
제품은 저희쪽에서 제공하므로 배양하고 사멸한 정도만 측정해주시면 됩니다.
가능한 연구실 있을까요?
|
|
shooin33 | 08.10 |
|
Q. |
Free - Calcuim buffer의 조성이 정해져 있는 건가요? |
|
|
안녕하세요 유산균의 CEP 관련 탐구를 진행하고자 하는 학생입니다.
여러 선행 논문을 찾아보는 중 제목에서 처럼
Free - Calcuim buffer에 배양함으로써~라는 문구가 나오는데
이 Free - Calcuim buffer가 뭔지 모르겠습니다...!
단순히 칼슘이 없는 버퍼인건지 아니면 특별한 조성이 있는건지 의문이 생겨 글 남깁니다.
감사합니다!
|
|
choish1210 | 08.10 |
|
Q. |
protein extraction |
|
|
cell을 harvest 하고 western을 진행하기 위해 protein extraction을 기계로 결과값을 내는데요. protein 농도가 마이너스가 나오는 경우는 왜 그런건가요ㅜㅜ?
lysis buffer는 늘 같은 걸로 이용을 해왔는데 언제는 값이 잘 나오다가 언제는 마이너스 나오고 참 들쑥날쑥 한데 이 원인이 왜 인지 혹시 저같은 경험 해보신 분 계신가요 ㅜㅜㅜ?
cell lysis가 충분히 되지 않은 것 같은 경우도 생각해서 충분히 lysis 한 후 4도씨에서 rotation 하고 15000rpm, 15min centri 진행 하고 protein assay 용액 500ul에 protein 2ul 넣고 96 well에 200ul씩 2번 분주 하는데요
마이너스 값이 나오는데 왜 그러는 건가요ㅜㅜㅜ
|
|
열두시삼십분 | 08.10 |
|
Q. |
항생제 디스크와 항생제 감수성 디스크 관련 실험에 대해 질문 있습니다. |
|
|
안녕하세요. 대학 진학을 앞둔 3학년입니다. 마지막 동아리 실험 보고서를 작성 기획중입니다 . 현재 곰팡이와 미생물을 한천 배지에 배양하고 그 위에 항생제 디스크를 올려서 4종의 항생제 중 어느 것이 효과적인지 지름의 길이를 통해 구하는 실험과 항생제 감수성 디스크에 포비든 요오드 용액과 소독용 알콜, 과산화수소수를 농도에 따라 다르게 3종으로 나눠서 소독제의 원리에ㅡ대해서 배운 내용을 적용하여 용액의 농도에 따른 효과를 비교해보는 추가적인 실험을 하려고 합니다.
이때 이러한 디스크들을 얼마나 올려놓아야할까요? 시간 제약이 있는 지라 지속적인 관찰이 불가능하여서 이렇게 질문 드립니다.
관련된 내용을 아셔서 답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
규탱이라규 | 08.10 |
|
Q. |
농도 희석 계산ㅠㅠ |
|
|
안녕하세요.
계산에 약한 학생입니다. 도와주세요ㅠㅠ
1. Ethylene Oxide 용액(순도 5%, 95%는 메탄올)으로 50ppm, 500ppm으로 희석할려면 어떻게 계산하는 걸까요? (추가해야 하는 메탄올 양은?)
2. Ethylene glycol 용액(순도 99.5%, 0.5%는 물)으로 50ppm, 500ppm으로 희석할려면 어떻게 계산하는 걸까요? (추가해야 하는 물의 양은?)
공식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ㅠㅠ
|
|
경자인 | 08.10 |
|
Q. |
젖당 오페론 실험 배지 조성 |
|
|
기본 lb broth
포도당 넣은 lb broth
젖당 넣은 lb broth
이렇게 세가지 배지에서 키운 대장균을 분광광도계로 생장곡선을 비교해볼 생각인데 기본 배지 조성을 1L의 LB medium 기준으로 10g의 트립톤과 5g의 효모 추출물, 10g의 NaCl 라고하면 포도당과 젖당은 어느정도 첨가해야 적절할까요?
|
|
luxxuria | 08.10 |
|
Q. |
Restriction 후 concentration |
|
|
bacteria DNA work를 하고 있습니다
Restriction 후 concentration이 낮아 vacuum centrifuge로 농축시키는데
농축전 gel에서는 밴드가 연하게보이고, 농축후에는 밴드가 보이지않는데
제가질문드리고 싶은것은
1. 이것은 centrifuge에 무슨문제가있는걸까요?
2. Restriction 후 concentration을 높일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입니다
답변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
DS.K | 08.10 |
|
Q. |
transfection을 통한 integration |
|
|
안녕하세요,
현재 cell line 제작 중에 있습니다.
virus를 이용해 transduction 시키려고 하는데요,
저희 교수님은 transfection을 이용해 integration 시키지 왜 virus를 만드냐는 말씀을 자주 하셔서요.
1. transfection을 통해서도 integration이 되는지
2. 된다면 virus을 이용할 때와의 차이점은 효율 뿐인지
3. 효율 차이가 많은지
에 대해 질문 올립니다.
|
|
science_ | 08.10 |
|
Q. |
Bioinformatics |
|
|
안녕하세요, 고수님들 질문이 있습니다.
제가 CCLE data base에서 protein expression을 보고자 합니다.
그런데 발현들이 cell line별로 나와있는데,
궁금한 것은 이 protein expression은 어떤 기준으로 발현을
표현한 것인지 궁금합니다.
예를 들어 우리가 WB을 하면 actin과 비교하여 발현을 나타내고
그를 토대로 다른 cell line과 비교하여 발현을 나타내는데
이 data base는 어떤 기준인지 궁금합니다.
아시는 분 계신가요,,?
|
|
나다니95 | 08.10 |
|
Q. |
western blot SDS gel |
|
|
안녕하세요.
western blot을 하는 석사생입니다.
gel을 만들어서 사용하고 있는데 running gel과 stacking gel 사이에서 버블이 만들어집니다.
comb를 뽑으면서 젤 사이가 벌어지곤 하는데 왜이런 현상이 나타나는건지 알 수 있을까요?
두 젤은 충분히 굳고나서 사용하며, running젤 먼저 분주 후 isopropanol로 수평을 맞추고 난 뒤에 gel이 굳으면 isopropanol을 제거합니다. 그 뒤에 증류수로 한번 더 wash하구요,,
비슷한 경험 있으신분이 계시다면 조언 부탁드립니다.
|
|
rlaeheod | 08.10 |
|
Q. |
발효 커피 카페인 추출 실험 질문 |
|
|
안녕하세요. 발효 커피에서 카페인을 추출하는 실험하고 있는 고등학생입니다.
생두를 발효한 후 DCM을 이용해서 카페인을 추출했는데요, 발효한 생두와 발효하지 않은 생두를 비교했을 때 발효한 생두의 카페인 함량이 낮게 나오는 것이 이론적으로도 맞고 실험도 잘 진행이 되었는데 왜 발효를 하면 커피의 카페인 함량이 줄어드는지 모르겠습니다.
왜 발효 커피에서 카페인 함량이 낮게 나오는 것인가요??
친절한 답변 부탁드립니다ㅜㅜ
|
|
딩딩딩동 | 08.10 |
|
Q. |
ImageJ로 형광 정량하는 법이요 ㅠㅠ |
|
|
imageJ로 세포 형광 정량하려고 하는데,
저같은 경우는 colocalization을 한거라, 같은 위치에서의 두 형광 시그널을
받아 비율을 보려고 하는데, (red대비 blue의 형광을 보려고합니다)
Split channels->Threshold 설정-> Analyze particles를 사용하면 red와 blue의 point가 다릅니다.
저 위의 사진은 20x에서 찍은 셀을 제가 직접 누끼(?)딴건데 교수님께서는 정량하려면 최소 150 cell 직접 따거나 10x 5장으로 정량하라고 하십니다.
혹시 같은 위치에서 2가지 채널의 시그널을 정량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제가 일일히 따야하는걸까요? 도와주세요..
|
|
컬쳐룸도비 | 08.10 |
|
Q. |
starvation할때도 cell 증식하나요? |
|
|
brdu를 하려고 하는데 1*10^4cell/100ul로 시딩을 해주고 있습니다.
seeding 24시간 후에 starvation 24시간하고 treatment를 24시간을 하고 brdu를 합니다.
교수님께서 1*10^4cell/100ul로 시딩하면 실험하는 3일동안 너무 많이 증식하지 않을까 걱정하시더라구요.
근데 시딩 후 24시간후에 보면 20%정도 confluency 합니다.
starvation할때 medium에 1%의 penicillin streptomycin듣어가 있는 medium을 분주하고있습니다. treatment할때도 이 starvation medium에 처리하고 분주하고 있습니다.
FBS가 들어가지 않은채로 2일이상있는 건데 cell 증식 할 수 있나요?
아니면 seeding후에 cell이 60% confluency하면 starvation을 하는게 맞을까요?
|
|
oneday | 08.10 |
|
|
Q. |
WB 관련 |
|
|
안녕하세요 WB 고수님들께 의견을 묻고자 남깁니다.
최근 gel을 내리는 과정에서 가운데 있는 Marker가 보이는 것 (1번) 처럼 쓸려(? 이 표현이 맞는지...) 내려가는 듯하게 눈으로 보이고 그렇다 보니 transfer 해도 그대로 옮겨지고 실제 detection 을 해보면 2번 그림처럼 되더라구요. 왜 그러는지 혹시 아시는 고수님님 알려주세요. 그렇게다 모든 가운데 marker가 다 그런거 또 아니더라구요. 같은날 내린 gel 에서 다른 gel은 그렇게 안 되기도 해서...
1.
2.
|
|
학생 | 08.10 |
|
|
Q. |
DMSO로 녹여야 할 시료에 Triton X를 넣었습니다.. |
|
|
제목과 동일하게
형광 염료 파우더 형태에 DMSO로 녹여야 할 것을 Triton X-100을 넣어버렸습니다.
어떻게든 살려보겠다고 현재 동결건조를 해두었는데요, 다른 방법이 있을까요?
Triton X가 완전히 제거될 방법..
많은 조언 부탁드립니다. |
|
gracious | 08.09 |
|
Q. |
Temperature sensitive mutants |
|
|
Temperature sensitive mutant에 대해서 방법 하나를 봤는데요
이게 제가 제대로 이해한것이 맞는지 확인부탁드립니다 ㅜㅜ
우선 ts mutation되어있는 어떤 유전자를 넣고 그 세포를 permissive temperature에서 키우면 control과 같이 자라지만
non-permissive temperature 예를 들어 39'c에서 키우면 죽어 있는 부분을 확인해서 그 cell들을 따와서 사용하는건가요...?
|
|
브르르르릭 | 08.09 |
|
Q. |
실험 대행 업체가 궁금합니다. |
|
|
암세포에 어떤 특별한 장치 (의뢰한 회사에서 제공)를 설치하여 암세포의 사멸정도를 확인하려는 실험을 하고 싶은데 대행 또는 용역 업체가 있나요..?
|
|
shooin33 | 08.09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