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Q. |
IPS 세포 증식능 |
|
|
기초적인 질문이 될 수도 있지만,
분화 후의 IPS세포는 원래 증식능이 별로 없나요?
대부분의 판매되는 IPS유래 분화세포는 계대가 안된다고 적혀있는게
많은 것 같은데,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
bioconn | 08.04 |
|
Q. |
HeLa cell이 잘 자라지 않습니다.. |
|
|
저희 실험실에선 부착형 암세포를 주로 키우고 있습니다.
그러다가 이번에 새로 HeLa cell을 좋은 곳에서 받아왔습니다.
잘 가져와서 바로 풀었는데 이틀이 지나도 cell이 잘 붙지 않습니다...
media는 DMEM high glucose에 10% FBS, 1% P/S를 쓰고 있습니다.
질소에 얼려있던 것을 녹인건데 너무 많이 안 붙어서...
두개를 받아와 하나는 아예 안 붙어 다 버리고 마지막입니다ㅜㅜ
혹시 media가 안 맞는 것일까요?
다뤄보신 분의 조언이 필요합니다..
|
|
차몬드 | 08.03 |
|
Q. |
토착미생물 배양시 궁금합니다. |
|
|
토착미생물 배양시 밥이나 감자 콩이 들어가는데
이유가 당밀이나 전분을 대신하기 위한것 맞나요
|
|
리동이 | 08.02 |
|
Q. |
seeding 계산하는 법 좀 도와주세용 |
|
|
대학원 반학기차인데 cell seeding 계산하는 게 너무 어려워용 ...
만약에 cell counting 하였을 때 5.86x10^6 이라면 586x10^4 로 바꿔서 계산 하는 게 편하다고 하는데
필요한 cell 양이 5.0x10^4 이고 well 갯수는 10 이면
한 well 당 500ul 씩 넣어야한다면
cell 포함한 media 몇이랑 dmem 몇을 넣어야 할까용 ,,,
어렵네용 도와주세용 ㅠㅠ !!
|
|
와라랄랄 | 08.01 |
|
Q. |
Bcl-w |
|
|
안녕하세요, Bcl-family에 대해 연구하고 있는 학생 입니다.
ABT-263을 가지고 실험 중인데요
왜 Bcl-w는 사람들이 잘 연구하지 않을 까요,,?
Bcl-2 and Bcl-xL은 많이 알려져 있는데 그만큼 Bcl-w는 많이 없습니다.
특이점이 있나요,,? 혹시 anti-apoptotic에 대해 연구중인 분들 답변해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
|
나다니95 | 08.01 |
|
Q. |
계대 pellet 양 |
|
|
안녕하세요.!
궁금한게 있어서 글 올리는데요
cell 계대하는데, 모아서 센트리 1000에 돌렸는데 pellet이 적으면 이상한건가요??
cell을 깨끗히 다 떼내질 못해서 양이 적은건가요???
|
|
쵸뵤 | 08.01 |
|
Q. |
세포외 고분자물질 측정시 |
|
|
안녕하세요.
미세조류가 방출하는 EPS(extracellular Polymeric Substances)를 추출하여
탄수화물(페놀-황산법), 단백질 정량하여 측정하는 실험 진행중입니다.
여기서 측정된 탄수화물과 단백질이 미세조류 몸체를 구성하는 값이 아닌
세포외 고분자물질만의 값인지 어떻게 증명하나요?
그리고 EPS가 대부분이 탄수화물,단백질로 구성되어있기때문에 이 두 항목을 측정하는 것 같은데, 이외에 꼭 측정해야하는 것이 있나요?
대부분의 논문에서는 굳이 따로 보진않아 의문점이 생겼네요...
|
|
룰루614 | 08.01 |
|
Q. |
폰슈 결과 봐주세요 ㅠㅠ |
|
|
transfer 후 폰슈해봤는데 사진처럼 가운데에 큰 구멍이 있어 밴드가 안보입니다.
pvdf membrane을 사용하고 메탄올에 담근 후 dw, trans buffer에 적셔 gel에 올리고 기포를 완벽하게 제거해주었습니다..
running까지 잘 진행된것을 확인했고, transfer는 90v에 120분간 진행했습니다.
총 3개의 gel을 transfer 했고, tank 두개를 사용하여 tank1에서 진행한것은 오른쪽 사진결과, tank2는 왼쪽사진과 사진은 없지만 transfer가 잘된것 하나 이렇게 진행했습니다.
기포라고 하기에 너무 큰 구멍인거 같은데 왜그럴까요??ㅠㅠ
고수님들 답변 부탁드립니다...!!
|
|
웨구러지 | 07.31 |
|
Q. |
RT-PCR 전 세포에 sample처리 |
|
|
안녕하세요 RT-PCR 하려고 cell키워 seeding 하고 sample처리를 했는데 알티할때는 FBS없는 배지로 sample처리를 해야한다고 알고있는데 제가 fbs있는 배지로 샘플처리하고 24시간 뒤에 trizol처리했는데....fbs 유무에 따라 실험결과 차이가 많이나나요?
|
|
leedayoung | 07.31 |
|
Q. |
XL1_blue streaking seed culture |
|
|
안녕하세요 인턴과정중인 학부생입니다
실험을 처음하려니 헷갈리는게 많아 질문드립니다.
XL1_Blue 를 LB plate에 streaking 하여 seed 진행 하려고 하고있습니다.
streaking 후 15시간 정도 incubation 하고 seed 한뒤 12~16시간 키운 후 main cultre 진행으로 알고있는데요
제가 알고있는 시간대들이 정확한지 의문이 들어 여쭤봅니다
또한 main culture를 진행하기전 XL1_blue의 stock 또한 하나 더 만들어 놓을려고하는데 같은 main culture, stock을 만들기 위한 seed culture 시간이 동일한거가요? |
|
인턴임다 | 07.31 |
|
|
Q. |
절단된 신경세포에서 '근위'의 위치 |
|
|
신경세포, 특히 축삭부분에서 '근위'라 함은 어디인가요?
신경 재생관련 글을 읽다 보니
신경절단되었을 때 축삭의 '근위' 쪽에서 신경다발이 형성된다고 나와있는데 축삭의 근위라 함은 절단된 부위에서 신경세포체 부분의 절단면을 말하는 걸까요, 아니면 축삭말단쪽 절단면을 말하는 걸까요..?
|
|
mrjbk77 | 07.30 |
|
Q. |
당정량 실험시 |
|
|
안녕하세요.
페놀 황산법으로 당정량 실험을 진행하고있습니다.
동결건조한 가루시료 10mg에 증류수 10ml을 더하여 액체시료로 만들었고,
이중 500ul을 사용해 500ul 의 페놀과 2.5ml의 황산으로 진행하였는데
여기서 y =0.0234x-+0.1057, 흡광도=2.829
위와 같은 결과가 나왔습니다.
이때, 시료의 당 함량=(2.829-0.1057)/0.0234=116.380mg/0.5ml 이며, 251.75mg/ml(=251.75g/L)로 도출되는게 맞나요?
추가로 4mg에 증류수 10ml을 더해 만든 시료로 같은 방식으로 실험했을 경우에는 위와 같이 계산한후 2.5를 곱해주면될까요?
|
|
룰루614 | 07.29 |
|
Q. |
FACs 완전 초보입니다. 프로토콜 지적 부탁드립니다~! :) |
|
|
안녕하세요 선생님들~ 저는 PBMC 관련 시약 연구 및 제조 하는 일을 하는데,
갑자기 NK 세포에 꽂혀서.. 지난 몇달을 브릭 실험 Q&A 에 많은 질문을 했고
선생님들 덕분에 성공적으로 면역세포를 열심히 공부하고 키우고 있는 사람입니다.
뭐에 홀렸는지 Cell culture 에 필요한 수많은 물질들의 구매와.. 정신을 차려 보니깐
FACs 장비 까지 구매를 해놓고 입고를 기다리고 있네요..ㅎㅎ
장비 구매 하면서 교육팀 및 지원팀이 내려온다고 하길래 다행이다 싶었는데..
휴가 시즌에 물려서 그런가.. 장비 입고 날이 너무 뒤로 밀렸습니다.
문제는 지금 키우고 있는 면역세포가 조금 있으면 14일이 됩니다ㅠ
PBMC 에서 NK자극제를 넣고 NK분화가 잘 되었는지 빨리 확인하고 싶은 마음에
주변 대학에 FACs 분석 의뢰를 해봤더니..
기기는 있는데 사용을 한두번 밖에 안해봐서
잘 모르겠다는 답변을 받았네요.. 핳하하핳허하하허하ㅓ헣... ㅠ
(거주 지역이 수도권과 거리가 꽤 있는 아주 작은 지방 도시 입니다)
기기는 사용하게 해줄태니 직접 와서 찍고 가라고 하셔서.. 부랴부랴 논문에 구글링에
사용법과 protocol 을 보고 있는 중입니다.
각설하고..! 처음 FACs 사용 하는 초짜 가 여러 protocol 을 보면서 sheet를 짜봤는데요
이 protocol 로 진행해도 괜찮을지 의견 부탁드립니다 ㅎㅎ
1. 세포가 지닌 자체 형광 기본 수치 체크를 위해 형광 물질 처리하지 않은 샘플 준비.
2. 염색 물질 은 PE-Cy5 나 PE-Cy5.5 사용. (사용전 vortex)
3. 염색 물질 (10mM) 을 세포 처리 후 인큐베이터 30분 반응
4. 염색 물질이 포함된 배지 제거
5. DPBS(in 0.1% sodium azide) 로 washing
6. trypsin-EDTA 작업 후 원심 돌린 다음 DPBS 넣고 세포 washing
7. 다시 원심 돌린 후 tube 의 DPBS 파이펫팅 해서 제거
8. tube에 깨끗한 DPBS 적정량 넣고 FACs 분석 시작.
9. 형광 물질 처리 하지 않은 샘플로 먼저 기본 수치 체크 후 형광 처리한 샘플로 실험 시작.
protocol은 이렇게 짜 보았는데, 혹시 변경해야 할 사항이나, 추가해야할 사항이 있는지
고수님들의 의견을 부탁드립니다 ^^
|
|
Derick | 07.29 |
|
Q. |
CCD 986sk 세포 thawing 후 배지 교체 |
|
|
안녕하세요. 세포 관련해서 공부하고 있는 석사생입니다.
어제 CCD986sk 세포를 풀었는데(P-15, 분양을 새로 받은 것은 아닙니다. 연구실에 stock으로 있던 애를 풀었어요)
오늘 아침에 배지 교체를 해주려고 하니까, 거의 1/4 정도만 부착되어있더라고요..
그래서 배지 교체를 빠르게 해줘야할지, 아니면 조금 부착하는거 기다렸다가 해줘야할지 고민입니다. 원래 이 세포가 처음에 부착되는 것도 오래걸리나요?
|
|
motherscof.. | 07.29 |
|
Q. |
바실러스 튜링겐시스와 백강균 |
|
|
카테고리는 잘 모르겠어서 아무거나 선택했어요 죄송합니다ㅠㅠ
바실러스 튜링겐시스를 배양할 때 LB 배지에서 배양해야한다는 것 외에 잘 모르겠습니다. 자세하게 알려주세요ㅠㅠ 온도나 배양 방법, 배양시 주의 사항, 배양 기간 등등이요!
백강균을 배양할 때는 한천배지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고 알고 있는데요. 24도에서 배양하면 좋다는거 말고는 잘 모르겠어요 마찬가지로 배양 방법이나 배양기간, 배양시 주의사항을 자세하게 알려주세요!!
|
|
afffdfdee | 07.28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