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Q. |
동물용 안압계 대여 |
|
|
안녕하세요.
석사과정 밟고 있는 대학원생입니다..
저희 실험실에서 녹내장 관련 연구를 진행하고 있는데
예산이 제한되어 있어 안압계를 구입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안압 측정을 통해 모델링이 되었는지 확인 해야하는데 측정을 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혹시 tonolab 같은 마우스용 안압계 가지고 있으신 분이 계시다면 하루만 대여하고 싶습니다..
지금 모델링 해놓은 마우스의 안압만 한 번 측정하고 싶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
오예12345 | 01.27 |
|
|
Q. |
센트리퓨지 추천 |
|
|
안녕하세요,
연구실에서 20년 넘게 사용해온 centrifuge가 요즘 비실비실해서 새로 구매하려고 고민 중입니다.
단백질 정제가 많은 연구실이고 주로 French Press로 세포를 깬 후 spin down하는데 활용하던 쎈돌이(centrifuge의 애칭이죠^^;)라 35-ml tube 8개를 넣어 15000 rpm으로 30분 정도 돌리는데 주로 사용해왔습니다. 한일 과학 제품이었고요.
요즘 국산 쎈돌이를 보니 라보젠과 한일, 두 회사로 나뉘는 것 같습니다. 가격은 한일이 사알짝 더 비싸긴 한데 거의 차이 없고 오래 쓸 장비여서 좋은 걸로 구매하고 싶은데요. 실제 활용하시는 분들의 경험과 추천을 듣고 싶습니다.
1) 라보젠 제품 어떤가요? 저희가 견적 받은 제품은 1736R과 2236R입니다
2) 한일은 어떤가요? 받은 견적은 Supra R22와 R17 입니다.
미리 감사합니다!
|
|
집중해서일하고놀때놀.. | 01.24 |
|
Q. |
Autoclave 관련 질문 드립니다 |
|
|
안녕하세요
오토클레이브로 온도랑 시간 설정을 바꾼 다음에 돌리고 전원을 끄면, 자동으로 121도 20분 디폴트 세팅으로 돌아가는 건가요? 아니면 제가 수동으로 맞춰 놓아야 하는 건가요?
감사합니다 |
|
미역 | 01.21 |
|
|
Q. |
HPLC 측정 |
|
|
HPLC로 수용액에 중금속이 포함된 시료의 플라즈마 처리 후의 시간별 중금속 농도 변화를 알려고합니다.
제가 가진 시료는 Cu-EDTA 라는 구리 복합체인데 그럼 HPLC standard측정시 CuSO4의 standard가 아닌 Cu-EDTA로 Standard를 측정하는게 맞는거 인가요?
|
|
짱이되고싶어여 | 01.19 |
|
Q. |
피펫 종류 |
|
|
마이크로피펫과 다른 건데
팁을 꽂고 위에 있는 버튼을 누르면 설정한 용량대로 용액이 나오는 피펫 이름이 뭔가요?? |
|
봉먀 | 01.18 |
|
Q. |
Deep freezer |
|
|
Ln2에 있던 cell stock들을 바로 deep freezer로 옮겨도 되나요? |
|
ㅁㅅㅇㅇ | 01.17 |
|
Q. |
LN2 탱크수위 |
|
|
LN2탱크 수위체크를 잊고있다가 오늘 확인해보니 13cm여서 바로 주문해서 내일 온다는데 안에 있는 cell들이 불안해서요ㅠㅠ혹시 13cm면 위험한가요..? |
|
ㅁㅅㅇㅇ | 01.17 |
|
Q. |
보통 약물은 어떻게 구매하나요? |
|
|
지금은 석사생으로 대학원을 다니고 있는데
이번에 교수님께서 새로운 실험으로 한번 해보라고 하셔서
저희 랩에서는 제가 하는게 처음이거든요.. 그리고 그 실험 관련된 논문을 몇개 보긴했지만 method 부분만 봐서는 자세히 안나와있고 dye라던가 약물 종류도 논문마다 다르게 사용하던데
이렇게 약물이나 dye 를 구매해야될때는 최신 논문들을 보고 그나마 많이 사용하는 것을 구매하는게 좋을까요 아니면 그냥 회사 사이트 들어가서 확인을 해보는게 나을까요..ㅜㅜㅜ
이런걸 맡게된것도 처음이고 구매를 해보는것도 처음이라 알아야될것도 많고 또 형광을 보는거라 그 기계가 저희 학교에 있는지도 확인해봐야되는데
혹시 약물이나 dye를 구매할때 참고해야될게 있나요??
|
|
브르르르릭 | 01.15 |
|
Q. |
HPLC method 완료 후, peak 쏠림 |
|
|
안녕하세요.
HPLC를 이용해 합성한 물질을 분리하고자 hplc method를 작성하였습니다.
현재 사용하는 hplc 기기는 shimadzu사 이며, column은 phenomenex C18 250X21.2mm 를 사용하였습니다.
용매는 아래와 같습니다.
A: 0.1% formic acid in WATER
B: 0.1% formic acid in ACN
Method는 아래와 같습니다.
0-3 min: B conc. 10%
3-33 min: B conc. 10 to100%
33-35 min: B conc. 100%
35-36 min: B conc. 100 to 30%
36- min: B conc. 30%
TLC 상에서 3가지 물질이 존재함을 확인하였습니다.
그리고, 약 30분에 원하는 product가 소량 나왔습니다.
그런데 대부분의 주입한 물질이 method가 끝난 후 37분 가량에 쏠려나오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37분에 나온 물질을 TLC를 이용하여 분석해보니 분리가 되지않고, 거의 그대로입니다.
이물질이 용해도가 좋지않아, DMF 0.5 ml에 녹인 후 ACN 1.5 ml에 희석하여 주입하였습니다.
현재까지 용해도가 좋지않은 물질을 위와같이 희석하여 hplc를 이용하여 분리할 때, method의 초기에 쏠려나온 경험은 종종 있으나, 이번의 경우와 같이 method가 끝난 후 쏠려나오는 것은 처음입니다.
어떻게 하면 개선을 할 수 있을까요?
|
|
얏콩 | 01.09 |
|
Q. |
CH3Cl을 FID로 분석하는 과정에서 질문 드립니다. |
|
|
안녕하세요 현재 박사과정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아래와 같이 500 ppm CH3Cl/N2 가스에 대한 흡착연구를 진행하는 도중 일어난 문제에 대해 질문드리려고 합니다.
1. FID detector의 설정값과 레귤레이터의 기압 값은 변하지 않았습니다.
반응기 내부의 Leak도 없음을 확인했고, 흡착제는 제올라이트입니다.
2. 그런데 어제와 오늘 30 oC에서 500 ppm CH3Cl/N2 가스를 주입했을 때 Retention time은 동일하게 나왔으나 면적이 어제 = 8800 a.u., 오늘 = 1738 a.u.로 상당히 다르게 나왔습니다.
3. 이런 경험을 겪어보신 선배님들 계실까요? 계시다면 어떻게 해결하셨는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
화고고공 | 01.06 |
|
Q. |
Nanodrop 기기 추천 부탁드려요 |
|
|
nanodrop 기기를 이번에 새로 장만해야하는데 1,500만원(부가세 포함) 선에서 디스플레이 달려있는 괜찮은 기기 있을까요 랩에서 사용하고 계시는 기기가 만족스러우시다면 추천 부탁드려요!
|
|
별헤는밥 | 01.06 |
|
Q. |
생물 분야 문외한인 연구자인데 plate reader으로 실험을 하고 있습니다 |
|
|
안녕하세요 저는 소재 분야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최근에 제가 하는 반응을 microplate에서 진행하는 아이디어를 얻어 plate reader를 이용해 흡광/형광 찍고 있습니다.
그런데 plate에서 반응을 할때 반응이 너무 빨리 일어나는 바람에 plate에 시료를 쭉 올리는 동안 column 간에 반응 시간 차이가 생기는 문제가 있습니다. 피펫으로 용매를 깔고 촉매 넣고 하는 시간 차이 때문에 컨트롤이 어려운 상황입니다.
그러다가 microplate dispenser라는 걸 알게 되었는데요, 이 dispenser 관련 궁금한 점이 있어 BRIC 연구자 분들께 질문 드리게 되었습니다.
1) Dispenser로 용액을 분주할 때 column별로 혹은 각 wall 별로 다른 양의 용액 분주하는 기능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예를 들어 98 wall microplate 위에 각 wall마다 다른 양으로 분주를 하도록 full plate 정보를 넣어서 분주하는 기능이 있을까요? 있다면 그러한 기능을 뭐라고 부를까요?
2) Dispenser 구매를 한다면 어떤 브랜드가 추천할만한지 궁금합니다. 가장 믿을만한 브랜드와 가성비 국산 브랜드 추천을 부탁드리고 싶습니다.
답변에 미리 감사드리며, 계묘년 새해 연구자님들 모두 건강하고 연구에 많은 성과 얻으시길 바랍니다.
|
|
후누루 | 01.06 |
|
Q. |
천연물 분석을 위한 MPLC 질문드립니다. |
|
|
안녕하세요.
천연물 분석을 하고 있는 대학원생입니다.
MPLC를 이용하여 천연 추출물의 정제 및 분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Silica, C18가 충진된 Cartridge를 구매하여 사용중에 있습니다.
혹시 이미 사용한 cartridge를 용매로 세척하여 재활용이 가능할까요??
부족한 질문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
생약학 | 01.06 |
|
Q. |
액체 질소 탱크 이사 방법 |
|
|
안녕하세요,
연구실 이사 관련해서 문의드리고 싶은 것이 있습니다.
이사할 때 -80 딥프리저와 액체 질소 탱크의 이동이 걱정이 됩니다.
그냥 이사할 때 냉장고 옮기듯이 딥프리저에 있는 물건을 다른 곳에 빼면 온도나 보관 상태에 문제가 생길 것 같아서 걱정이고, 닫은 상태 그대로 옮기자니 무게가 너무 많이 나갈 것 같아서 가능한지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액체 질소 통의 경우 기울어지거나 하면 안되니 차량에 실어 올리는 것부터 이동까지 모두 걱정이 됩니다.
다른 기구 중에서는 민감하거나 이동시 주의해야 할 부분이 없어서 일반 이사 업체에 맡기면 될 것 같습니다만 딥프리저와 질소 탱크 때문에라도 업체를 따로 수배해야 할까요?
혹시 실험실 이사하셨던 경험이 있으셨다면 정보나 노하우 공유해주실 수 있나요?
|
|
Eccentric | 01.04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