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BUG-WINDOW 처리영역 보기]
즐겨찾기  |  뉴스레터  |  오늘의 정보 회원가입   로그인
BRIC홈 실험
한국요꼬가와전기
배너광고안내
이전
다음
스폰서배너광고 안내  배너1 배너2 배너3 배너4
BioLab 주재열 교수
전체보기 안전점검 LABox
 카테고리: 전체
Mol. Biol.-DNA Mol. Biol.-RNA Mol. Biol.-Protein Immunology
Cell Biology Microbiology Plant Biology Laboratory Animals
Omics Chemical biology Bioinformatics Laboratory Equipments
Buffer/Reagent Bioethics Etc.
카테고리 전체보기펼치기
질문/투표/프로토콜 등록
Q. Ni-NTA purification 실패 원인 파악하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석사 1학기 실험 초보입니다. 이번에 Ni-NTA column으로 protein purification을 진행하였습니다. lysis buffer(1L) - 300mM NaCl, 50mM Tris(pH 7.5), 10mM imidazole elution buffer(1L) - 300mM NaCl, 50mM Tris(pH 7.5), 250mM imidazole 로 기기 buffer 제조하여 진행하였는데 peak intensity가 매우 낮게 나왔습니다.   제가 생각하는 실패 원인은 1. sonication(Amp 70, 5분 진행, 총 7set)을 과다하게 하여 protein이 불활성화 되었을 것이다. (상층부가 투명해질 때까지 진행하다보니 평소 5회 정도 soni를 쳐주었는데 이번에 7회 진행하게 되었습니다. 다만, sample온도는 차갑게 계속 유지해주었습니다.) 2. 1달 정도 냉장보관된 colony를 plate에서 picking해서 사용했기에 건강하지 못한(?) cell의 단백질 생산 수율이 떨어졌고 이로 인해 purification 결과 peak가 낮게 나왔을 것이다. (정제 시 성공했을 때는 peak intensity가 2500 정도였는데, 이번에 250 정도 나왔습니다.) - (transformation 후 항생제 plate에서 colony 자란 것을 약 1달 전에 확인했고 재활용을 위해 plate를 랩에 싸서 냉장실에 1달 내내 두었던 것을 사용했습니다. ) 현재로써는 이 2가지인데 제가 아직 실험에 대한 이해도가 부족해서 어떤 부분을 수정해야할지 조언을 구하고 싶습니다. Ni-NTA purification을 한 번 더 진행할 수 있을 만큼 sample이 남아 있는 상태라 문제 확인을 위한 실험 진행해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회원작성글 솔로몬이꿈  |  03.19
Q. 기능성 화장품 정량 분석 관련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화장품 제조업에서 근무하는 사람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기능성화장품 기준 및 시험방법 내용 중   (나이아신아마이드 아데노신 액제) 정량법에서   기능성화장품을 가지고 나이아신아마이드로서 약 20mg 및 아데노신으로서 약 0.4mg에   해당하는 양을 정밀하게 달으라고나와있는데 해당하는 검체의 양을 어떻게 알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답변 부탁드려요 ㅠㅠㅠ
회원작성글 분석어려웡  |  03.19
Q. plasmid DNA
안녕하세요. cloning 진행하기 위해서 바이오닉스에서 plasmid DNA 를 주문하였습니다. 그런데 4 ug 의 양이 lyophilized DNA 형태로 왔는데 여기에 DW 로 dilution 시켜서 사용하면 되는 것이 맞나요? 이게 맞다면 DW 는 얼마나 넣어야 하는 건가요?
회원작성글 나의라임오렌지나무  |  03.19
Q. 안녕하세요. 100% saturated ammonium sulfate 관련해 질문드립니다. 첨부파일
안녕하세요. 단백질 추출 실험을 위해 100% saturated ammonium sulfate를 만들었는데 아래에 결정이 생겨서요. 이럴 경우 다시 결정을 녹여야 하나요? 그리고 용해시켜야한다면 교반 시켜야하는건가요 아니면 온도를 높여서 용해시켜야하는건가요? 그것도 아니라면 상층액 부분을 그냥 사용해도 되는건가요?
회원작성글 jeansflow  |  03.19
Q. NCBI 활용
NCIB_SNP 에서 변이타입 중 del 과 indel의 차이를 모르겠습니다.   CCR5-delta32의 염기서열을 찾는 과정에서  del을 체크하면 rs333이 안나오고, delins(insert+deletion의 합성어)을 체크하면 rs333이 검색됩니다. 제가 알기로 CCR5-delta32는 32bp만큼 결실된 것으로 del을 체크해도 검색이 되어야 하지 않나요..?  
회원작성글 영재너굴  |  03.19
Q. NCBI 활용
NCBI에서 frequency로 나오는 아래 그림자료를 어떻게 해석할까요? 해당 염기만큼이 결실된 정도가 0.074라는 것 같은데, 전체 엑솜에서 0.074라는 것이고,  그아래부터, GnomAD, ExAC, PAGE_STUDY, KJPN, ALFA, GO-ESP 등등 에 대한 해석을 못하겠습니다ㅜㅜ   
회원작성글 영재너굴  |  03.19
Q. N-cyclohexyl-propanamide 구매
GC-MS 분석을 위한 스탠다드를 구매하려고 하는데, 알고 있는 유명한 사이트는 모두 찾아보았는데, 경험이 부족해서인지 N-cyclohexyl-propanmide를 찾을 수가 없습니다. 구매할 수 있는 사이트나 좋은 방법을 알고 계시면 답변 부탁드립니다. 연구계획을 사유로 시간이 많지 않아 국내에서 구매할 수 있으면 더욱 좋습니다.
회원작성글 금마생노 No.31  |  03.18
Q. 생명) 레포트나 논문에 참고할 만한 권위있고 공인화된 사이트 어디어디 있나요?
생명관련학과에 입학한 대학신입생 입니다. (실험)레포트나 논문의 Introduction, Reference에 기재할 수 있을 정도의 권위있고 공인화된 사이트 어디어디가 있을까요? 기본적인 생물, 화학적 개념들도 충분히 참고할 수 있을만한 곳을 원합니다. 위키피디아나 지식백과는 그렇게 공인되어 있지 않고, 그렇다고 엄청 간단한 개념들을 논문 하나하나에서 따오기에는 일일이 찾아야 하는거 같아서요..ㅜㅜ
회원작성글 정지방  |  03.18
Q. cell seeding 계산이 항상 헷갈립니다
cell 실험을 시작한지 얼마 안되어서 cell seeding하거나 culture할때 헷갈립니다...   예를들어 cell counting 하여 4.8 x 10^5 /ml (suspension 8ml)이 나왔다면 96well plate 2판에 well당 8 x 10^3 cells/well로 100μl씩 넉넉잡아 200well깔 예정일때, 8 x 10^3 cells/well 을 계산하기 쉽게 cells/ml로 변환하면---- (x 10) -----> 8 x 10^4 cell/ml  이고 필요한 volume은 200well x 100μl = 20000μl = 20ml [(8 x 10^4 cells/ml) / (4.8 x 10^5 cells/ml)] * 20ml = 3.333   media 16.67ml + 3.33μl 넣어 분주하면 되는게 맞나요? 틀리다면 말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회원작성글 inging..  |  03.18
Q. BODIPY 581/591 C11 protocol
현재 BODIPY 581/591 C11(Invitrogen)을 사용하여 lipidperdoxidation을 측정하려고 합니다. Flow cytomery를 이용해서 detect 하려고 하는데 FITC PE 파장으로 detect이 가능한지 궁금하고 혹시 프로토콜 가지고 계신분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ㅠㅠ 현재 working solution은 2uM로 사용하고 있고 cell을 모아서 500ul씩 넣어서 37도 인큐베이션 했습니다.   
회원작성글 매드사이언스  |  03.17
Q. Epithelial cell 형태 차이 첨부파일
Epithelial cell인데.. 사진은 LCA를 treat한 세포인데 어떤 점이 다른지 잘 모르겠습니다ㅜㅜ control cell과 어떤 점이 다른 건가요??ㅠ
회원작성글 찡오랑  |  03.17
Q. GC-FID로 biodiesel 분석 시 피크 문제 첨부파일
GC장비 사용한지 얼마 안 된 학부생입니다. GC-2010 plus 장비 사용해서 biodiesel 분석을 하려고 합니다. 스탠다드 물질 찍어서 calibration curve 만들려고 하는데, 첨부한 사진에서와 같이 stearate와 oleate 따로 분석 했을 시 RT가 다른 시간에 피크가 찍히는데 서로 혼합해서 찍으면 피크가 합쳐져서 찍히게 됩니다. 조건을 바꿔가면서 찍어봐도 계속 반복 되길래 질문 드립니다.   사진에 나온 피크 분석 조건으로는 HP-20m 25m-0.20mm Film Thickness 0.2um injection volume: 2ul, temperature: 210℃ carrier gas: N2 1ml/min, pressure:168.1kPa linear velocity: 35.9cm/min split ratio 1:20 120℃(5min holding) > 200℃(5min holding) 2℃/min, total time 50min detector temperature: 250℃ 이 조건을 사용했습니다. 논문 찾아보니 오븐 온도를 보통 220℃로 제가 사용하는 200℃보다 더 높게 사용하는데, 컬럼 최대 수용 온도가 220℃라 불가능한 상황이고 또 피크가 겹치는 문제가 컬럼 길이가 짧아서 그렇게 되는건가 싶어 컬럼을 더 긴 제품으로 바꿔야하나 생각중입니다.    현재 사용하는 컬럼으로는 문제를 해결하기 힘들까요?
회원작성글 어허허허허헝  |  03.17
Q. RT-qPCR 질문
안녕하세요, RT-qPCR 결과가 자꾸 이상하게 나타나서 질문 드립니다.   primer는 계속 사용해오던 것을 사용해서 primer문제가 아닌 듯 하구요.. 이전까지 결과가 이상한 적이 없었는데 최근에 PCR 돌렸을 때 melting curve 자체가 안뜨는 것처럼 나옵니다. 이전과 달라진 점이라면 한 sample로 여러 개의 gene을 봐야하는데 samle이 너무 많아  한 plate에 다 돌릴 수가 없어서 cDNA 1ul (1ug) + ultra pure water mix를  충분히 만들어 놓고 mix+primer+SYBR green 넣고 돌리고, 끝나면 똑같이 만들어 놓은 mix+primer+SYBR green 넣고 돌리고 이렇게 했습니다.. mix는 ice에 계속 박아둔 상태로 사용했는데 첫 번째 plate에서 본 GAPDH는 잘 나왔는데 그 다음 plate에서 부터는 smaple마다 melting curve가 잘 뜨는 sample이랑 안뜨는 sample이랑 섞이기도 하고.. 엉망 친창으로 나옵니다. mix를 한꺼번에 만들어서 사용해서 cDNA가 degradation 되거나 해서 그런걸까요...?ㅜ
회원작성글 구움과자  |  03.17
Q. Cloning과정 중 Ecoli gel run
Vector , insert transformation. Colony 키워서 DNA prep 하기전에 Ecoli 를 gel run해보면 insert가있는것과 벡터만 있는것 사이즈 차이가 난다고 하는데요. Ecoli 얼마의 양을 몇도에서 boiling해서 Gel run하면 되는지요? 감사합니다.
회원작성글 BBluee  |  03.17
Q. transformation efficiency test 관련 질문입니다.
(Colony 수) x transformation 총량(μl)/plate 도말량(μl) x 1/사용한 vector양(μg) 방법으로 efficiency test 진행하고 있습니다. 실험에서의 값들을 넣어보면 605(CFU) x 100μl/360μl x 1/0.1μgdl 이 나와서 값이  1680.55CFU/μg가 나오게 되는데요, 이것이 어떤것을 의미하는 건가요? competent cell의 효율이 이정도 나오면 적당한 수준인가요? 레포트에는 1680.55CFU/μg이라고만 쓰면 되나요? 다른 글들에는 막 10^7 이런것도 적혀져 있어서 이게 맞나 질문드립니다ㅠ
회원작성글 복숭아두꺼비  |  03.17
Q. vol% 용액제조 (부피퍼센트 용액 제조)
귀금속을 침출할때 질산대신 산화제로 과산화수소를 사용하여 진행하려는데 아래 논문처럼 H2O2의 농도별로 평가를 하고자 합니다. * totla solution : 100mL 제조 * 염산 35%, 과산화수소 30% * 20vol% H2O2 를 만들어 평가한다면, H2O2 20mL, HCl 80mL 섞으면 맞을까요? * v / v % = [(용질의 부피) / (용액의 부피)] × 100 %  
회원작성글 요오지  |  03.17
이전  01 02 3 04 05 06 07 08 09 10  다음
공지사항
2022년 실험Q&A 우수회원 안내
중고등학생의 과학실험주제나 방법 및 숙제에 대한 질문 자제 요청
실험관련연재
세오 연재중실전 실험 프로토콜 101
세오 (필명) (Cincinnati Children’s Hospital Medical Center)
신코 연재중분석장비 이야기
분석장비 탐험가 (필명) ((주)신코)
곽민준 연재중랩노트
곽민준 (POSTECH 생명과학과)
박은총 연재마감후배에게 주고 싶은 면역학 노트
박은총(Duke University)
Mr.S 연재마감의학계의 Spectaculum: 임상시험
Mr. S (필명) (연세대학교)
에스프리 연재마감실험을 해봅시다
에스프리 (필명)
이제욱 연재마감생명과학자 기초체력 다지기
이제욱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신약개발지원센터)
금주의 인기Q&A
Ni-NTA purification 실패 원인 파악하고 싶습니다. [8]
double digestion후gel run [3]
DNA prep 후 정량은 되는데 밴드는 없는 경우 [9]
elisa 실험 희석 아시는 분 계신가요ㅜㅜ? [1]
쥐의 혈청 색깔이 투명한 이유가 뭔가요? [3]
enzyme digestion 후 CIP처리 [4]
western blot 밴드 옆으로 흐르는 현상 [5]
안녕하세요. 100% saturated ammonium sulfate 관... [1]
cell seeding 계산이 항상 헷갈립니다 [4]
N-cyclohexyl-propanamide 구매 [1]
최근답변자 우수답변자
대왕개구리SPEED

대왕개구리강시

개구리됴엥

알솔로몬이꿈

개구리해돋이02

개구리토라

알마카롱_

개구리실험조아

대왕개구리SPEED

꽃개구리juno

꽃개구리스카이

꽃개구리Ip Man

개구리propadrum

개구리flu...

대왕개구리안재진

꽃개구리bio

위로가기
실험 홈  |  실험FAQ
 |  BRIC소개  |  이용안내  |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이메일무단수집거부
Copyright © BRIC. All rights reserved.  |  문의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유튜브 유튜브    RSS서비스 RSS
엘앤씨바이오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