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BUG-WINDOW 처리영역 보기]
즐겨찾기  |  뉴스레터  |  오늘의 정보 회원가입   로그인
BRIC홈 실험
ACROBIOSYSTEMS
배너광고안내
이전
다음
스폰서배너광고 안내  배너1 배너2 배너3 배너4
Miami Winter Symposium 2023 – Molecular Neuroscience: Focus on Sensory Disorders 학회 참관기
전체보기 안전점검 LABox
 카테고리: 전체
Mol. Biol.-DNA Mol. Biol.-RNA Mol. Biol.-Protein Immunology
Cell Biology Microbiology Plant Biology Laboratory Animals
Omics Chemical biology Bioinformatics Laboratory Equipments
Buffer/Reagent Bioethics Etc.
카테고리 전체보기펼치기
질문/투표/프로토콜 등록
Q. Actin이 일정하게 나오지가 않아요 첨부파일
안녕하세요    sample을 만들고 단백질 정량을 충분히 하여 70v로 loading하고    transfer를 2시간을 하였고 pbst로 washing하고 5% skim milk로 1시간 blocking하고   washing 하고 확인하였는데 actin이 잘 나오지가 않습니다.     문제는 정량문제인듯한데....   어디서부터 다시해야할지 모르겠습니다.   BCA로 다시 STD curve그리고 처음부터 sample prep을 해야할까요? 아니면 loading 이나 다른 부분에서 문제가 있는걸까요?   washing은 10분간격으로 3회  모든 시약은 당일 제조  1차 Ab 1:3000 2차 Ab 1:5000
회원작성글 AD석사생  |  03.23
Q. bone marrow derived dendritic cells 배양 및 활성화 실험 관련 (Detachment, 배양 조건)
안녕하세요. 현재 쥐 골수에서 세포를 분리하여 100mm petri dish 에서 GM-CSF 추가해서 6일간 배양한 후 동동 떠있는 세포 혹은 PBS pipetting 시 떨어지는 세포 (losely adherent cells) 만 모아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러고 나서 24 well (tissue culture)에 배양 하였는데 dendritic cells 들이 떠있는 세포들도 있지만 바닥에 딱 달라붙어서 20mM EDTA+PBS 에 30분 incubation 후에 pipetting 해도 떨어지지 않더라구요... 이후에 이 세포들을 대상으로 FACS 분석 예정이여서 최대한 surface marker 를 손상시키고 싶지 않은데...  Cell scraper, TryPLE, Cell dissociation buffer 중에 어느 방법이  surface marker 손상을 최소화하되 잘 떨어질까요??? 그리고 Petri dish에서 배양하라고 나와있는데 혹시 culture dish에 배양해도 관계가 없을까요??? 
회원작성글 콩뚱콩뚱  |  03.23
Q. 항산화 (ABTS & DPPH)
안녕하세요.   샘플을 동일한 농도로 희석하고 항산화 실험(ABTS/DPPH)을 진행하였습니다. ABTS는 증류수로 희석하였고 샘플:ABTS 양은 20:180, 반응시간 1~2분, DPPH는 메탄올로 희석하였고 샘플: DPPH 양은 160:40, 반응시간 30분 입니다.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항산화활성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습니다. 다만, 결과값이 DPPH에 비해서 ABTS 값이 절반정도 낮게 나왔습니다.  참고문헌을 찾아보니 대부분은 ABTS가 더 좋은 결과를 나타내길래 반복실험을 여러번 해보았지만 DPPH가 더 좋다는 동일한 결과값이 나옵니다...! 혹시 관련된 참고문헌 혹은 이유를 아시는 분은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회원작성글 angeia1003  |  03.23
Q. coomassie blue staining 한 gel 을 다시 PVDF membrane에 transfer 가능할까요?
    안녕하세요  검색해도 잘 안된다는 말이 있어 혹시 몰라 여기에 물어봐요    12% gel coomassie 염색해서 staining 한 후에 10% acetic acid에 보관중이예요 이 gel을 PVDF에 옮기는게 가능할까요?  산에 담겼던건 잘 안된다는 말도 있어서;;;  고수님들 좀 도와주세요 ㅠㅠㅠㅠㅠ 해보신분 제발요~~ 
회원작성글 땅콩  |  03.23
Q. LC-MS/MS에서 2가 이온 피크 확인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lc-msms 분석하다가 질문드립니다. LC-MS/MS에서 precursor ion peak를 보면 질량수 옆으로 동위원소가 1씩 늘어나는 피크들을 보고 해당 피크가 1가  이온 피크인것을 알 수 있다고 알고있습니다.   그렇다면 프리커서 이온 피크만 봤을때 해당피크가 2가 이온 피크라는것을 한눈에 알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2가 이온일시 옆으로 늘어나는 질량수가 1이 아닌 다른 값을 가지나요?   답변부탁드립니다ㅠㅠ
회원작성글 23학번할래  |  03.23
Q. 100mM만들기
guanosine 5'-monophosphate disodium salt hydrate   sigma제품   Molecular Weight:  407.18 (anhydrous basis)   100mM로 만들고 싶은데 방법 좀 부탁드려요 ㅠ
회원작성글 새내  |  03.23
Q. Cell line 정보
Cell line 이름으로 해당 세포주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려고 하는데 논문 사이트, ATTC, 한국세포주에 검색해도 안나오더라고요 혹시 이런 경우는 어디서 검색하나요?
회원작성글 민군밤  |  03.23
Q. 3T3-L1 지방세포 단백질 정량 베타액틴 뒤죽박죽
안녕하세요 ! 3T3-L1 세포로 항비만 효능을 보고 있는 대학생입니다. BCA이용해서 정량 했지만,,, 분화셀과 저농도 샘플 셀등 지방이 많이 생기는 셀에서만 베타액틴이 약하게 뜨더라구요. 몇 번째 정량인지 모르겠습니다... 최대한 지방을 제거해도 계속 동일한 결과만 뜨네요  이러한 이유와 해결할 좋은 방법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회원작성글 ezi  |  03.23
Q. orthotopic HCC mouse model 제작해보신 분
orthotopic HCC mouse model제작중입니다. hepa1-6(neo-luc) cell을 간에 주입하여 간암모델 제작 후 컨트롤군과 약물 주입군을 비교하는 실험중입니다. 실험종료후 샘플링을 위해 개복하면 간암종양이 간조직안에서 자라야 하는데 간밖에 복막 아래에 자라있습니다... 세포이식수술할 땐 간조직으로 잘 들어가서 하얗게 변하는것까지 확인했는데 새어나와서 자란 것 같아요... 간에 세포가 잘 안착이 안되는거 같습니다. 논문들 찾아보면 MCD diet나 high-fat diet로 NASH, NAFLD를 먼저 유발시킨 뒤 암세포를 주입하여 암모델 제작하는 프로토콜도 많이 있고, 그냥 암세포주 바로 주입하는 논문들도 많이 있더라구요! NASH를 먼저 유도시킨 뒤 암세포 이식하면 더 잘 안착될까요,,? 경험있으신 분들의 조언을 구합니다!!!  
회원작성글 jeongjjang..  |  03.23
Q. 단순염색 관련 질문있습니다 첨부파일
세균 염색 중에 사진과 같은 현상이 자주 일어날 수 있다고 하는데 어떤 경우에 저렇게 되는 건가요? 현미경으로 염색 관찰했을 때 저렇게 나타난 경우가 없어서 질문 드립니다.
회원작성글 미음  |  03.23
Q. agarose gel band
colony 키워서 dna prep후 double digestion 1hr했습니다. 두개 엔자임중 1개가 working안한것일까요?1exp 2019년인데 사용 위에 두꺼운 밴드는 무엇일까요? 안잘린 것인지 pseudo colony인지요? 1kb size marker사용.
회원작성글 BBluee  |  03.23
Q. Nafion™ perfluorinated resin solution 나피온 시약 단종
안녕하세요. 미생물전기화학시스템 전공자 박사과정생입니다. 흔히 환원전극으로 사용되는 Pt carbon 촉매에 바인더로 사용되는  Nafion™ perfluorinated resin solution 5 wt. % in lower aliphatic alcohols and water, contains 15-20% water 시약이 단종된 사실 알고 계시나요? ㅠㅠ 대체품을 찾으려는데 알아본 대체품도 성능이 탐탁치않습니다.  관련 실험 하시는 분들. 대체 바인더 시약 찾으신 분들. 정보 공유 주실 수 있나요? 
회원작성글 BIoHydrgen  |  03.23
Q. 메틸렌블루가 왜 gram(+)를 억제하는가요?
emb 배지에서  염료로 쓰이는 메틸렌블루와 이오신 염료 두 가지 모두 gram(+)를 inhibitor(억제)시킨다고 알고 있는데  어떤 원리로 억제시키는 건지 아는 분 있으면 설명부탁드립니다.
회원작성글 김피탕  |  03.23
Q. 세포 계대배양시 디쉬에 풀게되는 세포수 계산이 헷갈립니다ㅠㅠ
안녕하세요 세포실험이 초보인 학생입니다ㅜㅜ raw264.7 cell을 가지고 실험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펠렛에 5ml 배지를 풀어 카운팅을 진행하였고 28/4 * 10^4 * 5 = 3.5x10^5 이라는 결과가 나와습니다. 이상황에서 다시 원심분리후 배지 석션 후 새 배지를 풀었어야 하는데 그렇게 진행하지 않았네요ㅜㅜ 결국 5ml 현탁액을 이용해 100파이 디쉬에 에 3*10^5가 되도록 셀을 계대하고싶으면 1ml당으로 치면 28/4 x10^4=7x10^ 이렇게 되니 현탁액 4ml에 배지 8ml를 풀어서 토탈 12ml로 만들었어야 할까요? 세포를 웰에 푸는 카운팅보다 디쉬 계산이 더 어려운듯합니다ㅠㅠ.... 제가 한 계산이 맞는지 말해주실수있을까요ㅠㅠ  
회원작성글 궁그매요  |  03.23
Q. CFU/mL 계산 관련해서 헷갈립니다
유산균을 배양시킨 후 파우더로 제조하였습니다. 이때 유산균 파우더는 0.1g을 10mL 용액에 녹였고 해당 녹인 용액을 100 uL + saline 900 uL을 통해 희석했습니다. 5번째 희석한 것에서 100 uL을 도말했을 때 콜로니 수가 23개가 나왔다면 10 mL 용액에 녹인것도 희석한걸로 해석해서 23*(10^6)*10 CFU/mL 로 계산하는게 맞나요??
회원작성글 졸업할수있나  |  03.23
Q. 스케일바 계산하는 방법 좀 부탁드립니다
제가 현미경 10배율로 세포사진을 찍었는데 스케일바가 없어서 제가 직접 넣어햐하는 상황입니다.. 10배율로 세포사진을 찍었다면, 거리계산은 가능할 것 같은데 어떻게 계산을 해야할 지 모르겠습니다.. 저와 같은 상황이 있었던 분들의 도움을 얻고자 합니다  대략 생각하는 방법은 픽셀수로 거리계산이 가능할 것 같은데,,, 도저히 감이 안오네요.. 찾아봐도 정확한 방법은 없어서 이렇게 글을 씁니다 ppt, image j,그림판 등 여러 방법을 사용해서라도 꼭 넣어야하는 상황입니다 부탁드립니다
회원작성글 예석  |  03.22
Q. DNA prep 후 정량은 되는데 밴드는 없는 경우 (2) 후속 질문입니다.
* 첨부파일을 올리려고하는데 1개만 가능하다는둥.. 업로드가 안되서 제가 그냥 글로 설명합니다;;. 답변해주신분들의 조언에 따라 cut 없이 gel 내려서 밴드확인했으며, 16일에 prep한 거 / 20일에 prep한 것 / 어제 colony 1개씩 따서 prep한 것 두개. 해서 총 네개로 테스트했습니다. 원래 사이즈는 5.5kb인데 5kb에 딱 걸친듯 살짝 밑 사이즈에 뜨는 것으로 봐서 super-coiled인가 싶어서 문제가 없다 생각을 했고 1ug으로 네가지 전부 다 NdeI 1ul, cutsmart buffer와 함께 먼저 2시간동안 잘랐습니다. 문제는 자르고 나니  오늘 prep한 애들은 ㅡ.ㅡ;;; 밴드가 사라졌습니다...;; 다만 16일과 20일에 prep한 애들은... 좀 smear하긴 하나 밴드가 linear 폼으로 잘려서 그런지 위와 다르게 5kb 살짝 위로 남아있어서 반응이 문제없이 된 것 같아서 현재 gel purification진행 중입니다. 도대체 때문에 이런 일이 발생하는걸까요 ㅡ.ㅡ;;  갑자기 저렇게 흔적도 없이 잘리려면 plasmid가 뭔가 문제가 있던가... 뭐든지 지금 DNase에 contamination됬다는 건데 혹시나 싶어서 새팁, 새 DW까지 썼는데..오염은 아닐것 같습니다.. 
회원작성글 토라  |  03.22
Q. urea 합성실험 질문
시안산칼륨(KNCO)와 황산암모늄((NH4)2SO4)을 반응시켜 urea를 합성하는 실험에서 과정을 보면    1. 시안산칼륨 0.025mol을 증류수 10ml에 용해시킨다 2. 황산암모늄((NH4)2SO4) 0.02mol을 증류수 4.5ml에 용해시키고 1에서 만든 용액을 넣으면서 충분한 반응이 일어나도록 30분동안 섞는다. 3. K2SO4를 여과기로 제거한다. 4. 여과된 혼합액을 건조시킨다. 인데요   궁금한 점은 첫번째로 주어진 실험과정에서는 황산암모늄 용액에 시안산칼륨 용액을 넣어서 섞어주는데, 시안산칼륨 용액에 황산암모늄 용액을 넣어서 섞어주면 안되는 이유가 있나요? 두번째로 시안산칼륨은 증류수 10ml에 녹이고 황산암모늄은 증류수 4.5ml에 녹이는데 두 개의 증류수량이 왜 저렇게 설정되었는지 궁금합니다.
회원작성글 금수  |  03.22
Q. cell contamination 확인하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실험 시작한지 얼마되지 않은 석사생입니다. Cell 키우는 중에 comtam인지 아닌지 의심되는데 혼자 판단하기 어려워 질문 드립니다! 2일 전 > competent cell에 ampicilin 항생제 마커를 가진 plamid를 transformation시킨 후 cell을 LBA plate에 overnight 해서 1일 전 > 20mL 항생제 배지에 colony picking해서 넣고 overnight 시킨 후 오늘 > 300mL 배지(ampicilin 0)에 최종 O.D600가 0.01이 되도록 계산한 양만큼 cell을 접종해 7시간 정도 culture 진행했습니다.(culture condition 37도 230rpm) 원래 잘 자라지 않는 cell이라 지난 번에는 동일조건(시간,온도,rpm)으로 배양해도 OD값이 1.5가 안 되었는데 이번에는 2.5 가 넘었습니다. 구체적인 이유는 모르지만 Cell이 너무 잘 자라도 좋지 않다고 알고 있습니다. 특히 제 실험은 배양이 여기서 끝나는 게 아니라 단백질 생산 양을 늘리기 위해 연속적으로 180rpm 18도에서 overnight을 진행하고 있습니다.(induction은 진행하지 않습니다) 때문에 이게 단순히 cell이 많이 자란 것인지 contamination이 된 것인지 확인을 해봐야 될 것 같은데 저희 lab에는 안타깝게도 현미경이 없어서 혹시 확인할 수 있는 다른 방법이 있을지 조언을 구하고 싶습니다! 그런데 항생제를 넣어주면 contam 잘 일어나지 않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제가 잘못 알고 있는 걸까요..? 그리고 contamination 확인하려면 현미경으로 확인하는 게 맞는지 궁금합니다. transformation해서 키운 competent cell을 현미경으로 본 적이 없어서 생김새는 모르는 상태입니다. 저는 적어도 서로 다른 형태의 cell이 2가지 이상 있거나 하면 comtam이라고 판단할 수 있을 것 같아서 보는 게 맞다고 생각했습니다! Cell 구분이 어렵다면 검색으로 제 com cell 생김새라도 찾아서 비교해 보려구 했구요! 혹시 제 판단이 틀린 걸까요? 감사합니다!
회원작성글 솔로몬이꿈  |  03.22
Q. second PCR-> cloning-> sequencing 가능할까요?
안녕하세요? 환자 DNA의 변이를 haplotype에서 확인하고자, cloning 후 sequencing해서 보려고 합니다.   환자 혈액에서 분리한 RNA를 가지고, cDNA를 만들고, 그다음 gel extraction->cloning->sequencing 단계를 계획하고 있는데요.   환자전혈이 500ul 정도 될까말까하다보니  샘플을 다 써버릴까 걱정이 되어서 RNA를 아끼기위해 cDNA 를 사용하여 PCR를 한 다음 PCR product로 second PCR를 고민하고 있습니다. 제 실험 목표에 적용하여도 되는 실험방식일지 많은 의견 부탁드립니다.   지금 진행단계는 cDNA까지 합성하여서 sequecing으로 서열확인까지 하였습니다. 100ng cDNA로 PCR하고, gel에 2ul loading해보면 ACTB는 어~엄청 빵빵한데 cloning할 유전자는 밴드가 희미해서 second PCR을 고민하게 되었습니다.      
회원작성글 MELLOW  |  03.22
이전  01 2 03 04 05 06 07 08 09 10  다음
실험 회원 등급이란?
실험Q&A 회원등급안내
위로가기
실험 홈  |  실험FAQ
 |  BRIC소개  |  이용안내  |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이메일무단수집거부
Copyright © BRIC. All rights reserved.  |  문의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유튜브 유튜브    RSS서비스 RSS
필코리아테크놀로지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