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Q. |
gas chromatography를 하기 위해 유기용액에서 수소 포집하는 법?? |
|
|
화학관련이라 여기에 질문해도 될지 모르겠는데... 질문할 곳이 없어서 올려봅니다 ㅠㅠㅠㅠ
유기용액에서 발생시킨 수소를 gas chromatography로 분석하려 하는데요... 그걸 위해서 수소기체를 포집해야 하는데 어떤 방식으로 해야할지 모르겠습니다 ㅠㅠㅠㅠ 도와주시면 너무 감사하겠습니다...
|
|
벤젠 | 08.12 |
|
Q. |
p.acne 혐기성 여드름균 더블링 타임 |
|
|
1. 일반적으로 혐기성 여드름균 더블링 타임이 얼마로 나오나요..?
2. 고등학생이 콜로니 수 대략적으로 새서 더블링 타임 구해보는거 괜찮을까요?
|
|
judike | 08.12 |
|
Q. |
western antibody phospho-ser/tyr 차이 |
|
|
웨스턴할때 phospho antibody가 세린과 티로신 두가지가 존재하더라구요.
두 개는 각각 어떨때 사용해야나요?
현재 돼지자궁세포에 ifn-g와 prok1 처리를 하고 ARK, GSK, STAT1, JAK1의 antibody를 붙일려고 하고 있습니다.
|
|
oneday | 08.12 |
|
Q. |
Stripping 횟수 |
|
|
보통 한 membrane을 stripping 하는 최대의 횟수는 어느 정도 인가요? 지금까진 한번씩 해왔었는데 혹시 두세번까지도 가능 한가요?
|
|
쿵쿠따리쿵쿠따 | 08.12 |
|
Q. |
Exoquick TC 사용시 질문 |
|
|
Exoquick TC 이용해서 세포 배지에서 엑소좀 추출을 하였는데,
배지에 바로 ExoquickTC를 넣었습니다.
근데 프로토콜을 보니 세포외 파편 같은 것을 제거하기위해 0.22um filter나 원심분리를 한 뒤 처리하라는 스텝을 보았습니다.
실험 목적은 엑소좀에서 RNA를 뽑으려고 합니다
이런 스텝을 안하게되면 결과에 큰 문제가 생길까요..?
|
|
별헤는밥 | 08.12 |
|
|
Q. |
ug단위로 표시되는 마이크로저울 |
|
|
안녕하세요
현재 g과 mg단위로만 환산이 되는 마이크로저울을 사용하고 있는데요.
혹시 ug단위로 표시되는 마이크로저울을 사용하고 계신분들이 있을까요?
ug단위로 표시되는 저울을 구매해야해서 질문 드립니다!
|
|
d0d0 | 08.12 |
|
Q. |
디스크 확산법 |
|
|
디스크 확산법을 이용해서 항생제와 천연항생물질(생강 계피 마늘) 간의 시너지 효과를 비교해 보려고 하는데요. 세균 억제 정도를 자로 측정해서요 . 제가 생각한 버전이 두 개가 있는데 둘 중에 뭐가 맞는지 잘 모르겠어요.
Ver1은 디스크에 항생제를 떨어뜨린 것을 lb agar plate 가운데 놓고 그 주변에 천연항생물질 추출물을 떨어뜨린 디스크를 넣는 거구요. Ver2는 하나의 디스크에 천연항생물질 추출물과 항생제를 떨어뜨리고 각각 떨어뜨려서 놓는거에요.
- 천연항생물질 종류에 따라 항생제와 함께 사용했을 때 세균의 생장 억제 정도를 비교하고 싶은 것인데 어떤 버전이 맞을까요.
- 그리고 만약 ver 2로 한다면 디스크에 떨어뜨릴 때 만약 항생제를 먼저 떨어뜨렸다면 그 디스크를 말리고 또 추출물을 떨어뜨리는 식으로 해야 하나요?
사진이 안 올려지네요ㅜㅜ 죄송합니다 글 보고 한번 피드백 주세요. |
|
허브민트 | 08.12 |
|
Q. |
Bend3 cell로 transwell insert co-culture해보신 분 계신가요? |
|
|
다름이 아니라 transwell isert를 PTFE 재질로 coculture를 하려고 하는데요,
cell을 insert에 seeding하고 나서 부착이 되었는지 확인을 해보면 전혀 안정적이게 붙은 상태가 아니라서요 ㅠㅠ
insert 안에는 bend3 cell, 6well plate에는 MO3.13 cell을 seeding해서 co-culture를 할 예정입니다.
검색해보니 insert안에 matrigel 같은 것으로 코팅을 하는 경우도 있던데
bend3 cell로 co-culture 해 본 선생님들은 답변 부탁드립니다ㅠㅠ
|
|
소취 | 08.12 |
|
Q. |
약전 미생물한도시험 |
|
|
제품에서 허용 가능한 미생물 회수 결과를 얻기 위해 가장 낮은 희석 배율의 검액으로 준비한다
이 뜻이 잘 이해가 안돼서요..! 가장 낮은 희석배율의 뜻이 희석을 여러번 하지 않은 비교적 높은 농도의 상태인가요?
또한 허용 가능한 미생물 회수 결과는 제품별로 정해져 있는 미생물 결과 기준치를 넘지않는 결과값 이라는 뜻인건가요?
|
|
yaam | 08.12 |
|
Q. |
은거울반응시 포도당의 산화 |
|
|
고등학생이라 지식이 얕은 점 미리 사과드립니다.
사슬형 포도당만이 글루콘산으로 산화 가능한데 그 존재비율이 약 0.02%로 매우 적어 은거울 반응의 알데하이드로 포도당을 사용했을 때 산화가 천천히 일어나고, 그 덕에 톨렌스 시약의 은 이온또한 천천히 환원되어 콜로이드가 형성되지 않고 유리면이 은으로 균일하게 코팅될 수 있다.
이렇게 알고있는데 틀린 부분이 있나요?
고리가 열린 포도당만 산화 가능한 이유가 뭔가요?
|
|
으너둔 | 08.12 |
|
Q. |
transfer O/N할때 전류와 전압 |
|
|
지금까지 70kDa이하의 단백질들만 웨스턴을 하였는데 이번에 처음으로 80~90대와 130kDa 사이즈의 단백질들을 웨스턴 하게 되었습니다.
교수님께서 separating gel 조성도 8%정도 해야하며 트랜스퍼도 4도에서 overnight해야 트랜스퍼 된다고 하시는데
저희 실험실에서 보통 트랜스퍼할때 통외부를 얼음으로 감싸고 20%메탄올첨가된 트랜스퍼버퍼를 붓고 안에 아이스팩도 넣고 실온에서 100v, 0.4A , 1시간 30분을 해주고 있습니다.
트랜스퍼를 4도에서 O/N을하게되면 전압과 전류는 어느정도로 해야하며 O/N을 16시간으로 생각하면될까요?
그리고 4도에서 하면 통안에 아이스팩 넣지않아도 되나요?
알려주세요ㅜㅜ 부탁드립니다.
|
|
oneday | 08.12 |
|
Q. |
gc/ms 를 측정하는데 internal standard에 대해서 질문합니다 |
|
|
휘발성 물질을 Ethylacetate로 추출 하고 탈착용매를 methanol로 사용을 할건데 internal standard 도 같이 넣고 싶습니다
E.A에다 istd 넣고 추출을 한다음에 Methanol 를 넣는건지
E.A를 추출한 다음에 Methanol과 istd를 넣고 분석을 하는건지 몰라서 질문합니다.
감사합니다!
|
|
초짜임다 | 08.11 |
|
Q. |
gallic acid 등 hplc 표준물질 피크 retention time 질문드립니다  |
|
|
hplc로 polyphenol standard를 찍고있습니다
gallic acid 와 p-coumaric acid 등을 찍고있는데
몇일전 찍었던 피크와 오늘 찍은 피크의
retention time이 좀 차이가 있는데
어떤부분의 영향이 미쳤을까요...??
컬럼 세척을 충분히 하고
블랭크로도 두어번찍고 진행하였는데 이러네요
용매는 methanol : 0.1 phosphoric acid(water)를
3:7로 하여 컬럼온도 40도로 설정하여 C18 컬럼이용하여 1ml/min으로 설정하였습니다 |
|
흰털누누 | 08.11 |
|
Q. |
항온기에서 식물 재배가 가능할까요? |
|
|
고등학생입니다
온도 상승이 식물(완두)의 생장과 후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실험을 계획중인데요, 항온기 말고 온도 변인을 통제할 마땅한 방법이 생각나지 않습니다. 조언 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
|
아서왕 | 08.11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