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Q. |
칼슘 정량 |
|
|
뼈에서 칼슘 정량할 때 어떤 방법이 있을까요?
|
|
호ㅗㅗㅓㅓ | 2022.12.15 |
|
Q. |
수지상세포가 T 세포 co-stimulation 정도 재고 싶을 때 |
|
|
안녕하세요,
Dendritic cell이 T cell co-stimulation 하는 정도를 재야하는데
CD80나 ICOS 등 통한 co-stimulation의 정도만 보고 싶어서
T cell receptor는 어느정도 약하게? activate 시켜서 걱정 안할 수 있게 하고 싶은데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피에서 추출한 naive T cell 에 그냥 넣어주면 적절히 MHC 랑 TCR 에 잘 붙는 그런 antigen/tetramer 있나요?
다른 제안도 감사드립니다.
|
|
bluebird | 2022.12.13 |
|
Q. |
immunofluorescence 논문 내용 중 해석 질문드립니다 |
|
|
면역형광법 실험 관련 논문 보는 중에 궁금한 것이 있어 질문드립니다
해당 figure 내용이 Further double immunofluorescence staining revealed that MyD88 was highly expressed in α-SMA+ myofibroblasts in the AOM/DSS model (Figure 1C) 인데 내용이 의하면 α-SMA의 발현이 높으면 myd88 발현도 높아지는 것으로 받아들여졌는데 figure에서는 aom/dss 처리 후 120days에 myd88의 발현은 점점 높아지는데 α-SMA 발현은 오히려 10days 보다 감소한 것이 아닌가요?
형광으로 염색되어 보이는 것을 발현 됐다고 해석하는게 맞는지 궁금합니다ㅜㅠ
|
|
rlatmddus | 2022.12.13 |
|
Q. |
Acinar cell(AR42J) inflammation 실험 해보신 분 계실까요? |
|
|
ATCC 에서 AR42J cell을 구매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ATCC에서 받은 설명서 따라서 F12K media에 20%FBS로 배양하여
passage5~7정도 왔습니다.
가볍게 cerulein+LPS를 treat하여 농도를 잡아보려고
논문들 참고하여 실험해서 ELISA로 측정해 봤는데, 결과가 전부 <0pg 으로 나오고있습니다 ㅠㅠ
지금까지 해 본 setting은
모두 24well에서 진행했습니다.
Final농도/ LPS: Non-treat, 100ng/ml 고정
Final농도/ cerulein: Non-treat, 100nM, 1uM
cell number: 1E+5(50,000cells/cm2), 5E+5(250,000cells/cm2)
Time: 8hour, 24hour
심지어 cell을 24well에 seeding하면서 LPS,cerulein 을 treat,
24well에 seeding 후 24hour 뒤 LPS,cerulein media change 조건에서도 해보고,
다른 논문들 보니까 DMEM으로도 키우는것 같아서
DMEM으로도 media바꿔보고
어차피 24hour~48hour만 배양할거 24well seeding시 FBS도 빼보고 다 해봤습니다만,
논문에 의하면 최소 60~100pg/ml은 나와야할 것 같은데 5pg/ml이하(사실상 안나온거라고 할 수 있죠... )로 나오네요...
사소한거라도 좋으니...
해본 적 있거나 수정해야할 부분 보이시면
선배님들 도와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
dkdlstoddk | 2022.12.13 |
|
Q. |
H&E Staining 의뢰 |
|
|
안녕하세요. H&E staining 의뢰를 맡기려고 합니다.
Fixed tissue이며 paraffin block + section + stain 을 하려고 합니다.
서울지역이나 전북지역 대학 중 빠르고 추천해줄 곳이 있으시면 말씀부탁드립니다.
|
|
분자생물왕 | 2022.12.12 |
|
Q. |
ChIP PCR 질문 |
|
|
ChIP qPCR을 이제 막 공부하는 중입니다.
제 질문은 ChIP PCR을 하는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제가 보는 논문에서 ChIP qPCR은 DNA에 Binding 하는 Protein(Histone이나 Transcription Factor 등)을 Immunoprecipitation으로 제거하고 DNA만을 회수하여 qPCR을 합니다.
여기서 궁금한 점은
이미 Protein이 Binding 하는 서열을 알고 있다면 굳이 qPCR로 정량을 할 필요가 있는가? 입니다.
PCR로도 어느 정도 대강 정량이 가능할테고, 그 외에 다른 방법으로도 얼마든지 정량을 할 수 있을텐데 굳이 왜 ChIP을 하는지요?
만약 Protein이 Binding 하는 서열을 모른다면 Primer는 어떻게 짤 것인지, Specific 하게 PCR 되는지 어떻게 알 것인지요?
|
|
TMV세균맨 | 2022.12.09 |
|
Q. |
IL-2 없이 NK cell culture |
|
|
안녕하세요.
혹시 IL-2 없이 NK cell culture가 가능할까요?
저는 현재 LPS를 이용한 자극을 생각해보고 있는데, LPS로 IL-2를 대체 가능할까요?
|
|
dj_hwn | 2022.12.07 |
|
Q. |
기초적인 1st 안티바디 농도 관련 질문입니다. |
|
|
기초적인 실험 질문입니다
1st anti-body를 1:1000의 비율로 제작하여 쓰려고 합니다
그 항체의 농도가 200ug/ml 이라고 되어있는데
제가 제작 하려고하는 총 볼륨이 10ml 이라면
항체를 얼만큼 넣어서 사용해야하나요?
기초적인 질문이지만 너무 헷갈리네요
|
|
sintaro | 2022.12.07 |
|
Q. |
Immune cell infiltration 구분 방법 도와주세요.. |
|
|
현재 inflammation model을 만드는 실험을 하고있습니다..!
다만 제가 아직 부족한 닷인지 immune cell infiltration과 peyer's patches의 구분이 어렵습니다...
염증을 유도한 intestine 조직을 H&E staining을 진행했는데, 해당 부분이 infiltration이 일어난 부분이 맞는지, 아니라면 peyer's patches 부분인지 구분이 안 갑니다.
확실히 구분이 가능한 방법이 혹시 있을까 싶어 도움을 청합니다!
선배님들의 도움 기다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
기린목김 | 2022.12.06 |
|
Q. |
Elisa blank 설정 |
|
|
안녕하세요
Elisa 셋팅 중 질문 드립니다.
현재 제가 사용하는 시스템에서
A 단백질 코팅 -> B단백질-biotin 반응-> streptavidin-hrp순으로 반응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때 블랭크로 1: A코팅, streptavidin 반응/
2: B-biotin+streptavidin 어떤게 적절하다고 생각하시나요? 2번을 계속해서 블랭크로 사용하였는데 블랭크 발색이 너무 심해 질문드립니다.
답변해주신다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
|
호로요이 | 2022.12.06 |
|
Q. |
cell line 구매 |
|
|
안녕하세요. 석사 1학기 대학원생입니다.
cell line 구매와 관련하여 도움을 받고자 글을 올리게 되었습니다.
이번에 C57BL/6 Mouse Bone Marrow Neutrophils (Catalog No. C57-6029F) 가 필요해서 구매를 하려고 코람 바이오텍에 문의 드렸더니 cell biologics 제품은 판매하지 않는다는 답변을 받았습니다.
그래서 다른 회사에 문의드리고 싶은데 코람 바이오텍과 같이 cell line 구매 대행업체에 대해서 알려주실 수 있으신지 여쭙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
|
나의라임오렌지나무 | 2022.12.02 |
|
Q. |
DTR mouse에 대해 알려주세요!! |
|
|
안녕하세요! 학부 연구생입니다.
지금 연구참여하고 있는 랩실에 MGL-2 DTR 마우스가 있는데요.
이 마우스는 MGL-2도 발현하고 DTR도 발현하는 것인가요?
아니면 MGL-2 대신 DTR을 발현하는 것일까요?
구글에 아무리 찾아봐도 정확한 답은 찾기가 어려워서 이 곳에 질문드립니다..
제발 알려주세요...!!!
|
|
paca | 2022.11.29 |
|
Q. |
IF double staining 관련 질문 |
|
|
두가지 primary 항체를 써서 각각 다른색으로 labeling하려고 하는데요,
만약에 다른 1차항체 두개가 같은 단백질에 결합할 수 있으면 두 색으로 모두 염색되는게 아니라 결합자리를 경쟁하게 되어서 하나의 색으로만 염색이 되는건가요?
예를들어,
1차항체 #1 (초록색): A단백질, B단백질
1차항체 #2 (빨간색): B단백질, C단백질
위와 같이 반응시키면, B단백질은 초록색/ 빨간색으로 둘 다 염색이 되는게 아니라
둘 중 하나의 색으로만 염색되는건가요...?
|
|
snkd | 2022.11.29 |
|
Q. |
IHC .. Dehydrate 질문드립니다. |
|
|
안녕하세요
최근들어 조직염색을 하고 있는 대학원생입니다.
조직을 염색하는데 프로토콜마다 좀 다른것같아서요..
파라핀 조직이고 deparaffin 하는건 알겠는데
(자일렌-알콜 고->저)
Dehydrate 할때
알콜 저->고농도 하고 자일렌하고 끝내는 것도 있고 (ex>H&E)
그냥 absolute alcohol 으로 끝내는 것도 있는데..(ex>sirius red)
이게 무슨 차이가 있는건지 궁금합니다.
DAB염색시 자일렌을 해주는게 좋은가요?(이것도 프로토콜마다 달라서..)
그저 키트마다 다른건지.. 마지막에 자일렌을 무조건 해주는게 좋은건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absolute alcohol으로 끝냈을때 마운팅은 지용성으로 해야하는지 수용성으로 해야하는지도 궁금해요...
감사합니다!
|
|
찌랭이 | 2022.11.28 |
|
Q. |
현미경 으로 동물조직을찍을때 |
|
|
현미경에서 동물조직을 찍을때, DAPI와 594 red signal을 확인을 해야하는데요.
컨트롤(약물을 처리하지 않은 샘플)을 우선 찍으려고 아이스피스로 봤을때 잘보이는데, 현미경컴퓨터상에서는 흐리게 보여 레이저 파워를 조절한다면, 그 다음 대조군(약물처리한 샘플)에서는 DAPI 레이저 조절를 하면 안되는건가요?
차이를 비교하려면 어떻게 조건을 잡아야하는지 궁금합니다. ㅠㅠ 초보라 많이 어렵네요
|
|
초코파티 | 2022.11.25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