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Q. |
Hoechst, DCFDA 염색 문의드립니다. |
|
|
살아있는 세포에 Hoechst와 DCFDA를 염색하려고 합니다.
Hoechst는 DPBS에, DCFDA는 HBSS에 녹여 사용합니다.
그러면 염색할 때 Hoechst를 먼저 하고 DCFDA를 염색해야 하나요?
아니면 두개를 한 번에 염색해도 될까요?
염색 농도가 시간은 어느 정도 되는지도 알려주시면 감사합니다.
이전 기록이 없어서 찾아보며 하고 있습니다ㅜㅜ
|
|
차몬드 | 08.11 |
|
Q. |
migration할때 FBS 첨가하나요? |
|
|
migration을 하고 있는데 실험실에 protocol이 없어서 논문만 엄청 찾아보았는데 FBS를 첨가한다는 말은 전혀 없더라구요. 그래서 그대로 했는데 세포가 이동을 안했습니다.
다른 실험실 지인 FBS를 첨가해야 이동을 한다고 하여서 10%fbs를 트리트먼트하고 30분뒤에 첨가하니 정말 이동을 하더라고요.
근데 원래 migration에 fbs 첨가하는게 맞나요?
저희는 처음부터 셀 시딩을 많이 하여서 3~4시간이면 처리한 cell들은 가운데로 다 붙습니다.
논문에 안써있어서 FBS를 첨가하는게 맞는건지 10%를 넣는것이 맞는건지 궁금합니다. 도와주세요!!!
|
|
oneday | 08.11 |
|
Q. |
고등학생 암세포 관련하여 질문드립니다. |
|
|
안녕하세요.
저는 일반고에 재학중인 한 고등학생입니다.
평소 암과 관련해서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중에, 학교에서 수업시간에 암에 대해 배우고 난뒤 이와 관련된 심화 탐구활동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제가 관심있는 분야는 암의 발생과 관련된것에 관심이 있는데,
특히, 암의 발생원인 중 하나로 여겨지는 환경오염이나 담배연기와 같은 환경적인 요인으로 인한 암 발생에 관해 심화탐구를 하고 싶습니다.
친구와 머리를 맞대고 여러가지 실험방법들을 고민해보았지만, 학교안에서 실험을 진행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는 것같아 고민입니다.
혹시, 위와 관련해서 학교안에서 진행할만한 실험이 있을까요?
아니면, 암과 관련해서 할만한 실험에 대해서도 조언해주시면 감사합니다!!
|
|
지나가는 행인1 | 08.10 |
|
Q. |
MTT assay protocol |
|
|
안녕하세요.
물질의 보호효과를 보기위해서 pretreat 개념으로 약물 처리 후 독성을 쳐서 cell viabilty를 확인하고자 mtt assay를 진행 중에 있습니다.
여러 프로토콜을 찾아보다가 저희 실험실에서 사용되어온 프로토콜이랑 달라 여쭤봅니다.
저는 cell seeding 24hr뒤 약물 처리 시간 지난다음 독성물질 24hr을 처리한 뒤 MTT 시약을 처리하는 데요.
MTT 시약 5mg/ml 을 pbs에 녹인 후 1/10 dilution(0.5mg/ml) 된 mtt 시약을 처리합니다.
대부분의 프로토콜에서는 미디어 제거 후 페놀레드가 없는 미디어 90ul+mtt시약(5mg/ml) 10ul 처리하던데
저희 방에서는 페놀레드가 없는 미디어 대신 pbs에 희석하여 처리하는데 괜찮은 걸까요?
cell culture medium에 희석해서 사용해야하나요?
정리하자면 저희방에서는 0.25g/50ml (10xmTT시약)이라 칭하고 1x로 희석하여서 바로 처리하는데 그 희석 용액이 pbs인데 맞는 건가 해서요. ㅠㅠ
cell culture medium을 사용해야한다면 MEM gibco 제품 사용하고있는데 혹시나 MEM phenol red 없는 제품 사용하시는 분 계시면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
|
힝아 | 08.10 |
|
Q. |
buffer의 역할 |
|
|
엽록체 분리 실험에서 grinding buffer가 사용이 됩니다.
그 성분에는 sorbitol, sodium pyrophosphate, mgcl2 ascorbic acid 가 있는데 이 성분이 어떻게 엽록체 파쇄에 도움을 주는지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buffer라는 건 ph를 일정하게 유지시켜주는 건데 grinding buffer은 이러한 ph 유지 역할이랑은 관련이 없어 보이는데 왜 buffer라고 하는 건가요
관련 자료라도 올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ㅜㅜ
|
|
곧3 | 08.10 |
|
Q. |
안녕하세요 암세포 배양하는 실험실 계신 분들 혹시 회사에서 요청하는 실험 해주시기도 하나요? |
|
|
안녕하세요
암세포 관련하여 의료기기 만드는 회사에 있습니다.
암세포 배양해서 저희 제품에 노출시킨 후 암세포 얼마나 사멸되는지 실험해보고자 합니다.
혹시 계시는 연구실에서 회사의 요청을 받아서도 실험 진행하는지 궁금합니다.
폐암세포 생각하고 있고 어렵다면 다른 암세포도 상관 없습니다.
제품은 저희쪽에서 제공하므로 배양하고 사멸한 정도만 측정해주시면 됩니다.
가능한 연구실 있을까요?
|
|
shooin33 | 08.10 |
|
Q. |
젖당 오페론 실험 배지 조성 |
|
|
기본 lb broth
포도당 넣은 lb broth
젖당 넣은 lb broth
이렇게 세가지 배지에서 키운 대장균을 분광광도계로 생장곡선을 비교해볼 생각인데 기본 배지 조성을 1L의 LB medium 기준으로 10g의 트립톤과 5g의 효모 추출물, 10g의 NaCl 라고하면 포도당과 젖당은 어느정도 첨가해야 적절할까요?
|
|
luxxuria | 08.10 |
|
Q. |
ImageJ로 형광 정량하는 법이요 ㅠㅠ |
|
|
imageJ로 세포 형광 정량하려고 하는데,
저같은 경우는 colocalization을 한거라, 같은 위치에서의 두 형광 시그널을
받아 비율을 보려고 하는데, (red대비 blue의 형광을 보려고합니다)
Split channels->Threshold 설정-> Analyze particles를 사용하면 red와 blue의 point가 다릅니다.
저 위의 사진은 20x에서 찍은 셀을 제가 직접 누끼(?)딴건데 교수님께서는 정량하려면 최소 150 cell 직접 따거나 10x 5장으로 정량하라고 하십니다.
혹시 같은 위치에서 2가지 채널의 시그널을 정량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제가 일일히 따야하는걸까요? 도와주세요..
|
|
컬쳐룸도비 | 08.10 |
|
Q. |
starvation할때도 cell 증식하나요? |
|
|
brdu를 하려고 하는데 1*10^4cell/100ul로 시딩을 해주고 있습니다.
seeding 24시간 후에 starvation 24시간하고 treatment를 24시간을 하고 brdu를 합니다.
교수님께서 1*10^4cell/100ul로 시딩하면 실험하는 3일동안 너무 많이 증식하지 않을까 걱정하시더라구요.
근데 시딩 후 24시간후에 보면 20%정도 confluency 합니다.
starvation할때 medium에 1%의 penicillin streptomycin듣어가 있는 medium을 분주하고있습니다. treatment할때도 이 starvation medium에 처리하고 분주하고 있습니다.
FBS가 들어가지 않은채로 2일이상있는 건데 cell 증식 할 수 있나요?
아니면 seeding후에 cell이 60% confluency하면 starvation을 하는게 맞을까요?
|
|
oneday | 08.10 |
|
|
Q. |
실험 대행 업체가 궁금합니다. |
|
|
암세포에 어떤 특별한 장치 (의뢰한 회사에서 제공)를 설치하여 암세포의 사멸정도를 확인하려는 실험을 하고 싶은데 대행 또는 용역 업체가 있나요..?
|
|
shooin33 | 08.09 |
|
Q. |
cell culture시 cell 쏠림 |
|
|
안녕하세요 cell culture를 하는데 매번 cell이 한 쪽으로 쏠리는 경향이 자꾸 생기네요..
이걸 differentiation 해도 되는건지 싶습니다.
한쪽은 60% 정도인데 한 쪽은 80~90% 정도 되어보이고.. 그냥 기다려야할지 고민이네요..
|
|
별헤는밥 | 08.09 |
|
Q. |
live imaging |
|
|
APC gene mutation 된 MACF10를 ctl 10A와 비교하여
b-catenin 의 nuclear translocation을 confocal로 live image 찍으려고 합니다.
cell이 살아 있는 상태여야해서 fix는 안될 것 같은데
Ab가 nucleus안까지 들어갈까요?
cell에는 damage 주지않으면서
Ab를 넣는 방법 뭐가 있을까요?
의견 부탁드립니다.
|
|
새슬 | 08.08 |
|
Q. |
muscle primary cell 분화 실험이 진행이 안됩니다. |
|
|
chicken 다리 근육에서 얻은 primary cell입니다.
sorting은 percoll로 진행하고 있는데요
differentation 실험중에 있는데 Hores serum를 10%, 5%, 2% 로 각각 처리하면서 최적화중에 있습니다. 다른 논문들을 찾아보니 재각각으로 처리하는 논문들이 많고 해서 다양한 농도로 진행하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P0 즉 바로 얻은 cell에서는 따로 HS를 안쓰고 FBS에서 분화가 자연적으로 발생하는데 P1에서 HS 및 FBS로 분화 유도를 하면 myotube가 형성되기 전에 cell들이 막이 생기면서 바닥에서 떠오르면서 공처럼 뭉치고 있는데 왜 그럴까요?
|
|
정오 | 08.08 |
|
Q. |
fluorescence reader 시 black plate bottom 관련 |
|
|
이번에 ROS 측정을 하려고 protocol을 확인중에
black plate clear bottom을 쓰라고 되어있더라구요
근데 랩실에서는 막힌거만 있고, 현재까지 FL 측정시에 문제 없었거든요
suspension cell 가지고 실험할거라서 clear bottom으로만 측정해야하나요?
다른랩에서 하는 걸 보니, clear bottom을 막아서 측정하시는 분도 계시던데..
bottom reading 하는게 아니면 clear를 안써도 되는 건가요?
plate의 종류 때매 너무 헷갈리네요
|
|
YeKy | 08.08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