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BUG-WINDOW 처리영역 보기]
즐겨찾기  |  뉴스레터  |  오늘의 정보 회원가입   로그인
BRIC홈 실험
이엔셀
배너광고안내
이전
다음
스폰서배너광고 안내  배너1 배너2 배너3 배너4
BioLab 신광 교수
전체보기 안전점검 LABox
 카테고리: 전체 > Molecular Biology-DNA > etc.
Mol. Biol.-DNA Mol. Biol.-RNA Mol. Biol.-Protein Immunology
Cell Biology Microbiology Plant Biology Laboratory Animals
Omics Chemical biology Bioinformatics Laboratory Equipments
Buffer/Reagent Bioethics Etc.
카테고리 전체보기펼치기
질문/투표/프로토콜 등록
Q. crispr 스크리닝 질문 있습니다. (sgRNA)
Target gene이 정해져 있지 않은 상태로 Random하게 gene을 knock out 시키는 crispr screening을 하고싶은데 국내에는 진행할 수 있는 회사가 있나요? 외국에서 원하는 기술을 진행하는 회사를 찾았는데 12억정도 한다고 하더라구요..
회원작성글 그것이알고싶다  |  2021.07.14
Q. EXPAR 반응
<유전자 가위를 이용한 새로운 유전자 돌연변이 검출 기술 개발> 이 기사를 읽고 정리하던 중에 EXPAR반응이라는 것에 의문을 가졌습니다. 제가 이해한 바로는 EXPAR반응도 PCR과 같은 반응으로 핵산을 증폭하는 반응인데 PCR보다 더 효율성이 있는 반응인건가요? 또, 이 기사에서 EXPAR반응의 최종 결과물인 이중나선에 형광물질이 결합하여 강한 형광 신호를 냄으로 유전자 돌연변이를 고감도로 검출할 수 있다고 하는데 이를 실시간 PCR의 과정인 et-br을 이용해 즉 형광탐침법을 사용한 것이라고 이해해도 되나요?
회원작성글 MDI  |  2021.07.12
Q. DGGE 시 gel에서 밴드 퍼짐현상ㅠㅠ
DGGE 시 band가 자꾸 퍼지게 나옵니다ㅠㅠ 왼쪽과 오른쪽 결과 모두 제가 실험한 것인데 neat하게 밴드가 뜨던게 갑자기 퍼지게 나오기 시작했습니다.   시약도 전부 새로 다시 제조해서 사용해봐도 똑같이 번져서 혹시 전기영동할 때 전압이 균일하게 걸리지 않거나? 하면 퍼질 수가 있나요?   시료 때문이라고 생각도 해봤는데 동일한 시료를 사용해서 gel이나 전기영동 하는 과정에서 뭔가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ㅠㅠ 아니면 loading dye에 뭔가 문제가 있을 수 있을까요?   제발 도와주세요....ㅠㅠ
회원작성글 ㅇㅋㅇㅋ  |  2021.07.07
Q. LB broth centrifuge
LB에 S.aureus , E.coli 키우고 centrifuge 하려고 하는데 혹시 몇 rpm에 몇 분 해야할까요?
회원작성글 예뿌니  |  2021.07.01
Q. Agarose gel electrophoresis 과정 중 첨부파일
Agarose gel 전기 영동 후에 well에 가깝게 걸려있는 저게 무엇인가요? 레더는 1kb짜리 사용하고 있습니다. 제일 위에 있는 것이 8000bp 입니다. 내려서 확인하고자 하는 샘플의 bp는 30000을 넘어가긴하는데 그게 레더 보다 약간 높게 위치한 제일 위에 밴드라고 생각하고 실험 진행했는데,  well 바로 밑에 있는 band가 무엇인지 궁금하네요. 사이즈가 너무 커서 그런건가요??
회원작성글 굥굥  |  2021.06.30
Q. 오염방지를 위해 에탄올에 락스
안녕하세요  혹시 오염 방지를 위해 에탄올에 락스를 넣어준다는데 어느정도 넣어줘야하는지 에탄올과 락스 비율을 알수있을까요?
회원작성글 kimk1128  |  2021.06.30
Q. DNA추출
안녕하세요. 생명쪽 전공이 아니어서 궁금한게 많은 1인입니다.   다름이아니라, DNA 추출하기 전 (퀴아젠 키트 사용) rnase away를 사용해서 클린벤치 및 주변을 닦아야 하나요?  저는 RNA추출 할 때만 사용했습니다. DNA도 사용해야하는건가해서요. DNA 추출하기 전에 Etoh로만 클린벤치 및 실험주변을 닦아도 되지않나요?   감사합니다.     
회원작성글 면역쟁이  |  2021.06.28
Q. micro injection vector 농도 질문입니다!
실험셋팅중인 초보자입니다ㅠㅠ   mouse로 micro injection 할 때 전핵에 DNA 농도 몇ng/ul로 처리하시나요? 제가논문 찾아보니 2ng/ul로 전핵에 2pl 넣으면 된다라고 하는데 물론 유전자별로 발현정도에 따라 농도가 다를거라 생각합니다! 보통 전핵에 injection 할 때 vector 농도 몇으로 처리하나요??   Genetically Engineered Mice by Pronuclear DNA microinjection 제가 찾아본 논문 제목 입니다. p7-9에 그 내용있네요.   실험고수분들 도와주세요ㅠㅠ 감사합니다!
회원작성글 실험싫엄  |  2021.06.23
Q. 금나노입자 reaction buffer 제조에 관련한 질문입니다.
​​​​​​아직 서투른 석사입학생입니다..  금나노입자와 DNA 관련 실험을 하는데 리액션 버퍼를 제조해야합니다.    리액션 버퍼 제조시           -100 mM NaCl -50 mM Tris-HCl -10 mM MgCl2 -100 μg/mL BSA 가 들어갑니다.   total volume 100ml로 만들고자 합니다.   NaCl의 분자량이 58.44입니다. Tris-HCl ,MgCl2는 솔루션 상태로 둘 다 1M 입니다.   NaCl은 584.4 mg Tris-HCl ,MgCl2는 각각 5 ml, 1 ml BSA는 10mg 를 넣으면 되는걸까요?  
회원작성글 난홉아  |  2021.06.21
Q. cracking 결과 해석할 때 헷갈리는 점이 있습니다. 첨부파일
특정 dna 일부를 plasmid vector에 ligation 시킨후 대장균에 transformation 하고 cracking을 했는데 결과 해석을 잘 못하겠습니다.  보통 cracking을 하면 사진과 같이 chromosomal dna, plasmid dna, rna가 위에서부터 순차적으로 나오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왜 chromosomal dna의 길이가 신장된 것이 plasmid vector에 insert가 삽입된 것을 의미하는지 모르겠어요. insert는 plasmid vector에 넣었으니 따지고 보면, 중간의 띠(plasmid dna)의 길이만 길어져야 하는 거 아닌가요???
회원작성글 Friday00  |  2021.06.15
Q. Nanodrop purity 관련하여..
안녕하세요 나노드롭 관련하여 질문드립니다. 제가 pcr purification을 하면서  EB Buffer로 elution을 한 후 농도를 측정했을때,  농도 및 purity가 아래와 같이 나왔습니다. ng/ul 260/280 260/230 6.3 2.20 2.29 그리고나서 동결건조(dry)를 한 후, TE , DW로 녹여 재측정한 결과, 아래와 같은 결과가 나왔습니다. 특히 260/230 이 많이 낮아졌는데요.. TE DW ng/ul 260/280 260/230 ng/ul 260/280 260/230 4.2 2.16 0.67 5.0 2.29 1.45 녹이는 거에 따라 특성이 틀려 순도가 변하는거 같은데 정확한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회원작성글 kimk1128  |  2021.06.10
Q. RFP로 SDS-PAGE를 진행하였는데
RFP를 각각 10배, 20배 희석해서 loading 했는데 20배 희석한 protein sample band가 10배 희석한 protein sample band보다 두껍게(선명하개) 나왔어요 잘못된거 아니죠? 잘못된게 아니라면 왜 20배 희석한게 더 두껍게 나온걸까요? 아려주세요 
회원작성글 기린기린99  |  2021.06.09
Q. PCR(genotyping) 시 false band 첨부파일
 안녕하세요 선생님들  마우스 genotyping에 의문이 생겨 질문글을 올립니다.    마우스를 새로 들여와 genotyping을 하고 있는데, Negative control 에서도 밴드가 나와 구별이 쉽지 않습니다.    먼저 첨부한 사진을 한 번 봐주시면  열마리의 새로운 마우스들을 genotyping 한 결과입니다.  350bp 에서 Wild type band가 열 마리 모두 보이고 있고, 160bp 부근에서의 mutant band는 확실히 보이는 개체도 있지만 대부분 흐릿하고 진짜인지 확신 하기가 어렵습니다.   exposure를 길게 하면 band가 나온 것 처럼 보여서 모두가 hetero 라고 말할 수 있을 것 같지만 확실하게 짚고 넘어가기 위해 mutant band가 흐릿했던 6, 7번 마우스를 negative, positive control 과 함께 전기영동 해보니 아래 사진과 같은 결과가 나왔습니다.  negative는 이 마우스와 관련 없는 다른 라인의 마우스 두 마리를 사용했고, positive는 mut band가 확실하게 보였던 10번 마우스를 사용했습니다.   보고자 하는 유전자와 전혀 관련없는, 다른 라인의 마우스에서도 mutant 사이즈에 band가 보이는 이런 현상을 겪어보신 선생님들이 계신가요? band가 진한것과 흐린것 두 가지로 분명하게 갈리면 구분을 할 수 있겠으나 꼭 그렇지도 않고, negative control에서 흐릿하게나마 정확한 사이즈에 band가 보여 이해가 잘 되지 않습니다. 혹시 이런 현상에 대해 사소하게라도 알고 계시는 부분을 말씀해주시면 문제해결에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PCR 조건은 Jackson lab 사이트에 나온 것과 동일하게 진행했습니다.
회원작성글 nomask  |  2021.06.08
Q. agarose 추천
PCR 이후 agarose 전기영동에서 사용할 agarose를 구매할려고 찾아보고 있는데 너무 다양하더라고요   혹시 가장 흔하게 사용하거나 추천하는 agarose가 있을까요?
회원작성글 샌애기연구원  |  2021.06.02
Q. P value 값 구하는 법
이 자료값에서 Pvalue를 구해야 하는데 어떻게 구할수 있을까요? 아직 익숙치 않아서 부탁드리겠습니다.
회원작성글 미노수  |  2021.05.22
Q. DNA loading 을 PAGE gel에 가능할까요?
  안녕하세요, sonicator로 DNA를 쪼갠 후, 100-200bp 사이로 잘 나누어졌는지 확인을 위해 DNA size를 보려합니다. 문제는 현재 Biorad Vertical Electrophoresis 기기와 page gel 만이 실험실에 있는 상황입니다. DNA ladder 를 구매하여 해당 기기와 gel을 이용해서 대략적인 DNA크기만이라도 볼 수 있을까요? 혹시 해보신 분이 있다면 조언주셨으면 감사하겠습니다. 다른 방법으로 DNA size 를 확인할 수 있다면 해당 방법 공유해주시면 매우 감사하겠습니다.  
회원작성글 안녕하세욜  |  2021.05.21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실험 회원 등급이란?
실험Q&A 회원등급안내
위로가기
실험 홈  |  실험FAQ
 |  BRIC소개  |  이용안내  |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이메일무단수집거부
Copyright © BRIC. All rights reserved.  |  문의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유튜브 유튜브    RSS서비스 RSS
필코리아테크놀로지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