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Q. |
Cell thawing 과정 중 cell 해동 |
|
|
Cell stock을 water bath에 담궈서 해동을 시킬 때, 얼려진 것이 하나도 없이 완전히 녹을 때 까지 워터 베이스에 놔두는 방법이 좋은가요? 또는, cell이 어느정도 해동이 되었을 때 꺼내는 게 좋을까요?
전자는 워터 베이스 안에 있는 시간이 길어지는 것 같아서 제 노파심에 어느정도 해동이 되면 vial을 에탄올로 소독하고 클린 벤치에 두면 다 녹아져 있어서 후자의 방법으로 했는데
제일 좋은 방법은 어떤 것인지 궁금합니다.
|
|
카스테랑 | 07.13 |
|
Q. |
hPSC와 hiPSC의 차이점?! |
|
|
안녕하세요 .
여러 논문을 보며 공부중인데, 궁금한게 있어서요
hPSC와 hiPSC의 차이점이 뭘까요?
논문에 보니 hPSC라고 적는곳이 있고 hiPSC라고 적는곳이 있어서요.
둘다 같은 말인건가요?
중간에 i가 induced. 유도된... 이라는 건데;;
정확하게 둘간의 차이가 먼지 모르겠네요
hiPSC culture할 때, hPSC media라고 적힌 조성대로 만든 media를 사용해도 될지 궁금합니다.
|
|
대학원생n | 07.13 |
|
Q. |
세포 배양할때 L-Glutamine 역할 |
|
|
세포 배양할때 media에 high glucose media 사용시 L-Glutamine가 세포에 어떤 역할을 하는지 궁금합니다.
|
|
SoliDeo | 07.12 |
|
Q. |
cell coculture 시에 insert well 현미경 관찰 방법 |
|
|
안녕하세요.
cell 두가지를 co-culture를 하는 데에 insert transwell을 사용하려고 합니다.
다름이 아니라 insert membrane의 cell 이 잘 seeding되었는지 확인하려고 하니 현미경 상으로는 membrane만 보이고 cell 은 관찰이 전혀 되질 않습니다ㅠㅠ
다른 분들은 어떻게 membrane의 cell을 확인하시나요?
|
|
소취 | 07.12 |
|
|
Q. |
HeLa cell counting 하면 이상한게 보이는 데 뭘까요?? |
|
|
안녕하세요, 요즘 여러가지 셀을 키워서 WST-8 을 하고 있는데요...
유독 HeLa cell만 counting 하려고 떼서 트립판블루 염색을 해 보면 꼭 이렇게 지저분한 것들이 많더라구요. 같이 계대 및 seeding 한 MCF-7이나 A549, HCT116 같은 것들은 깔끔한 걸 보면 딱히 트립판블루에 문제가 있는 것 같진 않구요...
이건 sub 하기 전 HeLa cell을 찍은 사진 입니다. 약간 overgrowth 된 부분이 있긴 하지만 저런 이상한 것들이 잔뜩 보이진 않는 것 같아요.
박사님 말씀으로는 저보고 trypsin 처리하고나서 화학적으로 떼야 하는데 물리적으로 니가 팡팡 뚜드리는 바람에 cell이 찢어져서 debris가 생긴 것 같다고 하는데, 저는 트립신 처리하고 배지로 washing 해서 잘 뗐는데...? ㅠㅠ
|
|
전기영동 | 07.12 |
|
Q. |
DMSO 구매관련 |
|
|
업체를 통해 DMSO를 구매하려고합니다.
thermo나 sigma를 통해 구입하려고 찾아보니 가격이 생각했던것 보다 많이 비싸네요.
보통 다들 DMSO를 어디서 어느정도의 양으로 구매해서 사용하시나요?
|
|
대학원생n | 07.12 |
|
Q. |
sds page gel 형광 지저분하게 나오는 이유 아시는분 계신가요~?  |
|
|
cell lysates에서 타겟단백질에 저분자를 공유결합으로 연결해서 형광물질이랑 클릭리액션한 뒤에
전기영동 하고 형광스캐너 사파이어로 스캐닝했는데
깔끔하게 나올 때도 있지만 사진처럼 지저분하게 뭔가 묻어있는 것처럼 보이는 경우가 있어요
gel을 물로 씻어서 찍어봐도 똑같고 원인도 모르고 계속 다시해보고 있습니다. 혹시 아시는 분 있으시면 답변 부탁드릴게용~!
답변주시면 복 받으실 거예요 ㅎㅎㅎ
|
|
후후후후 | 07.11 |
|
Q. |
2X L15 media 만들어보신분 계신가요?? |
|
|
안녕하세요 선생님들
혹시 L15 media 2배로 농축해보신 경험을 가지신분이 있을까요 ??
논문에서는 그냥 파우더 형태의 L15 배지를 사용해서 2X L15 배지를 만들었다고 하는데, 직접 해보니 파우더가 다 녹지를 않더라고요.. 혹시 해당 문제를 겪으셨거나, 문제 해결 해보신분이 있으신가요 ??
|
|
Anchovy | 07.11 |
|
Q. |
seed culture, pre-culture |
|
|
4ml 에 colony를 pick해서 seed를 하고 O/N후에 pre-culture 10ml/ 100ml flask를 진행할 예정인데요
보통 seed culture 배양액 중 1% 정도만 pre culture에 넣어서 진행하는걸까요? |
|
인턴임다 | 07.11 |
|
Q. |
active motif nuclear extraction kit |
|
|
안녕하세요.
만들어 쓰는 버퍼로는 세포질-핵 분리가 잘 되지 않아 active motif 사의 핵 추출 키트를 주문했는데요, 이 키트 효율 괜찮나요?
예전에 다른 회사의 키트를 써봤을 때는 아예 분리가 안 되어서 이 회사 것도 분리가 잘 되지 않을까봐 걱정입니다..
참고로 western blot으로 NF-kB 보고 있습니다.
|
|
<^^> | 07.11 |
|
Q. |
배지 조성 문의.. |
|
|
배지를 만들고있는데,
5 ng ml−1 bFGF 이런 조성이 있어서요.
이번에 막 대학원 들어온 초보인데;;
이 조성은 bFGF를 얼마나 넣어야 한다는 건가요?ㅠ total volume은 50ml입니다.
|
|
대학원생n | 07.11 |
|
Q. |
animal cell stock 보관 궁금한게 있습니다. |
|
|
랩실에서 BAEC으로 animal cell culture 배우고 있는 학부생입니다.
다른 곳도 그런지는 잘 모르겠으나 저희 랩실은 aniaml cell stock을 액체질소에 보관하는데요. cell subculture 후 stock을 만들어서 액체질소에 보관하기 전에 -80도 deep freezer에서 24시간 얼렸다가 액체질소로 옮겨 보관합니다.
근데 여기서 deep freezer에서 24시간 보관하는 이유와 시간이 궁금합니다. 상온에 있다가 액체질소에서 급속히 냉각되면 터질 수 있어서 그런가 싶은데, 혹시 다른 이유가 있을까요?
그리고 24시간이라는 시간은 24시간 전후로 철저하게 지키는 편이 cell에 damage가 덜 가는건지, 아니면 24시간 이상만 된다면 큰 문제는 없는지, 아니면 12~24시간 정도면 괜찮다는 것인지,,,
24시간이라는 시간의 근거가 궁금합니다!
도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
가우미 | 07.11 |
|
Q. |
desalting yield |
|
|
desalting yield가 100% 넘어가는 원인에는 어떤게 있나요? |
|
도리도리곰도리 | 07.11 |
|
Q. |
IL-2 사용법 관련 질문드립니다(제발 도와주세요 ㅠㅠ) |
|
|
안녕하세요 선생님들. 불철주야 연구에 매진하시느라 다들 고생 많으십니다.
저는 PBMC 관련 시약 연구, 개발 하고 있는 소상공인 입니다.
어떤 계기로 NK cells 에 관련하여 호기심이 생기기 시작했고,
NK cells 을 배양 해보고 싶은 마음에 관련 논문 및 프로토콜 숙지 후
생전 처음 써보는 IL-2를 겁없이 50㎍ 짜리 두개를 덜컥 구매했습니다.
(제품 : perrotech 사 Recombinant Human IL-2카달로그# 200-02)
-제품 및 IL-2 정보 주신 '지나가는생물학자' 님 감사합니다 :) -
무식하면 용감하다고..ㅠㅠㅠ 나름 관련 공부 한 사람이라는 안일한 생각으로...
구매시 딸려오는 sheet 나 CoA 에 있는 protocol 로 하면 될꺼라는 용기로 시작했는데요.
첫 스탭 부터 막히기 시작하네요ㅠㅠ 각설하고 질문 드립니다.. 도와주세요 선생님들 ㅠ
-----------------------------------------------------------------------------
제품은 저번 주 에 받고 현 -80(-70set) deep freezer에 넣어놨습니다.
같이온 CoA(sheet) 지 에 있는 Reconstitution 방법에 100mM 의 Acetic Acid 로 녹이는데 0.1-1.0 mg/ml 로 하라고 되어 있습니다. 음... sheet 에 적힌 protocol 은 이게 끝입니다ㅠ
------------------------------------------------------------------------------
질문 1번
Sheet 지에 Acetic Acid로 녹이라고 되어 있어서 Perprotech 사에 전화로 문의를 해보니, Acetic Acid로 녹이는게 가장 효율이 좋고, 기타 다른 물질로 녹여서 효과가 안나오는 것은 Claim 처리가 불가하다 라는 답변을 받았습니다.
여러 논문 및 질문 답변 내용은 보통 PBS로 녹이는거 같은데, PBS로 녹여도 상관 없는건가요??
질문2번
최대한 fresh 한 상태의 IL-2 를 사용 하려고 합니다.
50ml 미디어에 한번 넣어줄 만큼 분주 하려고 합니다.
지금 가지고 있는 IL-2의 양은 50㎍ 씩 포장되어 있는 2 바이얼 입니다. (총 100㎍)
하나를 까서 분주 한다고 하고, 50ml 미디어에 한번 넣어줄 만큼씩 IL-2를 분주 한다고 했을때 50㎍ 를 얼마의 PBS 나 Acetic Acid 양으로 녹여야 하고, 얼마의 양으로 분주를 해놔야 할까요? (ml 나 ul 단위로 부탁드립니다.)
NK배양 해보신 선생님들 께서 쓰시는 양 말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해안을 부탁드립니다 선생님들 ㅠㅠ 감사합니다.
|
|
Derick | 07.11 |
|
Q. |
Feeder layer의 정의 |
|
|
astroglia에 대한 feeder layer를 이용해서 neuron culture를 진행하려합니다.
논문을 보니 이와 관련된 method에서 feeder layer라는 말이 많이 언급되는데 정확하게 이게 뭘 말하는지 이해가 안됩니다....ㅠㅠ
Astroglia cell feeder layer라는게... Astroglia cell을 말하는건지, 아니면 cell을 키운 media를 말하는건지;;
정확하게 어떤걸 말하는걸까요?ㅠ
|
|
대학원생n | 07.11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