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BUG-WINDOW 처리영역 보기]
즐겨찾기  |  뉴스레터  |  오늘의 정보 회원가입   로그인
BRIC홈 실험
벡톤디킨슨코리아
배너광고안내
이전
다음
스폰서배너광고 안내  배너1 배너2 배너3 배너4
웹진 6월호 오픈
전체보기 안전점검 LABox
 카테고리: 전체
Mol. Biol.-DNA Mol. Biol.-RNA Mol. Biol.-Protein Immunology
Cell Biology Microbiology Plant Biology Laboratory Animals
Omics Chemical biology Bioinformatics Laboratory Equipments
Buffer/Reagent Bioethics Etc.
카테고리 전체보기펼치기
질문/투표/프로토콜 등록
투표진행 세포 실험할 때 장갑을 끼고 하시나요?
진행 2023.06.06~06.15  |  참여자 109명  |  댓글 3
참여하기
Q. 보관된 균주 배양방법
안녕하세요.  어병세균에 대한 항균성펩타이드 실험을 진행하고 있는데 균보관시에 5% skim milk 사용해서 50ml코니칼튜브에 동결건조하여 보관중인데 이렇게 동결건조한 균주를 다시 재배양할 때 동결건조분말 전체를 가지고 재배양을 해야하는 것이 맞죠? 그리고 보관시에 앞서말씀드렸듯이 50ml코니칼튜브를 사용하는데 40~45ml정도로 skim milk로 채운뒤 동결후 동결건조하는데 나 중에 액체배양시에 너무 뿌옇게 되어서 균이 자란게 육안으로 확인이 안되는데 skim milk를 저렇게 많은 양을 해서 보관하는게 맞는지... 미생물 수업은 학부생때 한게 전부라서 많이 어렵네요. 혹여 미생물 배양에 관련된 기초지식을 쉽게 설명한 책도 있다면 추천부탁드려요! 요약해드리면. 1. 동결건조보관 균주 분말 전체를 배양에 사용하는 것이 맞는가? 2. 균주 동결건조 보관시 skim milk 양을 얼마나 주어야하는가?(50ml 코니칼튜브기준) 3. 미생물 배양 기초지식 교재또는 책도 추천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회원작성글 NOTEnot  |  06.08
Q. 마이크로 피펫 사용법
저는 원래 피펫팅을 할 때 팁을 샘플의 끝에 살짝 닿게 해서 빨아들이는 편입니다.  1. 그런데 사수분께서 단백질의 정확한 농도를 측정하기 위해선 샘플의 중간 부분까지 팁을 넣어서 채취야 한다고 합니다. 제가 알기론 그렇게 하면 팁을 담군 만큼의 수압이 걸리기 때문에 원하는 양보다 많이 채취하게 되고, 팁 겉면에 묻어 흘러내리기 떄문에 정확한 양을 채취할 수 없습니다. 2. 또한 사수분께서 팁의 겉면에 묻은 샘플을 제거하기 위해서 팁을 튜브 벽면에 한번 둘러서 묻혀 제거하셨습니다. 제 생각엔 그렇게 하면 자칫 잘못하다가 팁 끝에서 용액이 딸려갈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결과 값을 보면 제가 사수분 보다 정량값이 낮게 나왔습니다.   3. 그리고 한가지 더 질문하자면, 피펫 버튼을 2step 끝까지 꾹 누르면 안에 있는 스프링이 망가질 수도 있다고 알고 있습니다. 이 부분도 사실이 맞는지 궁금합니다.   저와 사수 분 중에서 누구의 방식이 맞는지 세가지 질문에 조언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회원작성글 ejejej  |  06.08
Q. 인산완충액
미생물한도시험 할때 검체를 희석할 희석액을 조제해야하는데 보존완충액을 조제 후 800:1로 희석한 인산완충액으로 사용을 힙니다 위 두가지 시액의 사용기한은 따로 약전에 나와있지 않아서요 보존완충액은 6개월 인산완충액은 용시 단 2-8도 유지히면 24시간까지 가능하다고 들았는데 어떤게 맞나요?!ㅠㅠ
회원작성글 비그리  |  06.07
Q. 항균활성 테스트 paper disc
paper disc를 이용한 항균활성 실험에서 페니실린과 엠피실린을 각각 메탄올을 negative control로 사용하여 균과 함께 BHI agar plate에서 진행하였습니다. 여기서 negative control은 무슨 역할을 하며 메탄올을 사용하는 특정한 이유가 있을까요??
회원작성글 아렛  |  06.07
Q. 돼지피부 침투 실험 (H&E Staining)
안녕하세요. 화장품 성분을 돼지피부에 도포한 후 표피 및 진피까지 투과되는 정도를 확인하는 실험을 진행하고자 합니다.   1. 돼지피부 preparation   2. 화장품 성분에 형광인자 결합   3. H&E Staining protocol   4. Microtome, 광학현미경 등 필요 장비들   위 4가지 내용과 관련해서 경험 있으신 분의 도움을 구하고자 합니다ㅠ
회원작성글 qwe123  |  06.07
Q. Raw 264.7 cell에 LPS유도시 세포독성, NO 측정
현재 Raw 264.7 cell에 LPS유도시 세포독성, NO 둘다 잇는지 확인중인데 잘안되네여 ㅠ  NO는 당연히 안나오고요 ... MTT시 원래 LPS를 유도하면 세포가 죽어야하는게 정상인데 Control로 standard를 잡았을 때 10, 100, 500, 1000, 5000ug/ml LPS를 유도했을 때 증가하더라고요..  1) 세포와 LPS 둘다 Fresh하지 않아서 일수도 있겠죠? 2) 아무래도 LPS 오염인 것같긴한데.. 이때 LPS를 Fresh하게 만드는 방법이있을 까여.. 그냥 멸균된 증류수에 희석하고 잘된사람도 있다던데..  3) 그리고 LPS 희석시 Clean bench에서 희석을 해도되나여? 
회원작성글 wnsgud0853  |  06.07
Q. 다들 GO term 그래프 어디서 그리시나요?
데이터는 엑셀로 다 가지고 있는데 그림을 어떻게 그려야될지 모르겠네요 다른 무슨 프로그램이 있는건가요?
회원작성글 브르르르릭  |  06.07
Q. 농도 계산
안녕하세요 정말 기초적인 질문이라 부끄럽지만 올립니다   LB 배지에 ampicillin을 첨가하려 하는데 농도 계산이 헷갈려서요 ampicillin stock은 10mg/ml이고 final 농도는 100ug/ml 입니다   그렇다면 농도는 100X 아닌가요? 500X로 적혀있어 헷갈립니다 LB 배지 1000ml가 있다면 10mg/ml의 ampicillin은 10ul 첨가하는게 맞나요   감사합니다
회원작성글 chochoc  |  06.07
Q. BCIP/NBT와 ECL로 detection 하는 것에 대한 차이
안녕하세요  현재 ALPL관련해서 공부하는 중인데 실험 기법에 의문이 생겨 질문드립니다.    제가 하고자 하는 실험은 ALPL이 각 군에 어느정도 있느지 확인하기 위함으로  western blot으로 BCIP/NBT를 set up하여 그 양을 확인 하려고 합니다.   이 때 BCIP/NBT를 사용하려면 alkaline phosphate가 conjugation된 antibody를 사용해야하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일반적으로 alpl 1'를 붙이고 2'를 붙여 ECL로 확인하는것과  alkaline phosphatase가 conjugation된 antibody를 이용하여 BICP/NBT로 확인하는것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단지 방법의 차이인지 두 방법에서 보고자 하는 목적이 다른건지 정확한 차이를 잘 모르겠어 질문드립니다.  (논문을 참고하였을 때, 같은 sample에서 일반 western blot으로 진행하였을 때는 band가 나오지 않고, BCIP/NBT로 진행하였을 때, band가 뜨는 figure를 확인 한 바 있고 논문에서 BCIP/NBT로 진행하였을 때 activity 한 ALPL을 detection 할 수 있다라는 내용을 확인한 바 있으나 정확히 이해가 가지 않아 질문드립니다ㅠ)
회원작성글 모령  |  06.07
Q. 바이러스 내 균 역가확인 실험
희석한 바이러스를 고체배지에 넣어 CFU를 확인하는 실험을 한다고 하는 것은 그 바이러스 내에 균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시험인 것인가요?? 실험과정은 봤는데 실험의 목적이 이해가 안돼서 질문 남깁니다. 백신 관련의 실험입니다.   그리고 배지에 넣어하는 경우도 있고, cell이 들어있는 96plate에 넣어 역가 확인 하는 경우도 있던데 둘은 무슨 차이인가요? 어떤 바이러스인지에 따른 건가요? 
회원작성글 interested  |  06.07
Q. PE, FITC 붙어있는 antiboy 로 IF시에 secondary antibody 붙혀야하나요?
IF 를 처음합니다. PE anti mouse CD11c 와 FITC anti mouse CD3 를 IF로 염색을 하려고 합니다. Secondary Antibody를 anti mouse랄 붙혀야 하는지... 자체적으로 PE, FITC 로 형광이 띄기때문에 2nd AB는 안붙혀도 되는거 아닌지... 문의드립니다.
회원작성글 초코파티  |  06.07
Q. 키위의 단백질 분해능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키위의 단백질 분해능을 보고자하는 실험을 구상 중에 있습니다. 키위를 처리하는 대상은 돼지고기 후지입니다. 사전에 Bradford assay 시행을 했었는데, 아미노산에 시약이 작용하는 거라서, 펩타이드 결합이 끊어지는 단백질 분해 작용이 일어나더라도 대조군과 실험 결과에서 차이가 없었습니다. 따라서 펩타이드 결합 부위가 많이 노출되어 있으면, 단백질 분해가 잘 일어난 것일 수 있다는 생각이 들어 펩타이드 결합 부위를 감지할 수 있는 시약이 없을까 고민했습니다. 이것이 아니라면 흡광도를 이용해서 단백질 분해 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Assay에 대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회원작성글 111c  |  06.07
Q. 면역세포 세포내 사이토카인 염색(유세포 분석) 실험 질문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면역세포(백혈구)를 분리 후 세포에 존재하는 사이토카인 염색을 할때 일반 적으로 pma/ionomycin 자극 + Brefeldin A로 분비 억제 후 고정하고 cytokine항체로 세포내 면역 염색을 하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 과정에 pma/ionomycin 자극 할 때 백혈구들이 바로 응집(덩어리짐)을 하는데 이게 원래 이런건지 궁금합니다. 유세포 분석 찍을려면 세포가 응집되지 않고 단일 세포여야 하는데 이러면 피펫팅으로 풀어주고 면역염색 후 유세포 분석을 찍는지 궁금함니다.   어류 면역 세포를 가지고 하느라 인간 면역세포에서도 이런 현상이 일어나는지 궁금합니다.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회원작성글 Chewi  |  06.07
Q. 데이터 조작..?
혹.. 실험하시면서 융통성있게 데이터 조작 하시나요..?? 예를들어 실험물폼 입고 날짜를 변경한다던지 유통기한 같은거요 익명성을 빌려 여줘봅니다.,.,   연구소에서 일하는데.. 사료 입고 날짜 나 유통기한 같은것도 그렇고 실험 안한데이터를 넣거나 해서요..   제가 융통성이 없는건지.. 연구소(회사)입장에 맞춰서 하시나해서요..
회원작성글 kakamilk  |  06.07
Q. 아토피 유도 DNCB 물질 접촉사고
안녕하세요 마우스 등에 DNCB를 도포하여 아토피 유도모델을 제작중인 대학원생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0.5%로 제작한 DNCB를 도포하는 중 금일 손에 실수로 쏟아지는 일이 발생해 바로 흐르는물에 씻고, 장갑을 교체하였는데 혹시나 찝찝해서 게시글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브릭 회원분들 중 DNCB유도를 하다가 손에 접촉해보신 분들 혹시 계신가요?.. 증상이 미미하게 일어났는지 궁금합니다. 
회원작성글 90ㅎㄱ  |  06.07
이전  1 02 03 04 05 06 07 08 09 10  다음
공지사항
2022년 실험Q&A 우수회원 안내
중고등학생의 과학실험주제나 방법 및 숙제에 대한 질문 자제 요청
실험관련연재
세오 연재중실전 실험 프로토콜 101
세오 (필명) (Cincinnati Children’s Hospital Medical Center)
신코 연재중분석장비 이야기
분석장비 탐험가 (필명) ((주)신코)
곽민준 연재중랩노트
곽민준 (POSTECH 생명과학과)
박은총 연재마감후배에게 주고 싶은 면역학 노트
박은총(Duke University)
Mr.S 연재마감의학계의 Spectaculum: 임상시험
Mr. S (필명) (연세대학교)
에스프리 연재마감실험을 해봅시다
에스프리 (필명)
이제욱 연재마감생명과학자 기초체력 다지기
이제욱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신약개발지원센터)
금주의 인기Q&A
대학원 3개월차 RNA정량 원리도 제대로 모르면... [8]
DNA midi prep 질문 있습니다! 도와주세요ㅜㅜ [4]
5% skim milk... 왜 아무것도 안 나올까요? [5]
dna 전기영동 [1]
L929 세포 모양 [7]
sds-page 전기영동 결과 조언 부탁드립니다 [3]
HPLC 분석관련 문의드립니다. [3]
Enzyme cut 이후 Gel purification에서 Insert와... [2]
데이터 조작..? [3]
300kDa 이상 단백질, REV3L western blot band 확... [5]
최근답변자 우수답변자
대왕개구리SPEED

알닉네임노노

꽃개구리착한사람

개구리범수리

알_S_

개구리모리모리

알cye0125

알chochoc

대왕개구리안재진

개구리propadrum

개구리겨우살이

개구리얕은지식

개구리곰돌2

대왕개구리엘피스

대왕개구리강시

개구리Marine

위로가기
실험 홈  |  실험FAQ
 |  BRIC소개  |  이용안내  |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이메일무단수집거부
Copyright © BRIC. All rights reserved.  |  문의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유튜브 유튜브    RSS서비스 RSS
필코리아테크놀로지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