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BUG-WINDOW 처리영역 보기]
즐겨찾기  |  뉴스레터  |  오늘의 정보 회원가입   로그인
BRIC홈 실험
마이크로젠타스
배너광고안내
이전
다음
스폰서배너광고 안내  배너1 배너2 배너3 배너4
웹진 6월호 오픈
전체보기 안전점검 LABox
 카테고리: 전체
Mol. Biol.-DNA Mol. Biol.-RNA Mol. Biol.-Protein Immunology
Cell Biology Microbiology Plant Biology Laboratory Animals
Omics Chemical biology Bioinformatics Laboratory Equipments
Buffer/Reagent Bioethics Etc.
카테고리 전체보기펼치기
질문/투표/프로토콜 등록
투표진행 세포 실험할 때 장갑을 끼고 하시나요?
진행 2023.06.06~06.15  |  참여자 98명  |  댓글 3
참여하기
Q. 인산완충액
미생물한도시험 할때 검체를 희석할 희석액을 조제해야하는데 보존완충액을 조제 후 800:1로 희석한 인산완충액으로 사용을 힙니다 위 두가지 시액의 사용기한은 따로 약전에 나와있지 않아서요 보존완충액은 6개월 인산완충액은 용시 단 2-8도 유지히면 24시간까지 가능하다고 들았는데 어떤게 맞나요?!ㅠㅠ
회원작성글 비그리  |  06.07
Q. 항균활성 테스트 paper disc
paper disc를 이용한 항균활성 실험에서 페니실린과 엠피실린을 각각 메탄올을 negative control로 사용하여 균과 함께 BHI agar plate에서 진행하였습니다. 여기서 negative control은 무슨 역할을 하며 메탄올을 사용하는 특정한 이유가 있을까요??
회원작성글 아렛  |  06.07
Q. 돼지피부 침투 실험 (H&E Staining)
안녕하세요. 화장품 성분을 돼지피부에 도포한 후 표피 및 진피까지 투과되는 정도를 확인하는 실험을 진행하고자 합니다.   1. 돼지피부 preparation   2. 화장품 성분에 형광인자 결합   3. H&E Staining protocol   4. Microtome, 광학현미경 등 필요 장비들   위 4가지 내용과 관련해서 경험 있으신 분의 도움을 구하고자 합니다ㅠ
회원작성글 qwe123  |  06.07
Q. Raw 264.7 cell에 LPS유도시 세포독성, NO 측정
현재 Raw 264.7 cell에 LPS유도시 세포독성, NO 둘다 잇는지 확인중인데 잘안되네여 ㅠ  NO는 당연히 안나오고요 ... MTT시 원래 LPS를 유도하면 세포가 죽어야하는게 정상인데 Control로 standard를 잡았을 때 10, 100, 500, 1000, 5000ug/ml LPS를 유도했을 때 증가하더라고요..  1) 세포와 LPS 둘다 Fresh하지 않아서 일수도 있겠죠? 2) 아무래도 LPS 오염인 것같긴한데.. 이때 LPS를 Fresh하게 만드는 방법이있을 까여.. 그냥 멸균된 증류수에 희석하고 잘된사람도 있다던데..  3) 그리고 LPS 희석시 Clean bench에서 희석을 해도되나여? 
회원작성글 wnsgud0853  |  06.07
Q. 다들 GO term 그래프 어디서 그리시나요?
데이터는 엑셀로 다 가지고 있는데 그림을 어떻게 그려야될지 모르겠네요 다른 무슨 프로그램이 있는건가요?
회원작성글 브르르르릭  |  06.07
Q. 농도 계산
안녕하세요 정말 기초적인 질문이라 부끄럽지만 올립니다   LB 배지에 ampicillin을 첨가하려 하는데 농도 계산이 헷갈려서요 ampicillin stock은 10mg/ml이고 final 농도는 100ug/ml 입니다   그렇다면 농도는 100X 아닌가요? 500X로 적혀있어 헷갈립니다 LB 배지 1000ml가 있다면 10mg/ml의 ampicillin은 10ul 첨가하는게 맞나요   감사합니다
회원작성글 chochoc  |  06.07
Q. BCIP/NBT와 ECL로 detection 하는 것에 대한 차이
안녕하세요  현재 ALPL관련해서 공부하는 중인데 실험 기법에 의문이 생겨 질문드립니다.    제가 하고자 하는 실험은 ALPL이 각 군에 어느정도 있느지 확인하기 위함으로  western blot으로 BCIP/NBT를 set up하여 그 양을 확인 하려고 합니다.   이 때 BCIP/NBT를 사용하려면 alkaline phosphate가 conjugation된 antibody를 사용해야하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일반적으로 alpl 1'를 붙이고 2'를 붙여 ECL로 확인하는것과  alkaline phosphatase가 conjugation된 antibody를 이용하여 BICP/NBT로 확인하는것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단지 방법의 차이인지 두 방법에서 보고자 하는 목적이 다른건지 정확한 차이를 잘 모르겠어 질문드립니다.  (논문을 참고하였을 때, 같은 sample에서 일반 western blot으로 진행하였을 때는 band가 나오지 않고, BCIP/NBT로 진행하였을 때, band가 뜨는 figure를 확인 한 바 있고 논문에서 BCIP/NBT로 진행하였을 때 activity 한 ALPL을 detection 할 수 있다라는 내용을 확인한 바 있으나 정확히 이해가 가지 않아 질문드립니다ㅠ)
회원작성글 모령  |  06.07
Q. 바이러스 내 균 역가확인 실험
희석한 바이러스를 고체배지에 넣어 CFU를 확인하는 실험을 한다고 하는 것은 그 바이러스 내에 균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시험인 것인가요?? 실험과정은 봤는데 실험의 목적이 이해가 안돼서 질문 남깁니다. 백신 관련의 실험입니다.   그리고 배지에 넣어하는 경우도 있고, cell이 들어있는 96plate에 넣어 역가 확인 하는 경우도 있던데 둘은 무슨 차이인가요? 어떤 바이러스인지에 따른 건가요? 
회원작성글 interested  |  06.07
Q. PE, FITC 붙어있는 antiboy 로 IF시에 secondary antibody 붙혀야하나요?
IF 를 처음합니다. PE anti mouse CD11c 와 FITC anti mouse CD3 를 IF로 염색을 하려고 합니다. Secondary Antibody를 anti mouse랄 붙혀야 하는지... 자체적으로 PE, FITC 로 형광이 띄기때문에 2nd AB는 안붙혀도 되는거 아닌지... 문의드립니다.
회원작성글 초코파티  |  06.07
Q. 키위의 단백질 분해능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키위의 단백질 분해능을 보고자하는 실험을 구상 중에 있습니다. 키위를 처리하는 대상은 돼지고기 후지입니다. 사전에 Bradford assay 시행을 했었는데, 아미노산에 시약이 작용하는 거라서, 펩타이드 결합이 끊어지는 단백질 분해 작용이 일어나더라도 대조군과 실험 결과에서 차이가 없었습니다. 따라서 펩타이드 결합 부위가 많이 노출되어 있으면, 단백질 분해가 잘 일어난 것일 수 있다는 생각이 들어 펩타이드 결합 부위를 감지할 수 있는 시약이 없을까 고민했습니다. 이것이 아니라면 흡광도를 이용해서 단백질 분해 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Assay에 대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회원작성글 111c  |  06.07
Q. 면역세포 세포내 사이토카인 염색(유세포 분석) 실험 질문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면역세포(백혈구)를 분리 후 세포에 존재하는 사이토카인 염색을 할때 일반 적으로 pma/ionomycin 자극 + Brefeldin A로 분비 억제 후 고정하고 cytokine항체로 세포내 면역 염색을 하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 과정에 pma/ionomycin 자극 할 때 백혈구들이 바로 응집(덩어리짐)을 하는데 이게 원래 이런건지 궁금합니다. 유세포 분석 찍을려면 세포가 응집되지 않고 단일 세포여야 하는데 이러면 피펫팅으로 풀어주고 면역염색 후 유세포 분석을 찍는지 궁금함니다.   어류 면역 세포를 가지고 하느라 인간 면역세포에서도 이런 현상이 일어나는지 궁금합니다.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회원작성글 Chewi  |  06.07
Q. 데이터 조작..?
혹.. 실험하시면서 융통성있게 데이터 조작 하시나요..?? 예를들어 실험물폼 입고 날짜를 변경한다던지 유통기한 같은거요 익명성을 빌려 여줘봅니다.,.,   연구소에서 일하는데.. 사료 입고 날짜 나 유통기한 같은것도 그렇고 실험 안한데이터를 넣거나 해서요..   제가 융통성이 없는건지.. 연구소(회사)입장에 맞춰서 하시나해서요..
회원작성글 kakamilk  |  06.07
Q. 아토피 유도 DNCB 물질 접촉사고
안녕하세요 마우스 등에 DNCB를 도포하여 아토피 유도모델을 제작중인 대학원생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0.5%로 제작한 DNCB를 도포하는 중 금일 손에 실수로 쏟아지는 일이 발생해 바로 흐르는물에 씻고, 장갑을 교체하였는데 혹시나 찝찝해서 게시글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브릭 회원분들 중 DNCB유도를 하다가 손에 접촉해보신 분들 혹시 계신가요?.. 증상이 미미하게 일어났는지 궁금합니다. 
회원작성글 90ㅎㄱ  |  06.07
Q. 조단백질 측정이유
논문발표하다 조단백질을 측정하더라구요   보통 식품류들은 조단백질을 측정하던데 질소를 정량한다음 6.25를 곱하는거고 주로 단백질은 16%의 질소를 함유해서 그런거로 알고있어요   1) 근데 식품에서 굳이 조단백질을 측정하는 이유가 뭔가요?? 2) 영양성분표에 나오는 단백질량은 조단백질인가요?
회원작성글 tyrosinase  |  06.07
Q. Mouse experiment가 필요한데 도움주실 분 계신가요
Mouse experiment 관련 경험이 필요한데, 도움 주실 분 있으실까요, 제가 지원하는 분야에 1번 이상은 해봐야해서,제가 지금 한번도 경험이 없습니다. 후하게 사례하겠습니다
회원작성글 닉네임노노  |  06.07
Q. 50ml 코니칼튜브 세균 진탕배양시 허용 액체배지량?
안녕하세요 현재 농산물 식중독세균 연구를 처음 진행하고 있습니다. 농산물을 TSB 배지에 스토마커로 균질화를 한 후 50ml 코니칼튜브에 옮기고나서 24시간 진탕배양을 진행합니다 그 후 PCR 검정을 진행 하는데요 여기서 농산물을 TSB 배지에 스토마커로 균질화한 후에 50ml 코니칼튜브에 옮길 때 배지량을 30-40ml를 채우고 진탕배양을 하는데요 결과적으로 세균이 자라긴 하는데 공기층이 너무 적은게 아닌가 하는 의문이 들더라구요… 캡은 공기가 통할 수 있도록 정확한 명칭은 모르겠지만 조그만 구멍?!이 있는 캡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회원작성글 조똥똥  |  06.06
Q. Colony pcr 결과 해석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Enzyme 2 cut으로 진행하였고 Ligation후 transformation하고 다음날 배지에서 자란 colony를 Vector primer(F)와 insert만들때 썻던 primer(R)로 pcr을 돌렸어야 하는데 착각해서 insert primer(F,R)만 가지고 pcr을 돌렸습니다 그 결과 예상 사이즈의 밴드가 나왔습니다 서로다른 enzyme을 가지고 2 cut으로 진행했으니까 insert가 거꾸로 들어갈일은 없고 결론적으로 ligation이 제대로 됐다고 봐도 될까요?
회원작성글 시진핑핑이  |  06.06
Q. FMOC 유도체화 관련 질문 드립니다.(HPLC)
Hydroxy Proline을 HPLC로 분석하기 위해서 유도체화 과정을 진행하려고 합니다. 관련 논문을 읽어보니까 아세톤과 FMOC-Cl, 가수분해 생성물을 제거하기 위해서 Pentane으로 추출을 진행한다고 하는데, Pentane을 대체할 수 있는 물질이 있을까요?   Termination of the reaction and removal of excess FMOC-Cl, its hydrolysis product FMOC-OH, and acetone were performed by extraction with 300 µL of pentane - 참고 논문입니다
회원작성글 연람  |  06.06
Q. Takara q-pcr standard 질문
안녕하세요    석사과정 6개월차 대학원생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현재 takara사의 q-pcr기기를 이용하여 실험을 진행하고 있는데   standard 값을 어떻게 지정해야 하는지 잘 모르겠어서 질문을 남기게 되었습니다.   해당 standard 값을 어떤 식으로 설정을 해야할까요?? sample은 2ul씩 사용하였고 1, x10 ... x70까지 희석하여 분주하였습니다
회원작성글 해삼성게  |  06.06
이전  1 02 03 04 05 06 07 08 09 10  다음
실험 회원 등급이란?
실험Q&A 회원등급안내
위로가기
실험 홈  |  실험FAQ
 |  BRIC소개  |  이용안내  |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이메일무단수집거부
Copyright © BRIC. All rights reserved.  |  문의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유튜브 유튜브    RSS서비스 RSS
에펜도르프코리아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