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Q. |
HPLC 우유 내 당 분석 전처리 방법 |
|
|
기기 : Agilent Technologies 1260
컬럼 : Aminex HPX-87H (7.8 x 300 mm)
이동상 : 0.005M H2SO4
검출기 : RI (G7162A)
HPLC-RI를 이용하여 당류 관련 분석을 하고 있습니다. 몇 가지 질문드립니다.
1. 모유올리고당 중 하나인 2'-fucosyllactose(이하 2'-FL) 파우더를 water에 녹인 후 농도별로 분석하여 Calibration curve를 그리려고 하는데, 상기 표에 해당하는 2'-FL 파우더를 스탠다드로 하여 캘리 커브를 그려도 무방할까요?
2. 시판 우유에 2'-FL 스탠다드 용액을 스파이킹하여 회수율을 알아보고자 합니다. 이 때, 우유를 어떤 방식으로 전처리(단백질, 지방 제거 등)하고 분석해야 하는지 알고 싶습니다. 식품공전시험법에는 글루코스와 같은 단당류나 기타 올리고당 등에 대한 방법만 있어서 어떤 조건을 따라야 할지 감이 잘 오지 않습니다.
|
|
nounou | 02.06 |
|
Q. |
Autoclave 질문이에요ㅠ |
|
|
안녕하세요 Autoclave에 대해서 궁금한점이 있어서 질문남겨요
체임버가 어느 부분일까요..?
|
|
새싹포숌 | 02.06 |
|
|
Q. |
고체, 액체 시약별 stock solution 제조 |
|
|
안녕하세요. 제가 너무 기초가 없네요ㅠㅠ
stock solution 만들려고 하는데 시약이 고체, 액체 일때 계산하는 방법 좀 알려주세요.
각 1000ppm을 만들고 싶습니다.
톨루엔-2,4-이소시아네이트 (액체)
순도 98 %
비중 1.214 g/mL
분자량 174.16 g
페닐이소시아네이트 (고체)
순도 98 %
비중 1.18 g/mL
분자량 250.25 g |
|
니팔 | 02.02 |
|
|
Q. |
do not autoclave라고 적힌 배지를 오토클레이브에 돌려도 될까요? |
|
|
지금 까지는 저런 배지를 히팅블럭에 가열하면서 교반해서 사용했는데
갑자기 교반기의 가열기능이 망가졌습니다
아마 열에 민감한 시약이 들었으니까
일반적으로 멸균하듯이 121도까지 올리면 안된다는 의미 같아서
100도에 1분 정도 오토클레이브에 돌려서 녹여 사용해보려고 합니다
이렇게 사용해 보신분 혹시 계신가요?
|
|
촉촉한촉수 | 02.02 |
|
Q. |
frozen section 조직보관 용액 |
|
|
안녕하세요
혹시 frozen section 해서 염색에 조직을 쓰기 전까지
조직보관 용액을 사용하시는 분이 계실까요??
glycerol , Ethylene glycerol, D.W, Na2HPO4, NaH2PO4 비율을 어떻게 해서 만들어야 할까요
|
|
초보자입니당 | 02.02 |
|
|
Q. |
HPLC peak 재현성(나오다 안나오다 함) |
|
|
안녕하세요.
C18 컬럼을 이용해서 같은 용매로 같은 바이알을 여러번 찍는데 peak가 나오다 안나오다 합니다ㅠ
이런 경우 원인이 뭘까요?ㅠㅠ
이동상은 98% MeOH로 iso이며 시료 전처리는 그냥 에탄올에 희석입니다.
|
|
지이 | 02.01 |
|
Q. |
계산법 맞을까요?? |
|
|
이번에 buffer를 만들기 위해서 여러가지를 구매중인데 처음으로 저 혼자서 구매하는거다보니 확실하지 않은것들이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우선 buffer를 만들때 4가지정도가 들어가는데 그중 한가지가 50mM의 용량으로 넣으라는 protocol이 있습니다.
그 reagent의 MW는 65.01이고요
근데 보통 저희는 stock을 만들때 working 농도의 1000X를 만드는데 그럼 저는 50M를 만들어야되는거 아닌가요
1M = 65.01 g/L인데 그럼 만약 500ml기준으로 stock을 만든다면
1M = 65.01 g/L = 65.01 mg/ml
50M = 1.30 mg/ml -> 500ml 기준 650mg을 넣으면 50M이 되는게 맞는건가요...?
|
|
브르르르릭 | 01.31 |
|
Q. |
VLC 농축이 안되는이유 |
|
|
VLC를 해서 분획물을 분리해서 V1에서 V31까지 얻었습니다. 근데 이 분리된 물질을 농축을 하려니까 나머지는 다 잘농축이 되었는데 V20부터 V22번까지가 농축이 되다가 어느정도가 한계인것같이 액체가 좀 남은상태로 계속 농축이 안되네요.. 5g을 분리했는데 분리농축된 물질들의 무게를 다더하면 농축안되는 애들때문에 5g이 훨씬 넘습니다..... 왜 농축이 안되는걸까요... |
|
피븃 | 01.31 |
|
Q. |
column chromatography |
|
|
column chromatography를 진행 중이고, 고정상은 실리카입니다. 샘플 물질에 금속이 붙어 있고 분자량이 크며 8개의 Cl이 달려 있어 잘 내려오지 않는 상황입니다. 이 때, 이동상으로 DCM(100%)이나, DCM에 Methanol을 소량 섞어 이용하였을 경우에는 매우 천천히 내려오기는 하지만 컬럼 전체에 끌리면서 내려옵니다. Ethyl acetate나 Methnol을 100%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아예 내려오지 않습니다...
아래부터 질문입니다.
1. 위와 같은 경우에는 이동상의 극성이 문제가 아닌 것 같은데, 용해도 때문이라고 볼 수 있을까요?
2. 용해도가 원인일 경우, THF나 Chloroform 등을 이동상으로 사용해보는 것도 도움이 될까요?
3. 분리하려는 샘플 물질에 Cl이 8개가 달려있는데, 물질에 Cl이 달려있으면 컬럼에서 끌려내려올 수 있다고 알고 있습니다. 이럴 경우 끌림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이 있을까요?
궁금한 것을 바로 적다보니 글이 두서없는 점 양해부탁드립니다...
|
|
국물자작 | 01.31 |
|
Q. |
식물 물관 안의 기포가 식물 생장에 미치는 영향(재밌는 질문) |
|
|
페트병 벽면에 붙어있는 기포 방울들을 보고 이유를 찾아보면서 기온 차이에 따라 물 속에 용해되어 있던 산소가 배출되어 그렇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물관을 가진 식물에 그 점을 적용하여 그러한 기포들이 생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궁금해져 이 논문을 찾게 된 것인데요, 증산작용으로 인한 음압으로 실제 embolism이 발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다공성 구조가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이 부분은 초록 부분에서만도 알 수 있는 내용이었고 실질적인 논문의 주제는 이 embolism에 의한 계면현상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을 유체역학적 관점에서 밝히고자 한 것인데 이에 대한 식물 내 시스템이 매우 복잡함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이 논문에서는 증산작용으로 인한 embolism을 연구하고 있는 것이고 저는 온도 차이에 주목한 것이라 새로운 관점으로 접근해보고 싶은데 단순히 온도 차이를 다양하게 주면서 식물 생장을 비교하는 실험으로는 복잡한 매커니즘에 대한 기포의 영향을 이해하기 힘든 부분이 있을 것 같습니다. 혹시 어떻게 탐구를 진행해야할지 여쭤봐도 될까요?
P.S 식물의 구조와 메커니즘에 대해 구체적으로 공부하고 싶은데 관련 전문 서적 추천 부탁드립니다!
|
|
김규연 | 01.30 |
|
Q. |
랫드, 마우스 케이지 관리 리스트 |
|
|
안녕하세요, 동물실험실에서 일하고있어요.
랫드랑 마우스 케이지 청소 등 할 때 관리 리스트 작성해서 관리하시는 분들 있으실까요?
리스트 어떤식으로 이루어져 있는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
콩콩삐 | 01.30 |
|
|
Q. |
centrifuge tube 용량 질문 |
|
|
안녕하세요! 질문 하나 드립니다..!
centrifuge conical tube 최대 어느 정도 용량으로 넣고 사용 가능할까요?
competent cell 제조하려 하는데 50ml conical tube에 50ml을 넣고 원심을 해도 될지 의문이어서 여쭤봅니다..
tube 용량 꽉 채워 원심 해도 되는지 궁금합니다
답변 기다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
오아이 | 01.27 |
|
Q. |
실험실 멸균하는 이유 |
|
|
안녕하세요,
새내기 대학원생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실험실에서 tube, tip 등을 멸균하는 이유에 대해서 질문하고 싶습니다.
미생물을 하는 실험실은 아니고 단백질 실험을 하는 곳인데, 실험실에서 쓰는 tube을 멸균해서 사용해야 하나요?
실험실에서 쓰는 tube(멸균 안된제품)에 세균이나 균같은게 있을 수 있는지 , 있다면 멸균하는게 맞지만 있을 수 있는건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PCR clean tube 은 멸균을 하지 않아도 되는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
|
하이후아리 | 01.27 |
|
|
Q. |
6 his tagged fusion protein |
|
|
fusion protein 관련 cloning에 관한 논문을 받게 되었는데요.
6 his tagged fusion protein이란게 무슨 뜻인지 알수있을까요….???? |
|
분자생물학도 | 01.26 |
|
Q. |
HPLC 컬럼 관련하여 질문드립니다. |
|
|
현재 올리고당 관련 연구를 맡고 있는 대학원생인데요, 연구 중간에 투입되어 아직 기기에 대해 모르는 부분이 많아 질문드립니다.
Aminex HPX-87H (300 x 7.8 mm) 컬럼을 사용하고 있고 이동상은 0.005M H2SO4, 유속은 0.6mL/min으로 하고 있습니다.
1. 가이드라인북에는 cleaning solvent 1) 5% CH3CN in 0.005M H2SO4 2) 30% CH3CN in 0.005M H2SO4 // Duration 1) 4hr 2) 12hr 3) run mobile phase until steady baseline 이라고 나와있는데, duration에 3번 항목처럼 적혀있는거면 꼭 ACN이 함유된 용매로 cleaning 해줄 필요 없이 이동상(황산)으로만 워싱해줘도 괜찮은건가요? 황산에 ACN이 첨가됨으로써 어떤 차이가 있는건지 궁금합니다.
2. 또한, 다른 자료를 찾아보면 backwashing을 하라는 분도 계셔서 헷갈리는데 정확한 워싱 방법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
|
nounou | 01.25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