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Q. |
MCE 필터에 아세톤 멸균여과해도 될까요? |
|
|
mixed cellulose ester membrane filter (MCE) 여과지 필터에 아세톤을 멸균여과해도 될까요?
현재 PTFE는 없고 MCE와 CA가 있는데,, 이 중에 뭘 사용하는게 좋을까요??
|
|
qlwierh | 04.16 |
|
Q. |
파라핀 블럭 |
|
|
Paraffin block 제작 중에 문제가 생겨 글 올립니다.
파라핀 블럭 제작후에 시간이 지나면 저렇게 하얗게 ?
변하는데 저렇게 변하는 이유가 무엇인지 알수있을까요?
또한 저렇게 되면 결과에 문제가 생기나요?
조직병리 고수님들 도와주세요,,ㅠㅠ
|
|
앵두앵두 | 04.16 |
|
Q. |
DMSO와 PBS |
|
|
실험을 하던 중 문득 궁금증이 생겨 질문드립니다.
PBS와 DMSO를 1:1비율로 섞었을 경우 층분리가 일어나나요?
|
|
Arkadis | 04.16 |
|
Q. |
80% 아세톤 만드는법 |
|
|
80% 아세톤을 만들때 99.9% 아세톤에 증류수를 혼합하면 될까요??
|
|
qlwierh | 04.16 |
|
Q. |
TS , VS 농도 단위 % |
|
|
새내기 대학원생입니다.
논문에 보면 TS와 VS 단위가 wt%로 나타나 있는 경우가 많은데
직접 측정할때 g/L로 측정을 하면 wt% 로 환산은 어떻게 하는게 맞나요?
|
|
심소 | 04.16 |
|
Q. |
SU8 용량 관련 질문 |
|
|
안녕하세요.
SU8 2100을 이용하여 실험을 진행하려고 하는데,
4인치 웨이퍼를 사용해서 4 mL 정도 퍼야할 것 같은데..
대게 SU8을 사용할때 어떤걸 이용해서 웨이퍼 위에 올리시나요?
스포이드 끝을 잘라서 쓰는데 2100은 점성이 높아서 쉽지가 않네요.
|
|
김민준 | 04.15 |
|
Q. |
real-time PCR 결과 CT값에 대해 궁금한게 있습니다. |
|
|
세포에서 RNA를 추출한 후 cDNA를 합성한 다음
real-time PCR을 돌리려고 계획하고 있습니다.
예전 졸업한 선배들이 했던 실험노트를 보니
real-time PCR을 돌리고 난 후 나온 CT값을 가지고
해당 프라이머들의 annealing 및 기타 온도조건들의 세팅이 잘 되었는지를 맞추고,
해당 PCR 결과가 잘 나타났는지를 계산하던데..
CT값을 가지고 프라이머 온도조건이 잘 되었는지 확인하는 방법이랑
PCR이 잘 진행되었는지를 확인하려면 어떤 걸 보면 되는건가요??
|
|
CLOVA | 04.15 |
|
Q. |
ppm 농도 계산 도와주세요.... |
|
|
mv=m'v'로 구하려고 하는데
100,000ppm : x = 100ppm : 4ml( 배지의 양)
이라고 계산을 했을 때 나오는 x 값은 100,000ppm과 100ppm에 들어가는 추출물의 양이 같을 때 나오는 배지의 값 아닌가요?
|
|
혜234 | 04.15 |
|
Q. |
고등학교 3학년이 할만한 생물 관련 실험 뭐가 있을까요 |
|
|
2주 안에 실험을 빨리 끝내고 보고서를 작성해야 하는데 도통 감이 오지 않아 질문 올립니다..ㅜㅜ
하나의 independent variable을 정하고 그에 따라 dependent variable은 어떻게 변하는지 관찰하는 실험 형식입니다.
주제 예시는 불소 함량에 따른 치약의 효과, 소금 concentration이 식물 성장에 주는 영향, 심장 박동 수가 증가함에 따라 반응 속도의 증가, 등등이 있습니다.
제가 처음에 계획하던 것은, 보관 장소에 따라 달라지는 과일의 quality였는데, 보관 온도가 다르다해도 과당은 그대로여서, 혹시 과당 외에 측정할 수 있는 다른 요소가 있다면 알려주시면 너무너무 감사하겠습니다.
혹 없다면, 간단하지만 너무 가볍지는 않은 주제 추천해주신다면 진심으로 감사하겠습니다.
|
|
BIO초보 | 04.14 |
|
Q. |
헤파린 구입 |
|
|
안녕하세요
의사교수님 아래에서 일하고 있는 연구원입니다.
다른게 아니라 교수님께서 이번에 처음 연구실을 꾸리시고
연구도 처음 진행하셔서 열심히 시약도 사고 있고 실험도 정립하고 있는데요..
그런데 실험 중에 헤파린이 필요해서 실험물품 판매하는 회사에 여쭈어보았는데,
헤파린은 전문의약품이어서 구해주실 수 없다고 하셨습니다...
그래서 이 내용을 저희 교수님께도 전달드렸는데,
교수님께서도 이번에 처음 실험실을 꾸려나가시고
이런 자잘한 비품을 사시는 것도 처음이시다 보니... 잘 모르시네요..
(특히 전문의약품은 구입할 일이 드무니까요..)
혹시 헤파린 어떻게 구입하셨는지 여쭈어보아도 될까요?
사실 중외제약에 바로 전화해서 여쭈어보려고 네이버 검색했는데
주가가 쭉쭉 올라가는 걸 보고 많이 바쁠 것 같은 회사인 것 같다...
많이 바쁘고 예민해서 물어보면 왜 여기다 물어봤냐 라며
쿠사리당할까 겁먹어서 브릭에 먼저 여쭈어봅니다..
(브릭은 언제나 친절하셨으니까요..ㅠ.ㅠ 친정같습니다..)
혹시 이런 전문의약품 구입해보신 분들 계실까요?
어떻게 구매하셨나요? (그냥 바로 제약회사에 전화하셔서 주문하셨나요?)
|
|
=ㅅ= | 04.14 |
|
Q. |
조직병리 H&E 염색 |
|
|
H&E 염색을 하기 위해서 Paraffin block 을 만들고 있습니다.
block 만드는 과정과 염새과정에서 막히는 부분이 생겨 질문합니다.
1. H&E 염색 중 Lung, Liver, Intestine 을 염색하면 Lung 조직만 떨어져 나갑니다.. 고정 시간은 동일하고 조직처리기도 같이 돌렸습니다. Lung이 다른 조직보다 고정 시간과 파라핀 침투 시간이 더 필요한가요?
2. Paraffin Section 과정 중 Lung, Liver, Intestine 을 Section 후 부유온수조에 띄울 때 liver, intestine은 주름이 잘펴지는데 lung은 주름이 펴지는게 아니라 파라핀이 떨어져나가면서 부스러(?)집니다..
검색해 보니 파라핀 침투시간과 고정의 문제라고 나와서 고정시간도 원래는 o/n 만 하였지만 하루더 늘려보고, 파라핀 침투 시간도 원래 1시간씩 3번 했지만 2hr, 2hr, 3hr 이렇게 바꾸었는데도 똑같습니다.. 또한 slide warmer 에서 37도 o/n 하였습니다!
조직병리 고수님들 도와주세요 ㅠㅠ!
|
|
앵두앵두 | 04.14 |
|
Q. |
질산 용액을 NaOH로 pH 조절시 질산의 농도변화 |
|
|
안녕하세요
질산용액으로 CaCO3를 녹여서 HCO3-를 얻고자 하는 실험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CaCO3 + 2HNO3 -> Ca(NO3)2 + HCO3-)
현재 60%질산을 0.0001% 정도로 희석해서 사용하고 있는데 pH가 3.8부근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하지만 실험이 pH6~8정도(HCO3-가 존재하는 pH 범위)에서 이루어지는것을 원하는데
이떄, NaOH를 이용해서 pH를 6~8로 조정한 질산을 사용해도 동일한 반응이 나타날지에 대한 의문입니다.
예를들어 지금 0.0001%의 질산을 몰수 비를 이용해서 계산한 결과 10ml를 사용하면 Xmg의 CaCO3가 모두 반응하여 Ca(NO3)2 + HCO3-(혹은 H2O + CO2(g)) 가 되는데
pH 6~8 로 조정한 0.0001%의 질산을 10ml 동일하게 사용해도 위의 반응처럼 CaCO3가 모두 반응하게 되는지 궁금합니다.(pH가 높아지면 H+ 몰농도가 낮아지므로 HCO3-가 덜 발생하는것이 아닌가요..ㅠㅠ)
|
|
마루미르 | 04.14 |
|
Q. |
냉동조직 IHC mounting 질문 |
|
|
안녕하세요. 냉동조직 형광 IHC 실험을 하고 있는 대학원생 입니다.
Mounting 과정에서 slide glass 위에 PBS 를 200ul 정도 동그랗게 올려놓고 그 안에 조직을 넣은 뒤 말리는 식으로 진행하고 있습니다.(1개 slide glass 위에 3 개의 조직) 이 때 조직을 얼마나 말려야 하는지가 궁금해서 질문 드립니다. 수분이 좀 있는 촉촉한 상태에서 mounting 을 진행해도 되는지, 아니면 완전히 말린 상태에서 mounting 을 진행해도 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너무 마르면 안좋을것 같아서 빠르게 마르는 쪽에 monting medium 을 미리 뿌려놓고 옆에 조직도 마르는 대로 mounting medium 처리 후에 mounting 진행합니다.
궁금한 것은 mounting 을 할 때 수분이 있는 상태에서 하는 것과 완전히 마른 상태에서 하는 것이 나중에 이미지 획득에 있어서 차이를 줄 수 있는지, 만약 준다면 어떤 방법이 이상적인 것인지 궁금합니다!
이렇게 질문하게 된 이유는 confocal 로 조직사진 획득 시 같은 mouse 에서 유래한 뇌 조직이어도 intensity 나 quality 가 조금씩 상이합니다.(IHC 진행 시에 같은 well 에서 antibody 를 처리했습니다.) 또한 mounting medium 을 먼저 뿌려놓은 조직은 mounting medium 이 굳으면서 다른 조직과 다른 정도로 mounting 되는 것 같습니다.
IHC 실험 선배님들의 조언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
josephkim | 04.14 |
|
Q. |
검체 튜브 보관 어떻게 하나요? |
|
|
연구 초보입니다
EDTA와 SST로 채혈한 후
각각 혈장과 혈청 분리하여 분리된 것은 초저온냉장고에 보관됩니다
그럼 EDTA와 SST튜브도 따로 보관을 해놔야 하나요? |
|
쭈쭈쭈 | 04.14 |
|
Q. |
환경오염 실험 무엇으로 하면 좋을까요 |
|
|
동아리에서 우리 주변에서 볼 수 있는 환경오염된 부분을 채취해서 실험하는 활동을 하는데 도저히 감을 잡기 어려워요 ㅠㅠ 저희 조는 다 의학, 생명 공학 쪽이라 그쪽으로 연관지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
starlee127 | 04.13 |
|
Q. |
DTT산화 잠재력 측정 실험 질문 |
|
|
안녕하세요 선생님들 실험을 준비하는 중 궁금증이 있어서 질문을 합니다.
DTT로 PM의 산화 잠재력을 측정하는 실험을 준비중입니다.
본론은 DTT(Linear)가 DTNB와 반응하여 DTT(ring)이 되고 TNB가 생성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Ellnman's test에서 R-SH와 DTNB와 반응하여 TNB와 R-S-TNB가 나오는걸로 기억하고 있습니다.
DTT(dithiol)와 DTNB의 반응도 ellnman's와 같은 원리 인지 궁금합니다.
DTT와 DTNB와 반응후 나온 DTNB의 나머지 부분은 어떤 형태로 남아 있는지 궁금합니다. (처음 식을 보았을대 2분자의 TNB가 나오는줄 알았습니다)
질문글을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위 그림은 Urban PM2.5 oxidative potential: Importance of chemical species and comparison of two spectrophotometric cell-free assays)에서 가지고 왔습니다
|
|
whytwoz | 04.13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