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Q. |
실험용 항우울제 구매 방법 |
|
|
고등학생으로 학교에서 하는 개인 연구실험에 항우울제가 필요한데 일반적으로 항우울제는 의사의 처방이 있어야 구할 수 있다고 알고 있어서요. 혹시 실험용으로 항우울제를 쓰는 경우에 의사의 처방 없이 혹은 다른 경로로 항우울제를 구매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ㅜㅜ
|
|
ginnie | 08.16 |
|
Q. |
'에틸렌이 동물의 노화에 미치는 영향 실험'에 관한 질문을 드리고 싶습니다. |
|
|
안녕하세요? 분자생물학자를 꿈꾸고 있는 17살입니다.
최근에 식물과 동물의 공통적인 노화 원인을 알아보고자 선행연구를 조사하다가 그 자료가 많지 않음을 알고 실험에 대한 조언을 얻고자 이렇게 질문을 올리게 되었습니다.
지금까지 실험을 통해 해결하고 싶은 질문은 '식물 노화 호르몬인 에틸렌은 동물의 노화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입니다. 에틸렌은 식물의 세포막을 통해 침투되며 호흡 과정에서 발생한다는 점을 사용해 효모나 선충 등의 동물에게 투입하여 그 경과를 관찰하고자 합니다. 에틸렌을 투입한 동물과 아닌 것, 투입한 에틸렌의 농도에 따라 동물의 노화에 영향을 주는지 관찰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동물의 노화 원인인 텔로미어의 마모가 식물의 노화에는 미미한 영향을 끼치는 원인이 아직 규명되지 않은 점, ATM의 활성 정도가 높을수록 식물 노화가 촉진된다는 점이 동물 세포가 활성산소에 의해 세포가 손상되었을 때 노화된다는 점과 유사하다는 것 등 이 실험의 심화 탐구로 알아보고 싶은 것이 많습니다.
그러나 실험을 위해 에틸렌을 어떻게 어떤 동물에게 투입해야 할지, 에틸렌의 상태는 어떻게 해야할지를 결정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호흡 과정에서 에틸렌이 형성되어 에틸렌 수용체가 물질을 수용한다는 것은 찾았으나 노화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동물에 어떻게 수용시켜야 할지 등 실험에 구체적인 요인을 결정할 자료를 제 수준에서는 찾기 어려었습니다.
혹시 실험에 사용할 동물의 종류나 에틸렌 주입 방법을 결정하는 데에 조언해주실 수 있나요? 감사합니다.
|
|
김규연 | 08.13 |
|
Q. |
LC-MS spectra 해석 질문있습니다. |
|
|
안녕하세요, LC-MS로부터 나온 데이터를 살펴보다가 궁금한 점이 생겨서 글을 남기게 되었습니다. 개념적인 질문이라 카테고리를 고민하다가 실험쪽에 올렸는데 혹시 맞지 않다면 말씀해주시기 바랍니다!
분석화학쪽을 전공한 게 아니라서 논문이랑 유튜브 보면서 공부하고 있는데, 아래에 있는 이미지에서 헷갈리는 부분이 있습니다. ( https://en.wikipedia.org/wiki/Liquid_chromatography%E2%80%93mass_spectrometry)
1. 분자(t1~t4)마다 esi를 통해 이온화되어 intensity ~ m/z spectra (빨노초파) spectra를 생성하는 것으로 이해했는데, 일반적으로 'relative' intensity로 y축을 표현하면 모든 최고점 peak은 같은 높이(100)로 보이는게 맞나요? 위키에 있는 이 이미지는 상대적인 값이 아니라서 분자마다 제일 높은 peak이 다른 것이라고 이해하면 될까요?
(정확히 말하자면 t1~t4는 peak이 찍힌 retention time t1~t4라고 이해했는데 편의상 분자라고 칭했습니다. 혹시 틀렸다면 정정해주심 감사하겠습니다!)
2. 빨노초파 m/z spectra가 합쳐져서 왼쪽 단면에 있는 보라색 peak으로 합쳐지는 건가요? 아니면 LC에서 보라색 픽들을 확인한 다음에 이들을 빨노초파로 분석해서 무슨 분자인지 체크하는 건가요?
3. 위의 질문에서 이어지는 질문인 거 같습니다만.. ToF 방법이 pump에 의해 column에서 분자가 날아오는 시간(retention time)을 측정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intensity가 detector에 분자가 부딪힌 강도?라고 하면 그게 무엇을 의미하는 지 잘 모르겠습니다.. 물질의 농도가 peak 'area' 면적이면 무거운 분자일수록 묵직하게 부딪히니 peak이 높게 찍히는 건가요?
4. 저는 m/z spectra에서 가장 큰 m/z를 가지는 peak이 해당 분자고 이온화된 파편(왼쪽 peaks)로 구조를 파악한다고 생각했는데, 아래 에탄올 예시에서 47로 찍힌 건 왜 그런건가요? 동위원소?같은 건가요?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
연어좋아 | 08.03 |
|
|
|
|
Q. |
파스의 삼투압 원리 |
|
|
파스의 작용 원리에 대해 조사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일반적인 부착형 파스에 삼투압의 원리가 적용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는데,
그 자세한 원리가 궁금합니다.
삼투는 저농도에서 고농도로 물이 이동하는 것인데, 어떻게 고농도인 파스에서 약물이 저농도인 체내로 들어가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
|
만원짜리내기 | 07.26 |
|
Q. |
휘발 에탄올 사용 |
|
|
안녕하세요
연구원 선배님
에탄올(99%)로 물질 추출 후 회전 감압 농축기에서 회수한 용매는 재사용가능한가요?
혹은 물로 희석해서 소독용 에탄올로 사용 못하나요?
성분이 혹시 변하는지도 궁금하네요.
너무 아까워서 그럽니다.
감사합니다. |
|
국내박사 | 07.25 |
|
|
Q. |
분광광도계쓸때 |
|
|
분광광도계는 색깔이 있으면 자외선이 막아져서 자외선차단의 효과가 있다고 나오나요? 저희가 실험에서 해조류 추출물로 농도를 다르게 해서 자외선차단력이 있는지 실험하려고 하는데 농도에따라 색깔이 다르게 나와서요ㅠㅜ |
|
난야지니 | 07.14 |
|
Q. |
워블 가설 |
|
|
수업시간에 워블 가설에 대해 배웠는데 워블 가설이 맞는 경우 1,2자리 코돈이 동일한 아스파라긴과 라이신은 어떻게 번역되느지 궁금해요!! 자세하게 설명해 주세요!!
|
|
하위우ㅣ | 07.13 |
|
Q. |
바이오 에탄올 추출 실험에 관하여 |
|
|
안녕하세요 고등학교 2학년 학생입니다. 버려지는 과일 껍질을 통해 바이오 에탄올 추출 실험을 하고자 합니다. 단순히 추출에서 그치는 게 아니고 추출한 에탄올을 통해 손소독제 용도의 소독약을 만들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보통연료로 쓰인다고 되어있어서... 애초에 이론적으로 에탄올 소독약으로는 쓰이지 못하는 걸까요?
|
|
mintsilver | 07.12 |
|
Q. |
TFC, TPC에서 단위 차이 질문드립니다.. |
|
|
TFC, TPC 실험에서 표준물질을 Quercetin 이나 Gallic acid로 하였을 때
mg QE(GAE) / g 또는 mg QE(GAE) / 100g dw
이런 차이가 있는데 두 단위의 차이는
앞의 거에서 x 100을 해주면 뒤에 거가 되는 같은 내용인가요..??
|
|
흰털누누 | 07.11 |
|
Q. |
가수분해 실험을 어떻게 진행하나요? |
|
|
실험하는 중에 가수분해를 해야 한다고 하는데 단순히 용액과 황산을 넣고 150도에서 가수분해한다고만 되어 있습니다ㅠㅠ 어떤 방법으로 가수분해 할 수 있나요? 그리고 고등 수준에서 가수분해 실험을 할 수 있을까요?
|
|
윤디기 | 07.10 |
|
Q. |
생명과학2 화학삼투와 ATP 생성 |
|
|
안녕하세요 고등학교 3학년 학생입니다!
수업시간에 생명과학2 과목을 배우는데 궁금증이 생겨 질문드립니다.
미토콘드리아 내막에서 일어나는 화학삼투와 ATP합성은 미토콘드리아 내막을 경계로 형성된 수소이온 농도 기울이게 의해 진행되는 것으로 이해헀는데 만약 수소이온 농도 기울기에 변화가 생기면 ATP합성 속도가 변하나요?
|
|
rhrkdus | 07.09 |
|
Q. |
In vitro 화장품 효능 시험 농도로 제품 농도 설정 도와주세요ㅠㅠ |
|
|
안녕하세요
제목그대로입니다...도움이 필요해서 글을 올리게되었습니다
셀 효능실험할때는 세포독성 기준으로 여러농도로 희석해서 원료의 효능을 확인하는건 압니다만
저 원료의 희석농도에서 효능이 있다면 제품에는 희석 농도의 몇%정도 배수를 정하는게 좋을까요?
임상에서 효능이 나타나려면 저 셀실험 결과를 어떻게 써먹을지 막막합니다..
독성쪽이든 어느쪽으로 접근하시던 상관없습니다...
회사 경험도 상관없습니다..
뭐든 말해주시면 참고하겠습니다...
도움좀 부탁드립니다... |
|
불법외계인 | 07.08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