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Q. |
메탄올 희석 후 incubation 이유 |
|
|
GC-MS 실험을 위해 미생물 배양 및 추출 하는 전처리과정에서 7 days cultured 배양액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분리 후 상층액 2ml에 MeOH 4ml을 첨가하여 1시간 incubation을 실시하였습니다.
여기서 1시간의 incubation을 실시하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바로 vial에 넣고 분석하면 안되는 이유가 따로 있나요??
|
|
아렛 | 06.05 |
|
Q. |
엔도톡신 시험 관련 문의 |
|
|
안녕하세요 엔도톡신 시험이 진행이 잘 되지 않아 여러분께 문의드립니다.
천연물 추출물 용액을 0.2 um filter 하여 vial에 소분하고 증기멸균을 하여 무균시험을 패스 하였고 엔도톡신 시험도 진행이 잘 되었습니다.
그런데 3개월 후 무균시험은 패스가 되었는데 엔도톡신 시험은 계속 fail이 납니다.
천연물 추출물 용액이라 연갈색이고 엔도톡신 시험 진행을 10배 희석한 것, 20배 희석한 것으로 진행을 하였었고 진행이 잘되었었는데 3개월 이후에는 10배 희석, 20배 희석 모두 fail이 납니다. 도대체 원인이 뭘까요
여러분의 고견 부탁드립니다.
사용기기는 찰스리버 nexgen-pts입니다.
|
|
오늘은또 | 05.26 |
|
|
Q. |
배지유효기간 및 사용기준 |
|
|
배지를 사용해서 시험 했는데요
사용당시에는 유효기간이 완료 되지 안 았지만 배양기간 중 유효기간이 완료 되었습니다.
이렇게 되면 이 시험은 시용시점에는 사용가능한 배지였는데 시험결과가 유효할 까요?
배지유효기간은 사용시 배양완료일 기준으로 지나면 안 되는 걸까요?
|
|
U&I | 05.16 |
|
Q. |
신규 Spectrophotometer 구매 후 기존 것과 흡광도 오차가 납니다. |
|
|
저희 실험실에서는 미생물을 키운뒤 어느정도 배양되었는지 확인을 위해 사진과 pH, 그리고 Optical density를 측정합니다.
이 optical density 측정을 위해 기존에 쓰던 Spectrophotometer가 있었는데 한 2년정도 써서 신규 기기를 구매하였습니다.(기종은 다릅니다.)
기존에 쓰던게 600nm 파장으로 측정을 했어서 신규 기기도 똑같이 파장을 600으로 맞추고 측정을 했는데 기존 기기보다 더 낮게 측정이 되고 있습니다.
신규 기기는 기존 기기보다 약 13% 정도 낮은 값이 나옵니다.(일관되게 13%는 아니고 어느정도 오차가 있습니다.)
가능하면 기존 기기로 데이터를 쌓아왔기 때문에 기존 기기 기준으로 계산을 하고 싶으나 매번 일일이 환산을 할 수도 없고 또 환산하는게 맞는지도 잘 모르겠어서 현재는 기존 기기만 계속 쓰고 있습니다.
1. 원래 이렇게 동일 파장에서도 값이 기기마다 차이가 날 수 있나요?
2. 일정 파장에서 정해진 OD 값을 나타내는 표준물질의 구매나 제조가 가능할까요?
혹시나 비슷한 경험이나 해결방법을 아시는 분이 있으시면 도와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
psychochk | 05.11 |
|
Q. |
Working Microorganism 제조 질문이요 |
|
|
Working Microorganism 조제 하려고 하는데요
Master Microorganism 부터 조제하려고합니다.
균은 KCTC에서 분얀 받았는데
Master Microorganism 조제하고 연기서열 분석 의뢰해서 Master Microorganism 검증 의뢰는 해야 할까요?
|
|
U&I | 04.20 |
|
Q. |
살모넬라 분리배양하면 하얀균이 떠요 |
|
|
위 사진은 살모넬라 분리배양배지 (좌B.Gsulfa/우:XLD)입니다.
BPW는 제가 직접만들어 사용하였고, 그외 TT,RV,분리배양배지는 완제품을 구입하여 실험하였습니다.
실험 검체는 채소입니다.
24시간 배양 후 사진처럼 균들이 확인되었습니다.
흰색/분홍색/검은색 등등 균들이 자라나는데, 동일 검체 공인기관에 맡겨확인하면 불검출이 나옵니다.
제 실험에 문제가있는 것 같은데 저 균들은 잡균으로 추정하면될까요?
|
|
달두 | 04.18 |
|
Q. |
혐기성 균 배양시 가스생성(과다 생성) |
|
|
안녕하세요.
최근 혐기성 균 발효를 의뢰받아 배양을 시작하였습니다.
OD 값과 pH는 원하는 범위에 들어오는데,
가스가 정말 많이 발생합니다.
bottle로 배양을 하는데, 두껑을 open 시에도 바닥에서 올라오는 기포가 많지만, H2SO4로 침전시 녹아있던 가스가 정말 많이(어마어마) 발생합니다.
특별한 이유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
|
sein | 04.10 |
|
Q. |
젤라틴 액화 시험에서 |
|
|
Micrococcus roseus가 음성 반응을 보이면 같은 속인 Micrococcus luteus도 음성 반응을 보이는 게 맞나요? |
|
호롤ㄹ로로 | 04.08 |
|
Q. |
식물 추출 후 농축 과정에서 이물질 발생  |
|
|
안녕하세요.
석사 과정을 밟고 있는 대학원생입니다.
건조된 식물을 100% 에탄올로 추출한 뒤 회전 증발 농축기를 이용해 농축을 진행 중이었습니다.
농축 과정 중 딱딱한 이물질이 발생하는데 혹시 이게 뭔지 아시는 분이 있다면
어떤 물질인지, 왜 생기는 건지, 농축액을 실험에 사용해도 되는 건지 도움을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
라이옹 | 03.30 |
|
Q. |
미생물 성장곡선 판단 기준 |
|
|
안녕하세요
미생물 성장곡선의 각 lag, exponential, stationary, death phase을 판단하는 수학적 판단 기준이 있나요?
감사합니다
|
|
이와같이나는들었다 | 03.20 |
|
Q. |
항생물질의 미생물학적 역가시험법 질문 |
|
|
항생물질의 미생물학적 역가시험법에서
KP에서 Gentamicin Sulfate의 경우
표준품을 건조하여 사용하라고 되어있는데
표준품을 건조하지 않고 사용하는 이유는 뭔가요?
표준품의 경우 USP를 이용하고 있고
표준품 설명을 봤을때, 건조한 다음 671μg 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으로 이해했습니다.
결과 구하는 수식에서는 따로 건조감량 값을 사용하지 않고 있습니다.
건조감량 등에 따른 보정을 하지 않고, 그냥 표준품을 사용해도 되는 건가요?
|
|
뚜- | 03.20 |
|
Q. |
점도에 영향을 덜 받는 resin (endotoxin removal kit) |
|
|
안녕하세요.
현제 제품개발을 위해 PGA 단백질 내 엔도톡신 제어를 위해 column 형태의 제품을 찾고있습니다.
PBS에 단백질을 녹인 후 엔도톡신 제거를 하려고 하는데 점도가 높아 제거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몇몇 column 판매업체에 문의해본 결과 점도로 인한 효율 감소는 보장이 안된다는 답변을 받아 질문남깁니다.
좀 막연할 수 있겠지만 관련 정보 아시는 분 계시면 답변부탁드립니다.
|
|
Hyeonil | 03.06 |
|
Q. |
BGLB, EC필름 결과가 상이합니다 |
|
|
안녕하세요
일반식품기업에 품질관리로 근무중인 회사원입니다
원료에 대한 입고검사중에
특정 제조업체에서 제조한 원료들만 대장균군이 발생하는데
BGLB와 EC필름의 결과가 할때마다 달라서 문의드립니다
같은 원료라도 n=3로 BGLB, EC필름 분석하면 아래 표와 같이 결과가 나옵니다
BGLB
EC필름
1
양성
0,0
2
음성
5,7
3
음성
0,0
(EC필름에서는 대장균이 아닌 대장균군 집락이 발생합니다(적색집락,기포))
EC필름에서 균수가 측정되나 BGLB에서 음성인것은 기포가 발생할 만큼의 균수가 충분하지 않다고 생각할 수 있으나
BGLB가 양성이면 기포가 발생할 만큼 균수가 많다는 것인데 EC필름에서 확인되지 않는 이유가 너무 궁금합니다
참고로 같은 샘플백에서 채취하여 BGLB, EC필름 접종하였습니다
ex) 1번샘플백 → BGLB, EC 접종
|
|
쫀득한 | 03.03 |
|
Q. |
미생물 실험 시 희석배수별 콜로니 편차 질문 |
|
|
미생물 실험 시 희석배수별로 단계희석 진행했을때 (ex. 10배, 100배,1000배...) 검출되는 콜로니의 편차 기준? 같은게 따로 있을까요??? 희석배수가 늘어날수록 전 단계 희석배수에서 1/10 으로 감소해서 나타나야한다고는 생각하는데 이게 딱 1/10이라는 정해진 규격 같은게 있나 해서요 ㅠㅠ.. 1/10이 맞춰지지 않으면 실패한 실험일까요? 공전에도 따로 없고 검색해봐도 안나오길래 아시는분 있으면 댓글 부탁드립니다 !
|
|
wjsrudrud | 03.02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