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Q. |
Disc soaking method 질문 있습니다. |
|
|
식물 추출물 항균 활성 평가를 위해서 disc soaking method를 사용할 예정입니다. 다만 제가 선택한 추출물이 essential oil 형태라 증류수에 섞을 때 EtOH를 조금 섞을 예정입니다.
이 경우, 추출물을 paper disc에 흡수시킨 후 EtOH를 날리고 배지에 부착해야하는지 궁금합니다. 더불어 추출물의 농도 조절시 10%의 경우 EtOH+증류수의 양을 전체(90)로 잡아야할지, 증류수의 양을 90으로 잡아야할지 궁금합니다. |
|
웆우 | 04.13 |
|
Q. |
고등학교 세균 배양실험 실패  |
|
|
학교에서 LB agar 평판배지를 만들고, 손과 스마트폰에 있는 세균을 면봉으로 채취한 후, 면봉을 수돗물에 담궈두었다가 그 물을 백금이로 streaking하는 방법으로 실험을 진행했습니다. 하루동안 배양하고 꺼내 보았는데 streaking한 모양대로 균이 자라지 않고 밑에 사진 처럼 한 군데 몰려 있었습니다. 그런데 저 균이 몰려있는 위치가 1차 도말한 곳도 아니고 아예 엉뚱한 곳이라서 외부의 세균이 유입되어서 그것만 자란 것 같습니다.
ㅠㅠ 나와있는 방법대로 차근차근 따라갔는데 도대체 왜 실험이 실패한건지 모르겠습니다. 어떻게 해야 성공시킬 수 있을까요.. 뭐가 문제 였던 건지 한 번만 도와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
고등학생1 | 04.12 |
|
Q. |
치약 불소 비교 실험을 하려고 합니다 |
|
|
Agar Diffusion Assay를 사용하여 불소 함량에 따른 antimicrobial activity를 ㅊ측정하려고 하는데 agar diffusion assay에 대한 설명이 영어로 밖에 안나와있어 잘 이해가 안갑니다ㅜㅜ 자세하게 어떤 방법인지 설명해주실 분 있으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
|
BIO초보 | 04.12 |
|
Q. |
한천분해균주 평가결과 문의! |
|
|
세균의 한천분해력을 보려고,
논문에서 '한천분해균주 선별' 부분을 참고하여 실험을 진행했습니다.
Marine Agar 2216에 세균을 접종한 후, 48시간 배양하였습니다.
세균이 한천분해력이 있으면 콜로니 중심으로 함몰 및 배지 액화 현상이 발생한다고 하였는데, 발생하지는 않았습니다..
또는 Logol solution으로 염색하여 염색 정도로 확인하다고 했는데,
이 역시 실험해 본 결과,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대조군이 없어서 그런지 실험이 잘 진행되었는지 확인이 안됩니다..
1. 함몰 및 배지 액화 현상을 보려면 세균의 배양 시간을 더 늘려야 되는걸까요?
아니면
2. 한천분해균주를 분양받아 대조군으로 확인하는게 좋겠죠...?
|
|
smile2581 | 04.12 |
|
|
|
Q. |
plate count에서 학부생 실험 중 모르는게 있어 질문 올립니다 |
|
|
Cell sample 100㎕에 LB medium 900㎕을 넣어 1/10으로 dilution하여 100㎕를 petri dish에 분주하였습니다.
Colony는 65개가 형성되었으면 cell number/mL는 단순히 희석 배수인 10^7을 곱해서 나오는게 맞나요??
|
|
하삼색 | 04.09 |
|
Q. |
균 희석 방법 질문 |
|
|
현재 가지고 있는 균 농도가 높아 희석하려고 합니다.
계산 방법이 맞는지 문의드려요~
현재 3.5 x 10^8 균 농도입니다. (10ml 있음)
이를 1.0 x 10^8 균 농도로 희석하려면 계산법이 어떻게 될까요?
(10ml로 제조하려함)
넣어야 되는 균 수와 희석하는 용액(증류수 또는 배지)양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
smile2581 | 04.07 |
|
Q. |
조류 박테리아 배양에 대해 질문이 있습니다. |
|
|
조류 박테리아를 건물 외피에 접목하는 생태 건축을 연구하고 있는 타전공 학생입니다.
이번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실제로 남조류를 분양받아 이 박테리아가 실제로 대기 중 이산화탄소량을 줄일 수 있는가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려 합니다.
배지를 알아보니 BG-11과 같은 가루형 배지와 아예 액체 상태인 배양액이 있던데, 이 둘의 차이점이 궁금합니다. 현미경 관찰 없이 co2 측정만 한다면 배양액으로만으로도 실험 진행에 충분할지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
마삼 | 04.07 |
|
Q. |
대장균 돌연변이 실험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
|
|
안녕하세요? 생명과학쪽 진로를 꿈꾸고 있는 고등학생입니다.
저희 학교에서 과제연구(대회)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저는 대략적으로 계획을 작성 했습니다.
먼저 전자파나 자외선 같은 일상생활서 노출되는 파장에 따라 대장균에 나타나는 돌연변이 확인으로 주제를 정해 보았습니다.
실험 순서는 우선
1)항생제 비내성 대장균을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분류하여 한세대 마다 조작변인에 노출시킨다.
2)배지 하나당 2개씩 나누어 따로 접종한뒤 바로 하나는 항생제에 노출시키고 다른 하나는 이어서 배양한다.
3) 1),2)와 같은 방법으로 약 10~15세대 가량 배양하며, 항생제 내성세균의 출현을 관찰한다.
작성한 계획이 실현 가능 한지, 개선할 점이나, 보다 쉬운 방법이 있으시다면 알려 주십시오. 감사합니다.
|
|
ryul7957 | 04.05 |
|
Q. |
디스크 이용 문의합니다 |
|
|
안녕하세요 사포닌의 살균효과를 실험하고 있는 고등학생입니다.
이용하는 사포닌은 진세노사이드 계열 한 개와 Platycodin D(도라지 사포닌)을 이용하고 분말형태로 보유하고 있습니다.
사포닌이 스테로이드계 물질이라 살균효과를 위한 마땅한 방법을 찾지 못하고 있었는데 혹시 디스크를 이용한 실험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질문 자체가 많이 부족함을 알지만 나름 검색이나 책을 찾아봤는데도 마땅한 방법이 생각나지 않아 이렇게 질문 드립니다ㅠㅠ
혹 방법을 알고 계시는 고수님들 답변 부탁드립니다.
|
|
GgwangGgwa.. | 04.05 |
|
Q. |
모유 유래 유산균 분리를 하려면 생명윤리위원회의 어떤 심의를 받아야 할까요? |
|
|
안녕하세요.
일단 저는 기업에서 미생물 발효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신규 미생물을 발굴하고 효능을 확인하는 업무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기업에서 일하다보니 유산균도 참 스토리를 따지게 되는데요...
그러다보니 찾다 찾다 모유나 신생아 분변까지 분리원을 찾게 되었는데
아무래도 인간 유래의 물질이다보니.....왠지 생명윤리위원회의 심의를 받아야 할것 같은 생각이 들어서 질문드립니다.
모유나 분변은 저의 부인과 아기의 것을 이용할 예정인데 이런경우에는 어떻게 진행되어야 하느지 또는 진행해본 분이 있으시다면 대략적인 흐름이라도 알려주실분이 계실까요? 결론은 상업적으로 사용할 예정이다보니 조심스러워지는 부분이 있습니다.
고수님들의 고견이 있으시다면 조금만 나눠주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
ligation만.. | 04.05 |
|
Q. |
초산균 배양에 대해 질문있습니다. |
|
|
안녕하세요 초산균 배양 실험중인 대학원생 입니다.
이번에 처음으로 KCTC에서 균을 분양받아 배양하는 중인데
KCTC에서는 처음에는 고체배지에 접종을 하고 26도 배양을 하라고 합니다.
하지만 타 실험실 인큐베이터를 사용해야 하는데 인큐베이터를 26도로
맞출 수가 없어서 shaking incubator에서 shaking 기능을 끈 후
26도로 맞추고 배양하니 배지가 말라버립니다.
어떤 해결책이 있을까요
|
|
꼬륵 | 04.05 |
|
Q. |
그람염색 실험에서 가설 설정이 가능한가요???? |
|
|
학교에서 간단한 실험을 설계하라고 해서 최대한 간단하게 손에서 세균 배양해서 그람염색 직접 해보려고 하는데요, 선생님께서 계속 실험 계획서에 가설설정하고 실험군과 대조군을 작성해야 한다고 하셔서요,...
아무리 생각해도 제 머리에서는 이 실험에서 가설, 실험군, 대조군이 나올수가 없어서요...
그람염색으로 단순히 양성균, 음성균 알아보는건데 어떻게 하면 가설이 나올 수 있을까요....?
|
|
hyerin | 04.01 |
|
Q. |
균의 희석방법에대해서 |
|
|
제가 균을 희석하려고하는데 배지에서 콜로니를떼어내서 사용하고싶은데요
1mL의 생리식염수에 0.001g의 균을 넣고 10배씩희석하여 배양을 하려고합니다. 이럴경우 10^?으로시작이 되는지 알고싶습니다.
또한 0.5McFarland으로 균의 농도를 확인한다고하는데 어느흡광도에서 어느정도값을 갖으면 1x10^8이다 이런식으로 설명이 있던데 모든균이 일정한건가요 아니면 균마다 다른건지좀 알고 싶습니다.
|
|
거북이사장 | 04.01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