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Q. |
MTT assay protocol |
|
|
안녕하세요.
물질의 보호효과를 보기위해서 pretreat 개념으로 약물 처리 후 독성을 쳐서 cell viabilty를 확인하고자 mtt assay를 진행 중에 있습니다.
여러 프로토콜을 찾아보다가 저희 실험실에서 사용되어온 프로토콜이랑 달라 여쭤봅니다.
저는 cell seeding 24hr뒤 약물 처리 시간 지난다음 독성물질 24hr을 처리한 뒤 MTT 시약을 처리하는 데요.
MTT 시약 5mg/ml 을 pbs에 녹인 후 1/10 dilution(0.5mg/ml) 된 mtt 시약을 처리합니다.
대부분의 프로토콜에서는 미디어 제거 후 페놀레드가 없는 미디어 90ul+mtt시약(5mg/ml) 10ul 처리하던데
저희 방에서는 페놀레드가 없는 미디어 대신 pbs에 희석하여 처리하는데 괜찮은 걸까요?
cell culture medium에 희석해서 사용해야하나요?
정리하자면 저희방에서는 0.25g/50ml (10xmTT시약)이라 칭하고 1x로 희석하여서 바로 처리하는데 그 희석 용액이 pbs인데 맞는 건가 해서요. ㅠㅠ
cell culture medium을 사용해야한다면 MEM gibco 제품 사용하고있는데 혹시나 MEM phenol red 없는 제품 사용하시는 분 계시면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
|
힝아 | 08.10 |
|
Q. |
live imaging |
|
|
APC gene mutation 된 MACF10를 ctl 10A와 비교하여
b-catenin 의 nuclear translocation을 confocal로 live image 찍으려고 합니다.
cell이 살아 있는 상태여야해서 fix는 안될 것 같은데
Ab가 nucleus안까지 들어갈까요?
cell에는 damage 주지않으면서
Ab를 넣는 방법 뭐가 있을까요?
의견 부탁드립니다.
|
|
새슬 | 08.08 |
|
|
Q. |
cell density 와 시약의 독성관련문의 |
|
|
96 well plate에 같은 양의 cell을 seeding 하고 농도를 다르게 해서 시약을 처리하였습니다.
plate를 한개는 10,000 cells/well, 다른 한개는 100,000 cells/well로 10배 차이나게 해서 두 plate를 깔고 시약의 처리농도는 각 plate마다 같게 하였고 24시간 처리 후 CCK-8 assay를 하였습니다.
시약의 농도가 높아질 수록 viability가 감소경향을 보이는 것 같기는한데요,
문제는 cell이 10배 높게 seeding 된 plate에서 viability 감소경향이 더 가파릅니다.
10,000 cells per well plate에서는 비처리군과 가장 높은 처리군의 차이가 10%가 안되는데, 100,000 cells per well plate에서는 30% 정도 차이가 날정도로 가파르게 감소합니다.
제가 생각할때는 cell이 10배나 차이가나는데 만약 시약에 독성이 있다고 하더라도 cell이 더 적은 쪽에서 급격한 감소를 보일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그반대라 오히려 납득이 안되서요..
이런경우가 가능할지.. 혹시 아신다면 왜 그런지 알려주실 수 있으실까요..
|
|
판돌판돌 | 08.04 |
|
Q. |
LIVE/DEAD™ Cell Imaging Kit 염색 문제  |
|
|
LIVE/DEAD™ Cell Imaging Kit 이용하여 셀 염색 진행하고 있습니다.
petri dish에 cell suspension (DMEM) + 염색약 -- 1:1
15분 염색 후 관찰하는데, live/dead 색이 동시에 보이는 세포가 존재해서요.
dead cell 같은 경우에, raw data에서 너무 보이지 않아
형광 이미지가 잘 보이도록 스케일을 조절해준 결과입니다.
그 스케일을 live cell의 이미지에도 적용했습니다!
(HaCaT cell 입니다!)
|
|
motherscof.. | 07.28 |
|
Q. |
H2O2 세포 보호능 볼때 CTL 의 생존률이 계속 달라지는 이유 |
|
|
현재 SW1353 세포에 H2O2 와 샘플을 처리해서 샘플의 H2O2에 대한 보호능을 보고 있습니다.
그런데 문제가, 같은 농도의 H2O2를 같은 시간 처리해도 CTL 군에서 어떨땐 20% 정도의 생존률이 나오다가 어떨땐 40% 대의 생존률이 나오는 등 재현성이 잘 안나타나네요. 이런식이면 샘플의 효능 측정도 일정하지 않을텐데 말이죠. 이런경우를 겪어보신 분이나 원인을 알고 계신 분이 계실까요?
|
|
AGCT | 07.27 |
|
Q. |
microplate reader로 흡광도 측정시 |
|
|
CCK-8을 이용한 cell viability 측정에서 microplate reader기로 흡광도를 측정하는데요. 적정 CCK-8 incubation time을 정해야 해서 연달아 찍어봐야 하는데 이럴때 뚜껑을 씌우고 reading 하면 안될까요? 이 실험만 하면 잠깐 열고 찍어도 되겠는데, 불행히도 같은 plate 내에 다른 실험군이 있어서 몇일 더 culture 해야 해서 가급적이면 뚜껑을 안열고 싶네유.. ㅠㅠ
|
|
오구오구 | 07.27 |
|
Q. |
NK cell activation 실험을 진행시 어떤 nk cell을 사용하는지 궁금합니다. |
|
|
저는 현재 NK cell을 activation 시키는 추출물을 찾는 실험을 하고 있는 대학원생입니다.
현재 그 추출물이 NK cell을 activation 시키는지 확인하기 위해 recombinant IL-15과 비교하려고 treat하였습니다. 근데 제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NK cell은 IL-2가 들어가지 않는 NK-92MI 입니다. 이미 활성화가 되있는 것인지 recombinant IL-15를 넣어도 control(IL-15를 넣지않은 군)과 차이가 나지 않습니다.
NK cell activation 실험에 NK-92MI을 사용하는게 맞는지 궁금합니다..
|
|
감자돌이33 | 07.26 |
|
Q. |
MTT assay 실험때 |
|
|
polydopamine (PDA) 와 Indocyanine green(ICG) 약물의 역할은 무엇인가요? 자료를 검색해도 잘 나오지 않아서 질문드립니다. |
|
poiwue | 07.25 |
|
Q. |
cell viability 할때 시료 주입할때요 |
|
|
well 에 시료 주입할때 팁을 배지에 닿게 하시나요 아니면 well 벽면으로 주입하시나요? 보통 팁으로 액체를 따면 지정량보다 좀 더 많이 들어가잖아요? 배지에 직접 주입하면 실험 결과가 부정확하겠죠?
|
|
AGCT | 07.14 |
|
Q. |
비전공자가 실험 가능한 항균 능력과 세포생존율 |
|
|
안녕하십니까
치과 보건학 전공자입니다.
현재 치과재료에 항균 능력과 세포생존율을 보려고 합니다.
비전공자라 여러 실험 방법을 찾아보고 알아보고 있는데,
제가 여러 관련 논문을 알아본 결과 할 수 있는 방법 중 Disk diffusion method
으로 알아보려고 합니다.
비전공자인 제가 직접 실험 해볼 수 있는 그 외에 까다롭지 않은 실험방법이나
실험 방법 관련된 자료를 공유해 주실수 있으실까요?
|
|
dova | 07.10 |
|
|
Q. |
MTT assay |
|
|
MTT assay 0.5%로 쓰고 있는데 약물을 treat하고 현미경으로 IC50가 대충 요정도겠구나 예상하고 결과를 찍어보면 제가 예상한것보다 약 2배 높은 농도에서 IC 50가 잡히는데 이유가 뭘까요?
|
|
문어체 | 07.07 |
|
Q. |
Ethanol 처리시 cell이 죽지않는 이유 |
|
|
Mtt로 간암세포의 viability를 확인하고 있습니다.
1. Hepg2 cell을 96well에 씨딩, 24시간 배양
2. 에탄올 처리하여 24시간 배양
3. mtt 처리
의 순서로 진행 중입니다
6%의 높은 농도까지 사용했는데도 viability가 떨어지지 않습니다.. 이론상 말이 안되는 것 같은데 무엇이 문제일까요..?
Culture 및 희석에는 MEM 배지 사용하였고,
6% etoH로 처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100% absolute ethanol을 60%로 희석하여,
MEM배지 180ul + 60% etoH 20ul
처리하여 최종적으로 6%가 들어가게 하였습니다.
도움 부탁드리겠습니다ㅜㅠ |
|
Jdjdidde | 06.29 |
|
Q. |
FACS 분석시 세포 보관방법 |
|
|
안녕하세요
제가 있는 곳에는 FACS (유세포분석기) 장비가 없어서
다른곳으로 이동하여 분석을 해야 합니다.
샘플은 당일 들어온 사람의 조직에서 세포를 추출하여
이 세포를 가지고 안티바디 염색 + FACS 를 찍어야 하는데
분석장비실에서는 라이브셀과 PFA고정된 세포랑 결과가 다를수 있기 때문에
라이브셀을 권장합니다.
문제는 장비예약은 미리 해두어야 하고
그날에 샘플이 들어올지 미리 알 수 없다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2-3일전에 샘플이 들어온다면 이 세포를 미리 추출해서
최대한 고정없이 분석날까지 살려둘수 있는 방법은 뭘까요?
|
|
allison | 06.29 |
|
Q. |
세포실험 물질 처리 시 pH 문제 |
|
|
안녕하세요.
세포주를 이용한 기능성평가 실험 중 문제가 생겨 문의드립니다.
시험물질 처리 시 최종 농도에서 pH가 11까지 올라가는 경우 pH를 7.4 수준으로 맞춰줄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버퍼를 사용하여 stock을 만들면 어느정도 완충이 될까하여 물질을 PBS에 녹여서 처리해보기도 하고, 세포배양배지에 바로 녹여서 처리해봐도 pH가 너무 높아요..
이 경우 HCL을 이용하여 적정을 해야할까요?
좋은 아이디어나 경험이 있으시면 조언 부탁드립니다.
|
|
글씨야 | 06.23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