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Q. |
Tet on 에서 Doxycycline 처리 조건에 대해 문의드립니다 |
|
|
HEK293T에 Tet promoter가 있는 Plasmid를 Transfection 시켰습니다
Doxycyline - induced GOI system 인데
Tet on에서 Doxycycline 처리 시간이 논문마다 24h과 48h으로 나뉘어져 문의드리게 되었습니다.
1) Tet on에서 보통 mammalian cell에 dox를 24h처리하는지 48h처리하는지 궁금합니다
2) Tet system에 대해 적힌 paper에서는 stable cell line에는 48h, Transient Txn cell에는 24h Dox를 처리하던데 두 cell 이 처리시간이 달라지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애초에 둘이 다르게 처리해주는 것이 맞는지 궁금합니다!)
|
|
인생막삼 | 02.08 |
|
Q. |
Cell counting 시에 dpbs로 resuspension 하여 Trypan blue와 섞어도 되나요? |
|
|
6 well
Cell wahsing
Trypsin 200ul 5min
Media 1ml
Cell down centrifuge
상층액 제거
DPBS 1ml 로 suspension
이후 Trypan blue로 희석해서
Hemocytometer로 Cell counting
빨간 부분이 제가 궁금한 부분입니다
Cell counting 시 DPBS로 Trypan blue 랑 섞어도 되나 싶어서요!
RNA 추출할거라 어떻게 해도 상관없는데 STEP을 좀 줄이고싶어요
media는 완전 제거가 필요해서 이렇게 해도 되나 싶어서요
|
|
ㅁㅇㄹ | 02.08 |
|
Q. |
defined culture medium을 37도로 데우면 안 되는 이유가 뭔가요? |
|
|
제가 처음 HCnEpC(대장염 세포)를 다루는데 정해진 medium들이 있더라구요 그 중 defined culture medium이 있는데 상온으로 데우고 절대 37도로는 데워서는 안 된다고 되어있는데 이유가 뭔가요..?
그리고 thawing medium이라는 것이 따로 있는데 이전에 세포 배양을 할 때에는 medium을 37도로 모두 데운 뒤 사용했는데 세포 배양 설명서에 thawing medium에 대해서는 데우라는 말이 없어서 데우는 것이 맞는지 확신이 안 드네요ㅜㅜ
|
|
원생093 | 02.08 |
|
Q. |
세포에 오일 샘플 처리 방법 |
|
|
안녕하세요 ! 선배님들
식물 종자유에서 세포 실험중 입니다.
항염증 (NO 생성 억제) 실험을 진행하고 있는데 샘플이 오일이라 DMSO에 녹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농도별로 샘플처리를 하였는데요, 결과가 자꾸 거꾸로 나옵니다.
저농도에서 NO 억제가 가장 좋게 나옵니다. 그리고 결과의 오차가 엄청납니다.
이유가 무엇인지 너무 궁금합니다.
오일샘플이라 잘 섞이지 않아서 오차가 큰건지.. 저농도에서 왜 활성이 더 좋은건지.. ㅠ
지금 반복실험중인데 할때마다 엉망이네요.
논문도 찾아봤으나 저같이 거꾸로 나오는 결과는 없고, 어떤 용매에 희석했는지도 나오질 않아 너무 답답해서 여쭙니다
|
|
쿠이크이 | 02.07 |
|
Q. |
세포동결 시 용기 |
|
|
세포 동결(stocking) 시 질문 있습니다.
제가 배웠을 때는, 세포 동결할 때 cryovial에 넣은 다음, container에서 24시간동안 freeze 후 질소탱크로 옮기라고 배웠는데
제가 동결하다가 그만 vial하고 e-tube와 헷갈려서 사진처럼 생긴 e-tube에 cell line을 동결하고 질소탱크로 옮겼습니다.
혹시, 이거 때문에 세포가 오염되거나 thawing할 때 잘 안자랄 수도 있나요?
만약에, 이게 문제가 된다면 thawing하고 나서 다시 vial에 옮겨줘야 하는지도 답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
펑리수 | 02.07 |
|
Q. |
이거 무슨 contamination인가요? |
|
|
계속해서 이러한 contamination이 발생하는데 원인도 종류도 모르겠습니다 ㅠㅠ 제발 도와주세요ㅠㅠㅠ
배경 보면 이상한 점들?이 많이 생겨있는데 왜 생기는지 대체 뭘 해야할지...제발 도와주세요,,,,
HeLe cell
10% FBS DMEM (0.2 uM filtered)
|
|
과지주 | 02.07 |
|
Q. |
암세포냄새분석 |
|
|
안녕하세요
암세포 관련자분들의 고견을 듣고 싶습니다
암환자 와 정상인의 소변냄새 의 화학물질 분석으로 암진단 활용하고자
하는데 많은 조언 바랍니다
|
|
cslee | 02.07 |
|
Q. |
stock 이동할때 아이스팩... |
|
|
안녕하세요.
다름이 아니라 얼마전에 다른 연구실에서 cell stock (atcc) 을 분양받아서 풀었는데 세포가 하나도 붙지 않았습니다.
원래 저희 연구실에서고 키우고 있던 세포라 배지 조건때문은 아닌것같은데
마음에 걸리는 점이
세포를 가져다 주실때 1시간 반거리인데 스티로폼 아이스박스에
아이스팩 3-4개 정도 넣어서 stock을 가져오셨더라구요..
세포가 녹아 있진 않았습니다.
제가 알기론, 드라이아이스나 액체질소에 넣어 이동해야된다고 알고있는데
혹시 이것도 이유가 될수 있을까요..?
|
|
띵똥땅 | 02.07 |
|
Q. |
macrophage migration assay 관련 질문이 있습니다. |
|
|
안녕하세요 석사과정 대학원생입니다.
migration assay (boyden chamer assay - Fluorometric) 관련 조건 실험을 진행하려고 합니다.
NRK52E (rat epithelial cell)에 chemokine 유발 물질을 처리한 medium 과 U937 (human monocyte cell)으로 chemotaxis 실험이 가능 할까요??
|
|
Flb | 02.06 |
|
Q. |
Serum 구분 |
|
|
Horse Serum을 구입하려고 하는데요
Donor가 적어져 있는 serum과 안 적어진 serum의 차이는 무엇일까요?
그리고 custom serum도 있던데 혹시 어떤건지 알려주실 수 있을까요?
도와주세요!
|
|
BIOHIII | 02.06 |
|
Q. |
콜라겐 코팅한 hepg2 세포의 morphology가 괜찮은 건가요?  |
|
|
안녕하세요, 저번에 hpeg2 세포가
정전기적 표면처리된 T25 Flask에서 잘 부착되지 않고
뭉치는 문제로 이 게시판에 질문을 남겼었습니다.
그래서 이번에 0.1 mg/ml 농도로 콜라겐을 T25 Flask에 코팅한 후에 세포를 thawing해 보았는데요, 괜찮은 건가요? 비교 사진을 첨부하였습니다.
참고로 사용한 미디어는
MEM 90% + 10 % FBS+ 1% P/S 입니다.
제가 보기에는 콜라겐 코팅 Flask에서 더 잘 부착되어 보이는데... 다른 분들이 보시기에는 어떠신가요 ㅜㅜ?
|
|
cheer up c.. | 02.06 |
|
Q. |
stem cell seeding 부착문제 or Cell death |
|
|
안녕하세요 석사과정 2년차 대학원생 입니다ㅠㅠ
지금 3일째 hESC(human stem cell)을 풀었다가 다시 시도하는 것을
반복중입니다....
-80도 deepfreezer에 2017년도에 얼린 cell을
matrigel coating된 well에 풀었습니다.
근데 hESC들이 부착되지 않고 대부분 single colony가 되어
둥둥 떠다닙니다...
부착이 되지 않은 것인지, cell들이 다 죽어서 떠다니는 것인지ㅠㅠ
3일동안 너무 스트레스 받네요ㅠㅠㅠ
stem cell에 대해서 잘 아시는 분 계실까요?
|
|
약대석사응애 | 02.05 |
|
Q. |
반복수 질문 (기초..) |
|
|
안녕하세요. 데이터 정리 도중에 기본적인 질문이 있어서 올립니다!
cell proliferation을 보려고 1,2,3,4일차 cell counting을 하고 cell doubling time을 계산했는데 3->4일차 1반복이 다른 값에 비해서 많이 튄 것을 확인했습니다.
1. 이 값을 빼고 2,3 반복수로만 데이터를 정리할지 고민됩니다.
2. 그래프를 그렸을때 1반복 그래프 모양이 다른 cell proliferation graph와 비슷한 형태를 보여서 이게 더 정확하게 값이 나온것인지,, 다른 2,3 반복수는 1일차에서 seeding한 세포수에 비해 줄어들었지만, 비슷한 그래프 모양을 띠었습니다.
정리하자면, 어떤 데이터를 빼고 어떤 데이터를 써야할 지 모르겠습니다. ㅜㅜ
|
|
미생이 | 02.05 |
|
Q. |
siRNA Transfection 후 western blot 밴드 변화 |
|
|
siRNA 처리 후 6시간 뒤 Media Change 진행 후 48 시간 뒤에 Harvest 하여 진행하였습니다
Havest전 cell morphology상에서 transfection이 확실하게 이루어 진 것은 확인하였으나
westen blot band상에서는 control과 siRNA의 차이가 전혀 없습니다
Media change하고 시간을 48시간 보다 더 두어보는 것이 방법일까요??
도움 좀 얻고 싶습니다 |
|
uuy | 02.05 |
|
Q. |
cell doubling time 질문 |
|
|
안녕하세요. 세포 증식 실험을 하던 중 의문점이 생겨 질문 남깁니다.
cell counting을 이용해서 cell doubling time을 구하려고 하는데
5000(0h)
4500(24h)
6800(48h)
22500(72h)
44300(96h)
24시간 주기로 세포 수를 counting 했을 때 이렇게 나왔습니다.
1. 0h-> 24h 에서 5000개를 seeding했는데 부착이 되지 않은 세포가 있는지 4500개로 세포 수가 줄었습니다. 이 때, doubling time이 -가 나오는데 이런 경우에는 어떻게 해야되는 지 궁금합니다.
2. cell doubling time을 구할 때, 0->24h, 24h-> 48h, 48h-> 72h, 72h-> 96h 각각의 doubling time을 구해서 평균을 내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너무 기본적인 내용이지만 답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
미생이 | 02.03 |
|
Q. |
세포 분화 질문입니다!!! 꼭 답변 부탁드립니다 ㅜㅜㅜㅜ |
|
|
안녕하세요.
요즘 실험 열심히 배우고 있는 학생입니다, ㅜㅜ
제가 골세포 분화 실험은 처음해보는데, 연구실에 연구원이 저 한명이라
물어볼 곳이 없어 여기 질문 올립니다.
보통 분화 실험 할 때 조건을 간단하게 적으면
- 24well plate
- 5*10^4 cell seeding
- 24hr 후 분화유도배지로 교체
- 2~3일 마다 배지 교체하며 2주정도 배양
이렇던데
그러면 저 정도 cell양이면 3일만 지나도 full density가 될텐데
2주동안 계속 subculture 없이 배지만 갈아주면 cell이 미어터지지 않나요?
원래 분화실험 할 때 그 정도로 full density로 진행 하는것인가요...?
기초적인 질문이지만 따듯한 답변 부탁 드립니다,ㅜㅜㅜ
|
|
띵똥땅 | 02.02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