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Q. |
WB 항체 제작 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 |
|
|
안녕하세요
WB을 통해서 특정 protein의 발현을 확인하려고 실험중인 대학원생입니다
시판중인 WB용 antibody를 이용해서 WB을 진행하니 결과가 제대로 나오지 않아서 antibody를 제작해서 진행해보려고 생각중입니다
(기존 논문들에서는 이 protein을 WB으로 발현확인하는 경우가 거의 없더라구요)
이와 관련해서 검색을 좀 해보니, 잘된다는 분들도 있고, 안된다고하시는 분들도 있어서, 진행 경험이 있으신 분들께 조언을 얻고자 질문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
몽유병 | 01.31 |
|
Q. |
CD3 antibody로 activate 된 Tcell 은 non-specifically kill 할 수 있나요? |
|
|
CD3 antibody로 activate 된 Tcell 은 non-specifically kill 할 수 있나요?
논문을 보니 그런 것 같네요.
CD3 agonist 로 activate 한 PBMC T cell이 cancer cell line non-specifically 하게 kill 했다고 하네요.
연구에 써 보신 분들 정말 그랬나요?
그냥 constitutively active 라서 가까이 있는 세포 죽이는 것인가 싶네요.
|
|
bluebird | 2022.12.24 |
|
|
Q. |
기초적인 1st 안티바디 농도 관련 질문입니다. |
|
|
기초적인 실험 질문입니다
1st anti-body를 1:1000의 비율로 제작하여 쓰려고 합니다
그 항체의 농도가 200ug/ml 이라고 되어있는데
제가 제작 하려고하는 총 볼륨이 10ml 이라면
항체를 얼만큼 넣어서 사용해야하나요?
기초적인 질문이지만 너무 헷갈리네요
|
|
sintaro | 2022.12.07 |
|
Q. |
phospho antibody 관련 질문드립니다 |
|
|
항체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
만약에 ERK1/2 안티바디라면
p-ERK1/2와 ERK1/2 모두가 detection 되는건가요??
아니면 인산화 되지않은 ERK1/2만 확인되는건가요?
|
|
깍뚝이 | 2022.11.17 |
|
Q. |
western blot caspase-3 관련 질문 |
|
|
웨린이가 웨스턴 고수님들께 여쭙고자 고민 끝에 질문 올리게 되었습니다.
혹시 Caspase-3 가 아주 잘 나오더라도 cleaved caspase-3 가 안나오는 경우가 있을까요??
Cell signaling 의 caspase-3 #9662 를 사용하여 cleaved form 과 동시에 확인하려고 하는데, proform 은 아주 확연하게 차이가 나는 반면 cleaved size는 아주아주 깨-끗 하게 나오는 상황입니다..
lysate 양도 늘려보고 1'Ab binding time 도 늘려보았는데 잘 안나오네요..
1'Ab 비율을 늘려보는 시도는 아직 해보지 않았지만 아주 깨끗하게 cleaved band 자체가 뜨지 않는 상황이라 의미가 있을 지 잘 모르겠습니다ㅜㅜ
웨린이를 도와주세요 고수님들
|
|
대하권생 | 2022.10.31 |
|
Q. |
의문점 해결 |
|
|
생명과학 1 문제 변형인데요, 아래 문제의 정답은 (2)번, ㄷ이라고 합니다만 혹시 ㄴ도 포함되지 않나요?
생명 알 못입니다. 알려 주세요 -.,-;;
(문제)
다음은 항원 A와 B에 대한 생쥐의 방어 작용 실험이다.
[실험 과정]
(가) 유전적으로 동일하고 A와 B에 노출된 적이 없는 생쥐 ㉠~㉤을 준비한다.
(나) ㉠에게 A를 주사하고 일정 시간이 지난 후 ㉠에게서 혈청과 A에 대한 기억 세포를 분
분리한다. ㉡에게 B를 주사하고 일정 시간이 지난 후 ㉡에게서 혈청과 B에 대한 기억 세포를 분리한다.
(다) ㉢에게 ㉠에서 분리한 혈청 X를, ㉣에게 ㉡에서 분리한 혈청 Y를, ㉤에게 Z를 각각 주사한다. Z는 A 또는 B에 대한 기억 세포 중 하나이다.
(라) 일정 시간이 지난 후 (다)의 ㉢~㉤에게 A와 B를 동시에 주사한다.
[실험 결과]
그림은 ㉢~㉤에서 측정한 항체 P의 혈중 농도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P는 A에 대한 항체와 B에 대한 항체 중 하나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제시된 조건 이외의 다른 조건은 동일하며, 면역 반응은 정상적으로 일어난다.)
<보기>
ㄱ. 구간 I은 A에 대한 항체의 농도 변화량이다.
ㄴ. 구간 II와 III에서 모두 비특이적 방어작용이 일어났다.
ㄷ. 구간 IV에서 B에 대한 2차 면역 반응이 일어났다.
⓵ ㄱ ⓶ ㄷ ⓷ ㄱ, ㄷ
⓸ ㄴ, ㄷ ⓹ ㄱ, ㄴ, ㄷ
|
|
uyunamu | 2022.10.26 |
|
Q. |
BCR, TCR 활성화 조건 질문이요 |
|
|
우리몸에 항원이 들어오면 내재면역세포(대식세포, NK세포 등)가 먼저 반응한 후에, 그 다음 방어선으로 적응면역세포가 출동한다고 알고있는데
그럼 BCR, TCR은 내재면역세포가 반응하기전까진 눈앞에 항원이 있어도 먼저 활성화하지않나요?
위 말대로라면 맞지않나요? |
|
nm | 2022.10.11 |
|
Q. |
면역학 BCR, TCR 질문이요 ㅜㅜ |
|
|
항원이 들어오면 1차적으로 내재면역세포가 반응한후에 그럼에도 불구하고 뚫리거나 버거울경우 B cell과 T cell의 도움을 받는다고 알고있습니다.
그런데 B cell과 T cell은 체액을 항시 돌아다니는데, 내재면역세포가 버거움을 느끼지못하면(내재면역세포로 항원을 충분히 막아낼수있다면) BCR과 TCR은 항원을 인식하지 않고 그냥 가만히 있게되나요?
|
|
nm | 2022.10.11 |
|
Q. |
clodronate liposome, anti-asialo GM1 |
|
|
안녕하세요.
논문을 읽던 중 Clodronate liposome은 macrophage depletion에 사용되어지며 특히 NOD/SCID에서의 반복 투여는 독성을 유발한다고 합니다.
clodronate liposome의 depletion 기전과 왜 nod/scid에서는 독성이 나타나는지 궁금합니다.
추가로 anti-asialo GM1은 NK depletion에 사용되었는데 기전이 궁금합니다.
찾아보려해도 명확히 나와있질 않아 도움이 필요합니다 ㅠㅠ
|
|
ㄹㄴㅇㄴㅇ | 2022.10.07 |
|
Q. |
FACS antibody 질문 드립니다. |
|
|
안녕하세요
CXCR4 expression 을 확인하기 위해 FACS를 진행하려고 합니다.
target cell line 은 mouse cell line 이고
1차 ab는 CXCR4 Polyclonal Antibody host:Rabbit / isotype: IgG
human,mouse,rat
2차 ab는 F(ab')2-Goat anti-Mouse IgG (H+L) Secondary Antibody, PE, eBioscience™
이렇게 사용하면 되나요?
negative ctrl 은 2차 ab만 붙이면 될까요?
|
|
민토링 | 2022.09.26 |
|
Q. |
antibody 용량 표기 중 test 의미 |
|
|
여러 antibody를 구매하다 보니 제품의 용량을 표기할 때 대부분의 경우 ug 등 질량 단위로 판매 하는 것 같은데 가끔 tests라는 단위로 판매한는 경우가 있더라구요. 혹시 이게 무엇을 의미하는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
HzAm | 2022.08.30 |
|
Q. |
LLNA 투여 부위 |
|
|
LLNA관하여 질문드립니다.
시험원리는 여러가지로 공부하게되어 많이 알게 되었는데,
투여부위가 왜 귀에 투여하는지 궁금합니다.
림프구야 몸에 다른곳에도 있으며, 다른부위에 해도 상관없다고 판단되는데 제가 놓치고 있는 부분이 있다면 말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
아이고코야 | 2022.08.22 |
|
|
Q. |
바실러스 튜링겐시스를 배양할 때 |
|
|
분류는 무시하고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 LB 액체 배지에 배양이 가능하나요?
대장균 전용 배지로 알고 있는데, 바실러스 튜링겐시스를 배양 할 수 있는지 또 다른 구하기 쉬운 배지 중 바실러스 튜링겐시스를 배양 할 수 있는 배지가 있는지 알려주세요! LB 배지로 배양을 하여 실험을 한 사례나 LB 배지 사용이 가능하다는 내용이 담긴 논문 같은 출처도 알려주시면 너무너무 감사하겠습니다.
2. PC Broth (액체상태의 Plate Count 배지로서, 대부분의 세균을 배양하는데 사용) 배지에서도 바실러스 튜링겐시스 배양이 가능할까요??
어디에서 더 잘되는지 둘 다 어느 정도 잘 되는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3. 또한 생물자원센터에서 바실러스 튜링겐시스와 백강균을 동결 건조 상태로 분양 받으려고 하는데 활성화 시켜 배양하는 방법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ㅠㅠ
한 가지 질문이라도 답변해주실 수 있다면 꼭 답변해주세요. 또한 가능하다면 답변의 근거가 되는 논문이나 책과 같은 출처도 알려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
|
afffdfdee | 2022.08.05 |
|
Q. |
rapid kit 관련 시약들의 역할이 궁금합니다. |
|
|
nanogold rapid kit제작에 관련하여
각종Buffer에 들어가는 조성(EDTA,Tween등)이나 Membrane에 분주하는 항체들과 섞어주는 용액들(tsurcose,PBS,)등 의 역할에 대해 공부를 할 수 있는 논문이나 사이트등이 있을까요...
|
|
미미생큐 | 2022.08.01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