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Q. |
Phospho-NF-κB p65에 대해 질문이 있습니다 |
|
|
안녕하세요!
마우스 비장 세포로 면역 실험을 준비 중에 있습니다.
Phospho-NF-κB p65 안티바디를 구입하려고 합니다.
Phospho-NF-κB p65, Phospho-NF-κB p65(Ser276), Phospho-NF-κB p65 (Ser536) 이렇게 세가지가 뜨는데 세 가지의 차이를 잘 모르겠습니다..
차이점에 대해 알려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ㅠ.ㅠ
(276은 erk 활성화에 관여하고 536은 akt 활성화에 관여한다고 하는데 면역실험 논문을 봤을 때, Phospho-NF-κB p65 안티바디를 많이 쓰시는 것 같은데 세 가지의 차이점을 정확하게 알고 싶습니다..)
|
|
ㄹㄹ | 05.30 |
|
Q. |
jurkat e6-1 t cell activation 급합니다.!!ㅠㅠㅠㅠ  |
|
|
혹시 jurkat e6-1에서 t cell activation 실험해보신 분들에게 여쭤볼게 있습니다.
현재 랩에서 dynabeads를 이용하여 1.2x10^6cells/beads 12ul로 하여 cell : beads ratio를 5:1로 하여 24시간 동안 incubation 후 protein prep을 진행하였습니다. 하지만, protein CD25 ab를 붙여서 ecl로 detection 하면 밴드가 전혀 뜨고 있지 않습니다. 혹시 il-2를 처리해주지 않아서 안나오는 걸까요???
beads 처리 후 protein prep전에 aggregation 되는 것은 확인은 했지만, 단백질 detection이 되고 있지 않아서 여쭤봅니다.
제가 사용한 jurkat e6-1 cell line은 한국세포주은행에서 구입한 CELL LINE으로 진행하였고 PASSAGE는 P17일 때, CELL을 SEEDING하였고, beads는 dynabeads treg expander 2x10^7 beads/ml을 2x10^4 beads/ul로 환산 후 10x10^4 beads/5ul-> 5cells : 50x10^4 cells인데 jurkat을 1x10^6으로 진행하고 싶어서 beads 용량을 2배로 늘리고 beads로 인한 cell loss를 생각하여 cell을 120X10^4 cells/ 12ul beads를 처리하고 나서 24시간 후 beads를 제거하여 실험을 진행하였으나, 밴드가 뜨지 않았습니다.
꼭 해야하는 실험이니 해보신 분들께서는 많은 조언 부탁드리겠습니다.
혹시 몰라서 참고한 Protocol 같이 첨부합니다.
|
|
연구원지망생 | 05.26 |
|
Q. |
균을 검출하는 실험을 하는 중인데 |
|
|
항생제의 작용 기작의 차이를 이용하여 균을 검출하는 실험을 하는 중인데
Penicillin-Strepomycin에만 살균되고, Chloramphenicol, Ampicillin, Gentamicin 에는 살균되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알코올도 70%이상에서는 살균되긴 했는데 알코올은 원래 농도가 강하면 어떤 균이든 살균되는 걸까요?
작용기작이 다르면 살균되는 균이 다르다는 건 알겠는데 과연 이 균은 뭘까요? |
|
썸머채채 | 05.22 |
|
|
|
|
Q. |
powder 형태 antibody dilution 이거 맞나요? |
|
|
antibody 를 시켰는데 powder 형태로 왔습니다.
25ug를 5mg/ml로 만들어서 사용하라고 하는거 맞나요..?
그래서 20ul PBS 로 녹이면 되는거 맞나요..?
답변 부탁드립니다. data seet 첨부합니다 ㅜㅜ
https://www.rndsystems.com/products/streptavidin-antibody-1220c_mab9020?gclid=EAIaIQobChMIv4jLsreS_gIVRXmLCh1FSwfdEAMYASAAEgJGBvD_BwE&gclsrc=aw.ds
|
|
민토링 | 04.05 |
|
Q. |
Freund's Incomplete Adjuvant priming 방법 |
|
|
안녕하세요! 마우스에서 ascite얻고자하는데요,
Adjuvant mixing과정에서 궁금한게 있습니다.
사용한 Adjuvant는 sigma의 FREUND’S INCOMPLETE ADJUVANT(F5506)이고
data sheet에 "Mix antigens (preferably in saline) with an equal volume of the adjuvant to form an emulsion. In order to do this, vigorous and prolonged mixing is needed. There are at least three methods which can be used to accomplish this:"
라고 되어있는데 여기서 antigen이 어떤것을 의미하는건지,,?
참고한 논문에는 hybridoma cell을 찌르기 1-2주 전에 Adjuvant를 I.P해라라고만 되어있고 Adjuvant mixing과정이 자세히 나와있는게 없어서 ㅠㅠ
알고계신분 답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
jeongjjang.. | 04.05 |
|
Q. |
IHC 결과가 안나옵니다ㅜㅜ |
|
|
안녕하세요 지금 IHC-P 실험을 하는데 결과가 안나와서 질문 드립니다.
제가 랩실에서 배운 protocol대로 하고 있는데 DAB 염색 하고 결과를 봤을 때 결과가 안나와서 답답할 따름입니다ㅜㅜ
사수선생님이 말씀하시길 1차 anti가 붙지 않아서 염색이 안되는거 같다고하는데 어디서부터 바꿔나가야할지 막막합니다
우선 제가 사용하는 1차 안티까지 붙히는 방법은
1. slide 60도 1hr heating
2. xylene 5회*5min ->EtoH 100~70% 5min
3. DW washing 1~2min
4. EDTA retrieval pH9.0 heat 10min -> on ice 1hr
5. TBS-T 10min * 3회
6. blocking buffer 1hr
7. TBS-T 10min 3회
8. 1st anti(a-SMA) 1:200 4도 overnight
여기서 잘못된 부분이나 바꿔서 진행 할 부분이 있을까요?
고수님들 부탁드립니다..
|
|
초초보연구 | 04.03 |
|
Q. |
Western Blotting 과정 중, 다른 Band 까지 검출 시 해결방안 |
|
|
안녕하세요. 항상 답변달아주시는 선배님들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Western 결과가 다른 모든 Band까지 전부 염색된 결과로 나옵니다.
Background는 깨끗하고 마치 잘된 SDS-Page 결과랑 똑같이 나옵니다.
문제점으로 꼽은 것으로는
1. 1차항체의 농도가 높았거나
2. 1차항체의 Wash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다
로 해석하고 있습니다. 혹시 제가 놓친 부분이 있을까요?
이하 과정입니다.
1. Blocking buffer 50ml, 실온에서 1시간 incubation
- TTBS 25ml 10분간 Wash 1회
2. Primary antibody 10ml, 실온에서 2시간 incubation
- TTBS 25ml 5분간 Wash, 2회 반복
3. Secondary antibody 10ml, 실온에서 2시간 incubation
- TTBS 25ml 5분간 Wash 2회 반복
3. Detection with color development reagent (염색)
|
|
딱풀 | 03.08 |
|
Q. |
농도계산(inhibitor, recombinant protein etc 모든 것) |
|
|
안녕하세요, 제가 농도계산이 약해서 제 계산식을 선배님들께 검토받고 싶어서 여쭤봅니다. 검토 부탁드리겠습니다.
1. 제가 구매한 recombinant protein 2ug(동결건조, powder)
2. solvent: D.W
3. 목표로하는 농도: 2ng/ml
4. 최종적으론 2ml media가 들어있는 60pi dish에 2ng/ml의 농도로 recombinant protein을 처리하고 싶음.
[계산식]
1. 2ug stock powder에 100ul D.W 넣고 녹임 -> 2ug/100ul stock이 됨.
2. 1번의 stock은 단위 변환과정 하면 20ng/ul 임.
3. 2번의 stock을 10배 희석해줌 -> 2ng/ul 를 만들어줌.
4. 목표로 하는 농도가 2ng/ml인데 단위 변환과정을 하면 2pg/ul 임.
5. 3번의 stock에서 2ul를 따서 2ml media가 들어있는 60pi dish에 넣을 것임.
이렇게 하면 최종적으로 2ml media가 들어있는 60pi dish에 2ng/ml의 농도로 처리가 되는게 맞을까요?
검토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
goss | 02.22 |
|
Q. |
WB 항체 제작 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 |
|
|
안녕하세요
WB을 통해서 특정 protein의 발현을 확인하려고 실험중인 대학원생입니다
시판중인 WB용 antibody를 이용해서 WB을 진행하니 결과가 제대로 나오지 않아서 antibody를 제작해서 진행해보려고 생각중입니다
(기존 논문들에서는 이 protein을 WB으로 발현확인하는 경우가 거의 없더라구요)
이와 관련해서 검색을 좀 해보니, 잘된다는 분들도 있고, 안된다고하시는 분들도 있어서, 진행 경험이 있으신 분들께 조언을 얻고자 질문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
몽유병 | 01.31 |
|
Q. |
CD3 antibody로 activate 된 Tcell 은 non-specifically kill 할 수 있나요? |
|
|
CD3 antibody로 activate 된 Tcell 은 non-specifically kill 할 수 있나요?
논문을 보니 그런 것 같네요.
CD3 agonist 로 activate 한 PBMC T cell이 cancer cell line non-specifically 하게 kill 했다고 하네요.
연구에 써 보신 분들 정말 그랬나요?
그냥 constitutively active 라서 가까이 있는 세포 죽이는 것인가 싶네요.
|
|
bluebird | 2022.12.24 |
|
|
Q. |
기초적인 1st 안티바디 농도 관련 질문입니다. |
|
|
기초적인 실험 질문입니다
1st anti-body를 1:1000의 비율로 제작하여 쓰려고 합니다
그 항체의 농도가 200ug/ml 이라고 되어있는데
제가 제작 하려고하는 총 볼륨이 10ml 이라면
항체를 얼만큼 넣어서 사용해야하나요?
기초적인 질문이지만 너무 헷갈리네요
|
|
sintaro | 2022.12.07 |
|
Q. |
phospho antibody 관련 질문드립니다 |
|
|
항체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
만약에 ERK1/2 안티바디라면
p-ERK1/2와 ERK1/2 모두가 detection 되는건가요??
아니면 인산화 되지않은 ERK1/2만 확인되는건가요?
|
|
깍뚝이 | 2022.11.17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