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과학분야 학술정보 온라인 세미나!
BRIC은 생명과학분야 연구자들의 학술정보 교류에 적극적으로 참가하실 학술웨비나 발표연사를 모십니다.
학술웨비나 개최완료
골스캔에서 골전이 진단에 Grad-CAM을 활용한 CNN과 트랜스포머 모델의 진단 성능 비교 [Clin. Nucl. Med.]
목적: 골스캔(bone scan)에서 골 전이를 탐지하기 위해 합성곱 신경망(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CNNs)이 연구되어 왔으나, ConvNeXt와 트랜스포머(transformer) 모델은 아직 골스캔에 적용된 바가 없다. 본 연구는 ConvNeXt와 트랜스포머 모델을 포함한 다양한 딥러닝 모델이 골스캔에서 골 전이 병변을 진단하는 성능을 평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방법: 두 기관에서 얻은 암 환자 골스캔 영상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학습·검증 세트(n = 4,626)는 병원 1, 테스트 세트(n = 1,428)는 병원 2에서 수집하였다. 평가한 딥러닝 모델은 ResNet18, Data-Efficient Image Transformer(DeiT), Vision Transformer(ViT Large 16), Swin Transformer(Swin Base), ConvNeXt Large였다. 시각화를 위해 gradient-weighted class activation mapping(Grad-CAM)을 사용하였다. Results: ConvNeXt Large 모델은 검증 세트와 테스트 세트에서 각각 0.969와 0.885로 가장 우수한 성능을 보였으며, Swin Base 모델(0.965와 0.840)이 그 뒤를 이었고, 두 모델 모두 ResNet18(0.892와 0.725)보다 유의하게 우월하였다. 하위 분석에서 모든 모델은 소수 전이보다 다수 전이 환자에서 더 높은 진단 정확도를 나타냈다. Grad-CAM 시각화 결과 ConvNeXt Large 모델은 국소 병변에, Swin Base 모델은 몸통뼈대 및 골반과 같은 전역 영역에 더 집중하였다. Conclusions: ConvNeXt 모델은 기존 CNN 및 트랜스포머 모델보다 골스캔영상의 골 전이를 탐지하는 데 특히 다수 전이에서 뛰어난 진단 성능을 보여, 의료 영상 분석 분야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시사한다.
개최 완료
학술웨비나
일시
2025년 07월 11일 (금) 오후 02시
연사
구경모(성균관대학교)
학술웨비나
일시
2025년 07월 11일 (금) 오전 10시
연사
이종혁(Mercer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학술웨비나
일시
2025년 07월 10일 (목) 오전 11시
연사
박예진(Baylor College of Medicine)
학술웨비나
일시
2025년 07월 09일 (수) 오전 11시
연사
정강훈(Johns Hopkins School of Medicine, Allen Institute for Neural Dynamics)
학술웨비나
일시
2025년 07월 08일 (화) 오후 03시
연사
서영준(고려대학교)
학술웨비나
일시
2025년 07월 07일 (월) 오전 10시
연사
김영미(University of Illinois at Chicago)
학술웨비나
일시
2025년 07월 02일 (수) 오전 11시
연사
정태영(고려대학교 의과대학)
학술웨비나
일시
2025년 07월 01일 (화) 오전 11시
연사
홍지연(한양대학교)
학술웨비나
일시
2025년 06월 26일 (목) 오전 10시
연사
하유진(연세대학교 의과대학,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Diego (UCSD))
학술웨비나
일시
2025년 06월 23일 (월) 오후 02시
연사
홍지혜(고려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