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과학분야 학술정보 온라인 세미나!
BRIC은 생명과학분야 연구자들의 학술정보 교류에 적극적으로 참가하실 학술웨비나 발표연사를 모십니다.
학술웨비나 개최완료
척추이분증에서의 드노보 (de novo) 코딩 돌연변이의 영향 [Nature]
척추이분증(Spina bifida)은 태아가 발생할 때 중추신경계의 전신인 신경관(neural tube)이 완전히 닫히지 않아 발생하는 선천적 기형으로, 심각한 신경계 손상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현재까지 질환과 관련된 몇몇의 유전자 변이가 알려졌으나, 환자의 대부분을 설명하지 못하였고 복잡한 발병 기작 때문에 질병 관련 유전자를 찾는 것이 큰 어려움으로 남아있었습니다. 이를 위해, 851명의 척추수막류 환자 및 부모(총 2,451명)를 대상으로 전장 엑솜 시퀀싱(Whole exome sequencing)을 수행하여, 부모에게는 없고, 자식에게만 존재하는 드노보 (de novo) 돌연변이에 주목하여 연구하였습니다. 분석 결과, 환자의 약 22.3%에서 유전자 손상 가능성이 높은 돌연변이가 확인되었으며, 이 중 28%는 신경관 결손 발생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평가되었습니다. 확인된 187개의 질병관련 유전자들을 네트워크 확장(network propagation) 기법과 클러스터링(clustering) 기법을 활용하여, 그 중요도가 매우 커 살아있는 환자에게서는 발견할 수 없지만 질병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유전자들까지 알아내, 질병과 관련되어 중요하게 작용하는 생물학적 기작을 보다 폭넓게 파악할 수 있었습니다. 이번 연구를 통해 밝혀진 척수수막류의 원인이 되는 유전자들은, 향후 질병 예측모델 개발에도 활용될 수 있습니다. 또한, 선천성 신경계 질환인 척수 수막류 뿐만 아니라, 자폐증과 같은 다른 복합질환도 유전적 원인 규명이 매우 어려웠는데, 저희 연구팀이 수행한 연구 방법을 적용해 본다면 이제까지 알려지지 않았던 새로운 사실도 밝혀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개최 완료
학술웨비나
일시
2025년 07월 11일 (금) 오후 02시
연사
구경모(성균관대학교)
학술웨비나
일시
2025년 07월 11일 (금) 오전 10시
연사
이종혁(Mercer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학술웨비나
일시
2025년 07월 10일 (목) 오전 11시
연사
박예진(Baylor College of Medicine)
학술웨비나
일시
2025년 07월 09일 (수) 오전 11시
연사
정강훈(Johns Hopkins School of Medicine, Allen Institute for Neural Dynamics)
학술웨비나
일시
2025년 07월 08일 (화) 오후 03시
연사
서영준(고려대학교)
학술웨비나
일시
2025년 07월 07일 (월) 오전 10시
연사
김영미(University of Illinois at Chicago)
학술웨비나
일시
2025년 07월 02일 (수) 오전 11시
연사
정태영(고려대학교 의과대학)
학술웨비나
일시
2025년 07월 01일 (화) 오전 11시
연사
홍지연(한양대학교)
학술웨비나
일시
2025년 06월 23일 (월) 오후 02시
연사
홍지혜(고려대학교)
학술웨비나
일시
2025년 06월 23일 (월) 오전 10시
연사
홍인기(Johns Hopkins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