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과학분야 학술정보 온라인 세미나!
BRIC은 생명과학분야 연구자들의 학술정보 교류에 적극적으로 참가하실 학술웨비나 발표연사를 모십니다.
학술웨비나 개최완료
비감염성 염증과 뇌졸중에서 호중구 CRACR2A의 역할 [Circulation]
본 연구는 비감염성 염증과 뇌졸중에서 호중구에서 칼슘조절인자 (CRACR2A)의 역할과 기능을 밝히고, 치료 표적물질로의 효과를 확인한 연구입니다. 먼저, CRACR2A는 T 세포에서 칼슘신호전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인간에서 T 세포 기능 장애로 인한 면역 결핍과 관련이 있다고 발표되었습니다. 본 연구에서 호중구 CRACR2A의 역할을 확인하고자 myeloid-specific Cracr2a conditional knockout 마우스와 생체 내 현미경을 사용하여 혈관 염증에서 호중구 Cracr2a의 생리적 역할을 확인했습니다. 그리고, CRACR2A가 결핍된 호중구 또는 dHL-60 세포 및 CRACR2A 유래 펩타이드를 이용하여 유세포 분석, 면역침강, 세포질 Ca2+ mobilization, flow chamber 실험 등을 통해 분자 메커니즘을 규명했습니다. 또한 transient middle cerebral artery occlusion (tMCAO) 모델에서 생체내 현미경 및 단일 호중구 행동 분석을 통해 뇌 손상에서 호중구 Cracr2a의 병리적 역할을 입증했습니다. 그 결과, 호중구 Cracr2a가 STIM1과 빠르게 상호작용하며 Ca2+ mobilization과 β2 인테그린 활성화를 촉진하여 호중구의 부착 및 이동 기능을 촉진한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또한 CRACR2A 유래 펩타이드를 사용하여 STIM1-CRACR2A 상호작용을 차단하는 팔미토일화된 20-mer 펩타이드를 확인했습니다. 이 20-mer는 Ca2+ mobilization 및 β2 인테그린 활성화를 억제하며, 비감염성 염증에서 호중구 이동을 감소시켰습니다. 마지막으로, transient middle cerebral artery occlusion (tMCAO) 모델의 생체 내 영상화분석에서 호중구 Cracr2a는 αMβ2 인테그린의 발현을 증가시켜 이동성이 높은 호중구를 촉진시키고, 이로 인해 뇌 조직으로의 호중구 침투 및 뇌 손상을 시키는 것으로 확인하였습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호중구 CRACR2A가 허혈성 뇌졸중과 같은 비감염성 염증 부위로의 호중구 이동을 촉진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STIM1-CRACR2A 상호작용 저해는 염증 및 조직 손상을 완화하기 위한 새로운 치료 전략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습니다.
개최 완료
학술웨비나
일시
2025년 03월 14일 (금) 오후 02시
연사
김정륜(고려대학교)
학술웨비나
일시
2025년 03월 06일 (목) 오전 10시
연사
정윤주(Brigham & Women's Hospital, Harvard Medical School, (현) 경희대학교)
학술웨비나
일시
2025년 02월 19일 (수) 오후 02시
연사
조성익(KAIST)
학술웨비나
일시
2025년 02월 18일 (화) 오전 11시
연사
이다윗(Stanford University)
학술웨비나
일시
2025년 02월 17일 (월) 오후 02시
연사
빈범호(아주대학교)
학술웨비나
일시
2025년 02월 14일 (금) 오전 10시
연사
조상연(Massachusetts General Hospital)
학술웨비나
일시
2025년 02월 12일 (수) 오전 11시
연사
유웅재(POSTECH)
학술웨비나
일시
2025년 02월 11일 (화) 오후 03시
연사
이상민(POSTECH)
학술웨비나
일시
2025년 02월 07일 (금) 오전 10시
연사
전푸름(한남대학교, 현 Nathan S.Kline Institute)
학술웨비나
일시
2025년 02월 06일 (목) 오전 10시
연사
이민기(University of Michig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