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과학분야 학술정보 온라인 세미나!
BRIC은 생명과학분야 연구자들의 학술정보 교류에 적극적으로 참가하실 학술웨비나 발표연사를 모십니다.
학술웨비나 개최완료
장내 미생물에 의한 면역항암제 대한 저항성 극복 [Nature]
이번 연구는 장내 미생물들이 어떻게 항암 면역 작용을 조절하는지에 대한 연구입니다. 항암 면역 치료는 면역 세포의 기능을 이용하여 암세포를 공격하는 새로운 치료법입니다. 하지만 그 효과는 환자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는데 최근 연구 동향은 장내 미생물이 이를 조절하는데 중요하게 작용한다는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 기전에 대한 연구, 특히 상관 관계를 넘어 인과 관계가 분명한 작용 기전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합니다. 기전 연구를 위해 모델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했는데 그를 위해 PD-L1 저해 항암 면역제에 대한 반응을 촉진하는 특정 인간 마이크로바이오타 (장내미생물군) 를 찾았습니다. 그리고 기존에 알려진 것과 같이 쥐에 항생제를 투여하거나 무균쥐를 이용하면 PD-L1 항암 면역제에 반응을 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을 하였습니다. 이 때 사용한 인간의 특정 장내미생물군 중 Coprobacillus cateniformis 가 항암 면역 체계를 조절함을 알아내었습니다. 면역 체계의 변화와의 상관 관계를 알아내기 위해 RNA-Seq 실험과 면역 프로파일링을 하였는데 PD-L2 가 암 주위의 림프절에 있는 수지상 세포의 PD-L2 의 발현량이 미생물군과 역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을 알았고 이를 저해하면 항암 면역제 반응을 촉진하지 않는 장내미생물군을 가진 동물 모델에서 PD-1 이나 PD-L1 저해제에 대한 반응이 촉진한다는 것을 밝혔습니다. 수지상세포에서 PD-L2 를 과발현하면 장내 미생물을 통한 항암 면역 촉진 효과가 없어진다는 중요한 실험적인 결과를 얻었고 이는 PD-L2 기전이 상관 관계가 아닌 인과 관계로서 중요하다는 것을 증명하였습니다. PD-L2 는 PD-1, RGMb 라는 두가지 수용체를 가지고 있습니다. PD-L2 저해를 통한 항암 면역 활성화가 두 수용체 중 어떤 부분에서 중요한지 알기 위해 PD-L2 와 RGMb 의 결합만을 특이적으로 방해하는 항체나 RGMb 를 저해하는 항체를 PD-1 항체나 PD-L1 항체와 병용 투여하였고, 그 결과 RGMb 를 통한 신호 전달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그리고 RGMb 의 발현량이 장내 미생물군과 관련이 있다는 점을 발견하였고, RGMb 유전자를 조작한 동물 모델을 만들어 T 세포에서의 RGMb 발현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아내었습니다. 결론으로 인간의 장내 미생물은 PD-L2/RGMb 조절을 통해 항암 면역 반응을 촉진하고 그를 타켓하면 장내 미생물군이 맞지 않아 항암 면역제에 반응하지 않는 환자군을 치료할 수 있다는 연구입니다.
개최 완료
학술웨비나
일시
2025년 01월 23일 (목) 오전 10시
연사
이헌준(Johns Hopkins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학술웨비나
일시
2025년 01월 22일 (수) 오후 03시
연사
조우현(서울대학교)
학술웨비나
일시
2025년 01월 17일 (금) 오전 10시
연사
김영재(기초과학연구원, UNIST)
학술웨비나
일시
2025년 01월 16일 (목) 오전 10시
연사
이광운(Harvard Medical School)
학술웨비나
일시
2025년 01월 15일 (수) 오후 02시
연사
정영미(부산대학교)
학술웨비나
일시
2025년 01월 14일 (화) 오전 11시
연사
김명석(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학술웨비나
일시
2025년 01월 09일 (목) 오전 10시
연사
김재식(University of Pennsylvania)
학술웨비나
일시
2025년 01월 08일 (수) 오후 02시
연사
김성은(서울대학교)
학술웨비나
일시
2025년 01월 08일 (수) 오전 10시
연사
노수정(DGIST)
학술웨비나
일시
2025년 01월 03일 (금) 오전 10시
연사
육상도(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