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과학분야 학술정보 온라인 세미나!
BRIC은 생명과학분야 연구자들의 학술정보 교류에 적극적으로 참가하실 학술웨비나 발표연사를 모십니다.
학술웨비나 개최완료
환자 종양 스페로이드의 유전체-약물 분석을 통한 암 표적 치료[Nat. Genet.]
Pharmacogenomic landscape of patient-derived tumor cells informs precision oncology therapy
Nat. Genet., Published 27 September 2018 | https://doi.org/10.1038/s41588-018-0209-6
본 연구에서는 14종의 암종으로부터 462건의 종양 스페로이드를 구축하고, 각 스페로이드마다 60종의 표적항암제 감수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위암 스페로이드가 PI3K 억제제에 특이적인 감수성을 보인다는 것을 포함하여, 암종 특이적 항암제 감수성을 보고하였다. 또한 각 종양마다 유전체 변이, 카피 수 변화 및 유전자 발현 양상을 분석하여 특정 유전체 변이 및 유전자 발현이 항암제 감수성과 유의한 연관성이 있음을 밝혔다. 예를 들면, KRAS 변이 종양은 대부분의 항암치료에 내성을 보이는데, MEK 신호전달 억제제인 trametinib 병용 투약 시 기존 항암치료 효과를 개선시킬 수 있음을 제시하였고, HDAC4 또는 SIK2의 과발현이 HDAC 억제제인 panobinostat의 저항성과 연관이 있음을 보고하였다. 또한 EGFR 변이 종양 그룹 분석을 통해 NRG1의 과발현 종양이 EGFR 억제제 치료에 저항한다는 것을 보고하였고, NRG1 표적항체 병용치료를 통해 기존 EGFR 억제제 치료 효과를 유의하게 개선할 수 있음을 검증하였다. 뿐만 아니라, 혈액암 치료에 주로 사용되는 BTK 억제제인 ibrutinib이 EGFR 카피 수 증가 또는 EGFRvIII 변이 종양에 특이적인 감수성을 보이는 것을 보고하여, 본 연구 플랫폼이 특정 약물에 대한 신규 분자표적을 제시할 수 있었다. 각 종양 스페로이드의 약물 감수성이 해당 환자의 임상 반응성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을 규명하였으며, 종양 스페로이드의 약물 감수성 기반 항암치료반응 예측 알고리즘을 제시 및 검증하였다.
개최 완료
학술웨비나
일시
2025년 01월 23일 (목) 오전 10시
연사
이헌준(Johns Hopkins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학술웨비나
일시
2025년 01월 22일 (수) 오후 03시
연사
조우현(서울대학교)
학술웨비나
일시
2025년 01월 17일 (금) 오전 10시
연사
김영재(기초과학연구원, UNIST)
학술웨비나
일시
2025년 01월 16일 (목) 오전 10시
연사
이광운(Harvard Medical School)
학술웨비나
일시
2025년 01월 15일 (수) 오후 02시
연사
정영미(부산대학교)
학술웨비나
일시
2025년 01월 14일 (화) 오전 11시
연사
김명석(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학술웨비나
일시
2025년 01월 09일 (목) 오전 10시
연사
김재식(University of Pennsylvania)
학술웨비나
일시
2025년 01월 08일 (수) 오후 02시
연사
김성은(서울대학교)
학술웨비나
일시
2025년 01월 08일 (수) 오전 10시
연사
노수정(DGIST)
학술웨비나
일시
2025년 01월 03일 (금) 오전 10시
연사
육상도(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