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과학분야 학술정보 온라인 세미나!
BRIC은 생명과학분야 연구자들의 학술정보 교류에 적극적으로 참가하실 학술웨비나 발표연사를 모십니다.
학술웨비나 개최완료
비침습적 경부 림프관 조작을 통한 뇌척수액 배출 향상 [Nature]
지주막하에 존재하는 뇌척수액은 경부림프절로 배출된다고 알려져 있지만, 구체적인 연결 경로와 배출 기능을 조절하는 메커니즘은 아직까지 명확히 밝혀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Prox1-GFP 림프관 리포터 마우스에 형광 표지자를 지주막하에 주입함으로써 천경부 림프계를 통한 뇌척수액 배출 경로를 상세히 밝혔다. 뇌척수액은 두개저에 위치한 뇌막 림프관에 유입된 후 두개강 밖에 존재하는 안와 주변, 비강, 비인두, 그리고 경구개 림프관을 거쳐 평활근으로 둘러싸인 경부 림프관을 통해 경부 림프절로 배출되었다. 정량 분석 결과 마우스에서 경부림프절로 배출되는 전체 뇌척수액 중 약 50%가 천경부 림프절로 배출됨을 밝혔다. 또한 고령 마우스에서 비강림프관과 경구개 림프관이 퇴화함을 확인하였으며, 천경부 림프절로 배출되는 표지자의 양이 감소하는 것 또한 확인하였다. 한편 경부림프관을 둘러싸고 있는 평활근 세포는 노화에 따른 유의미한 변화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고령 마우스의 경부림프관 내피세포에서 산화질소에 대한 반응성이 감소함을 관찰하였다. Nos3 유전자를 포함해 산화질소 합성과 관련된 여러 유전자들의 발현 수준이 고령 마우스 경부림프관 내피세포에서 증가하는 반면 단백질 발현량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노화된 경부림프관 주변에 존재하는 섬유아세포에서 섬유화와 관련된 유전자 발현 수준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피부 밑에 존재하는 천경부 경부림프관을 비침습적으로 기계적 자극을 가할 수 있는 기구를 제작하였으며 이 기구를 이용하여 경부림프관을 자극하였을 때 고령 마우스에서 뇌척수액 배출량이 두 배로 증가하고 뇌척수액 배출 장애를 개선할 수 있었다. 이러한 비침습적 기계적 자극을 위해서는 정상적인 산화질소 신호 전달 체계가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는 뇌척수액 배출 경로로써 경부림프관의 중요성을 규명하였으며, 특히 천경부림프관에 비침습적 기계 자극을 가함으로써 뇌척수액 흐름을 조절하고 배출 장애를 개선할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개최 완료
학술웨비나
일시
2025년 07월 18일 (금) 오전 10시
연사
전동재(Dallas Baptist University)
학술웨비나
일시
2025년 07월 15일 (화) 오전 11시
연사
이소영(UNIST)
학술웨비나
일시
2025년 07월 11일 (금) 오후 02시
연사
구경모(성균관대학교)
학술웨비나
일시
2025년 07월 11일 (금) 오전 10시
연사
이종혁(Mercer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학술웨비나
일시
2025년 07월 10일 (목) 오전 11시
연사
박예진(Baylor College of Medicine)
학술웨비나
일시
2025년 07월 09일 (수) 오전 11시
연사
정강훈(Johns Hopkins School of Medicine, Allen Institute for Neural Dynamics)
학술웨비나
일시
2025년 07월 08일 (화) 오후 03시
연사
서영준(고려대학교)
학술웨비나
일시
2025년 07월 07일 (월) 오전 10시
연사
김영미(University of Illinois at Chicago)
학술웨비나
일시
2025년 07월 02일 (수) 오전 11시
연사
정태영(고려대학교 의과대학)
학술웨비나
일시
2025년 07월 01일 (화) 오전 11시
연사
홍지연(한양대학교)